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소태나무과에 속하는 소태나무 잎 methanol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해 보았다. 먼저, 소태나무 잎 methanol 추출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소태나무 잎 추출물에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367.52{\mu}g/mg$, $46.41{\mu}g/mg$으로 나타나 플라보노이드 보다는 다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염증 매개물질인 NO와 염증성 cytokine인 $PGE_2$를 생성을 측정하였다. 소태나무 잎추출물을 LPS로 염증을 유도한 대식세포에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NO의 생성을 $100{\mu}g/ml$의 농도에서 80%까지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증성 cytokine인 $PGE_2$의 생성을 $50{\mu}g/ml$, $1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85%, 90%까지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태나무 잎 추출물이 염증반응과 관련된 iNOS, COX-2, p-NF-${\kappa}B$, p-$I{\kappa}B$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iNOS 단백질은 농도 유의적으로 그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COX-2 단백질의 경우 12.5, 25, $50{\mu}g/ml$의 농도에서는 큰 변화 나타나지 않았지만 $100{\mu}g/ml$의 농도에서 그 발현이 크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iNOS와 COX-2의 발현을 조절하는 NF-${\kappa}B$ signaling을 확인해 본 결과, $I{\kappa}B$와 NF-${\kappa}B$의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소태나무 잎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from the leaves of Picrasma quassioides BENNET (PLME). The antioxidant effects of PLME were measured based on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PLME was found to have $367.52{\mu}g/m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단백질이 이동된 membrane은 fast green solution으로 transfer의 유무를 확인한 후, 5% non-fat skim milk solution으로 blocking하였다. 4℃에서 일차 항체의 발현 정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TBST (Tris-Buffered Saline and Tween 20) 용액에 1:1,000으로 희석하여 24시간 반응시킨 후 TBST로 3회 세척하였다. 계속하여 이차항체를 2시간 반응시키고 다시 TBST로 3회 세척하였다.
  • 5, 25, 50, 100 μg/ml의 농도의 소태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그 결과, LPS에 의해 RAW 264.7 세포로부터 생성이 증가된 NO를 농도 유의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ig. 1A), 이러한 NO생성 저해가 세포독성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소태나무 잎 추출물 100 μg/ml의 농도 까지 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RAW 264.
  • 즉 PGE2의 생성은 혈관 확장을 일으키는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염증 전 단계로써 통증과 발열을 일으킨다[12]. 따라서 RAW 264.7 세포에 LPS와 소태나무 잎 추출물을 처리한 후, PGE2 생성량을 ELISA ki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Fig. 2). RAW 264.
  • 폴리페놀계 물질들은 식물체에 특수한 색깔을 부여하고 산화 환원반응에서 기질로 작용하며, 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phenolic hydroxyl (OH)기를 가진 방향족 화합물을 가리키며 플라보노이드와 탄닌이 주성분으로 충치 예방, 고혈압 억제, 항에이즈, 항산화,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35]. 먼저 소태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각각 tannic acid, quercetin을 기준 물질로 하여 측정하였다(Table 1). 그 결과, 소태나무 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67.
  • 배양 종료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각 well에 100 μl의 DMSO를 첨가하여 생성된 formazan 결정을 용해시켜 microplate reader로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세포독성은 시료의 흡광도를 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 본 실험에서 사용한 소태나무 잎은 대구시 약령시장에서 건조 상태의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료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세한 후 건조하여 사용하였고, 무게의 10배 량(w/v)의 80% 메탄올을 가하여 24시간 동안 정치하여 총 3회 반복 추출 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Whatman No.
  • 이 때 tannic acid를 이용한 표준곡선은 5, 10, 25, 50, 75, 100μg/ml가 되도록 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7]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각 메탄올 추출물 시료 1 mg을 증류수 1 ml에 녹이고 10배 희석한 희석액 2 ml에 2배 희석한 Folin시약 2 ml를 첨가하고 잘 혼합한 후 3분간 방치한 후 10% Na2CO3 2 ml를 넣고 1시간 반응시킨 후 UV/Visible spectrophotometer (UVIKON 922, Kontron, Italy)를 사용하여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였다. 이 때 tannic acid를 이용한 표준곡선은 5, 10, 25, 50, 75, 100μg/ml가 되도록 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증류수로 세척하고 membrane에 ECL detection kit의 발색시약 Ⅰ과 Ⅱ를 1:1로 섞은 후에 혼합액을 도포하고, X-ray film에 노출하여 현상한 후 film 상에서 iNOS, COX-2 및 IκB, NF-κB의 phosphorylation을 관찰하였다.
  • 3 ml를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quercetin을 사용하였으며, 표준물질의 검량선과 비교하여 함량을 구하였다.
  • 현재 국내·외적으로 천연물로부터 기능성 성분의 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소태나무