$\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가 입원 뇌병변 장애아동의 변비 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bdominal Meridian Massage with Aroma Oils on Relief of Constipation among Hospitalized Children with Brain related Disabiliti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2, 2013년, pp.247 - 255  

남미정 (대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방영이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간호부) ,  김태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3 times/week and 5 times/week abdominal meridian massage with aroma oils (AMMAO) on the relief of constipation among hospitaliz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volving the brain lesions (cerebral palsy, epilepsy, and others). Methods: The par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간호실무 현장에서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 중재를 주 5회 이상 적용하거나, 주 3회 적용하더라도 1회 적용시간이 15 - 20분 이상 소요되는 경우 시간과 인력 및 비용효과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어 이를 간호실무에 적용하고 확산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im과 Nam (2007)이 개발한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 프로그램을 입원 뇌병변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1회 7분간, 주 5회 또는 주 3회로 각각 2주간 적용하여 변비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적용횟수에 따라 변비완화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실무적용 및 확산이 용이한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 중재방안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병변 장애아동들의 변비 완화를 위해 실무현장에서 사용하는 방법의 문제점은? 따라서 이들의 변비 완화를 위해 대부분 실무현장에서는 처방에 따라 배변 완하제, 좌약, 관장 등의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Emly, 1993; Kim & Yoo, 1999). 그러나 장기간의 반복적인 하제투여나 관장은 장 점막의 정상 성분을 함께 제거함으로써 장 점막을 파괴하고, 나아가 장의 정상반사감소 등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하여 뇌병변 장애 아동의 건강과 삶의 질을 위협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Castledine, Grainger, Wood, & Dilley, 2007; Chong, 2001). 따라서 이들의 변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작용이 적고, 손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비용 효율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변비를 에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어떤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는가? 일반적으로 변비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식이요법, 생활습관 교정, 약물요법, 관장, 바이오피드백, 운동요법, 복부마사지, 수술요법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뇌병변 장애아동은 장애로 인해 식이요법이나 생활습관 교정, 운동요법, 바이오피드백 등과 같은 중재프로그램을 실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수술요법은 다른 방법에서 효과가 없을 때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이다.
뇌병변 장애아동들의 변비 완화를 위해 대부분 실무현장에서는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가? 그러나 뇌병변 장애아동은 장애로 인해 식이요법이나 생활습관 교정, 운동요법, 바이오피드백 등과 같은 중재프로그램을 실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수술요법은 다른 방법에서 효과가 없을 때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들의 변비 완화를 위해 대부분 실무현장에서는 처방에 따라 배변 완하제, 좌약, 관장 등의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Emly, 1993; Kim & Yoo, 1999). 그러나 장기간의 반복적인 하제투여나 관장은 장 점막의 정상 성분을 함께 제거함으로써 장 점막을 파괴하고, 나아가 장의 정상반사감소 등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하여 뇌병변 장애 아동의 건강과 삶의 질을 위협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Castledine, Grainger, Wood, & Dilley, 2007; Chong,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ttaglu, S. (2003). The complete guide to aromatherapy (2nd ed.). Brisbane QLD: Perfect Potion. 

  2. Bohmer, C. J., Taminiau, J. A., Klinkenberg-Knol, E. C., & Meuwissen, S. G. (2001).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in institutionalize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5(Pt 3), 212-218. 

  3. Castledine, G., Grainger, M., Wood, N., & Dilley, C. (2007). Researching the management of constipation in long-term care: Part 1. British Journal of Nursing, 16(18), 1128-1131. 

  4. Cho, H. S., & Kwak, J. M. (1995). Chuna manual therapy for children. Seoul: Euisungdang. 

  5. Chong, S. K. (2001). Gastrointestinal problems in the handicapped child. Current Opinion in Pediatrics, 13(5), 441-446 

  6. Chung, M., & Choi, E. (2011). A comparison between effects of aroma massage and meridian massage on constipation and stress in wome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1), 26-35. http://dx.doi.org/10.4040/jkan.2011.41.1.26 

  7. Drossman, D. A. (2006).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the Rome III process. Gastroenterology, 130(5), 1377-1390. http://dx.doi. org/10.1053/j.gastro.2006.03.008 

  8. Emly, M. (1993). Abdominal massage. Nursing Times, 89(3), 34-36. 

  9. Emly, M., Cooper, S., & Vail, A. (1998). Colonic motility in profoundly disabled people: A comparison of massage and laxative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constipation. Physiotherapy, 84(4), 178-183. http:// dx.doi.org/10.1016/S0031-9406(05)66021-X 

  10. Jeong, S. Y., & Jung, H. M. (2005). The effects of abdominal meridian massage on constipation among CVA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1), 135-142. 

  11. Kim, D. H. (1997). Introduction of meridian massage. Seoul: Korea Massage Institution. 

  12. Kim, D. S., Choi, I. J., Hwa, W. C., Lee, H. Z., & Park, N. H. (2004). The effect of abdominal meridian massage on constipation and depression of hemipleg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0(1), 70-81. 

  13. Kim, I., & Cho, Y. N. (2007). The effects of abdominal meridian massage on constipation in institutionalized psychiatric patients taking antipsychotic drug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5), 809-818. 

  14. Kim, M. A., Sakong, J. K., Kim, E. J., Kim, E. H., & Kim, E. H. (2005). Effect of aromatherapy massage for the relief of constipa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1), 56-64. 

  15. Kim, M. J., & Jeon, H. J. (2006). Meridian massage. Seoul: Jungdammedia 

  16. Kim, S. J., & Yoo, K. H. (1999). A study on the operation realities of day care center for cerebral palsy children: Focused on C-day care center. Journal of Living Science Research, 25, 1-17. 

  17. Kim, T. I., & Nam, M. J. (2007). Effects of abdominal meridian massage with aroma oils on relief of constipation in institutionaliz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1), 90-101. 

  18. Lamas, K., Graneheim, U. H., & Jacobsson, C. (2012). Experiences of abdominal massage for constipatio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5-6), 757-765.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1.03946.x 

  19. Lamas, K., Lindholm, L., Engstrom, B., & Jacobsson, C. (2010). Abdominal massage for people with constipation: A cost utility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8), 1719-1729. http://dx.doi.org/10.1111/ j.1365-2648.2010.05339.x 

  20. Lamas, K., Lindholm, L., Stenlund, H., Engstrom, B., & Jacobsson, C. (2009). Effects of abdominal massage in management of constipation-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6(6), 759-767.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9.01.007 

  21. McClurg, D., & Lowe-Strong, A. (2011). Does abdominal massage relieve constipation? Nursing Times, 107(12), 20-22. 

  22. Nam, M. J. (2007). Effects of abdominal meridian massage with or without use of aroma oils for the relief of constipation among institutionalized disabled peop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23. Park, J. M., Choi, M. G., Cho, Y. K., Lee, I. S., Kim, J. I., Kim, S. W., et al. (2011).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diagnosed by Rome III questionnaire in Korea.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17(3), 279-286. http://dx.doi.org/10.5056/jnm.2011.17.3.279 

  24. Preece, J. (2002). Introducing abdominal massage in palliative care for the relief of constipation. Complementary Therapies in Nursing and Midwifery, 8(2), 101-105. http://dx.doi.org/10.1054/ctnm.2002.0610 

  25. Sinclair, M. (2011). The use of abdominal massage to treat chronic constipation.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15(4), 436-445. http://dx.doi.org/10.1016/j.jbmt.2010.07.007 

  26. Sung, M. H., Park, S. J., & Eum, O. B. (2008). The effects of abdominal massage on relieving constipation of the patients with hemodialysi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3), 37-46. 

  27. Thompson, W. G., Longstreth, G. F., Drossman, D. A., Heaton, K. W., Irvine, E. J., & Muller-Lissner, S. A. (1999). Functional bowel disorders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Gut, 45(Suppl 2), II43-II47. http://dx.doi. org/10.1136/gut.45.2008.ii43 

  28. Winge, K., Rasmussen, D., & Werdelin, L. M. (2003). Constipation in neurological disease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74(1), 13-19. 

  29. Worwood, V. A. (2000). Aromatherapy for the healthy child. Novato, CA: New World Library 

  30. Zhang, Y., Zhang, Y. L., & Cheng, Y. Q. (1996). Clinical observation of constipation due to deficiency of vital energy treated by massage and finger pressure methods. Zhonghua Hu Li Za Zhi. Chinese Journal of Nursing, 31(2), 97-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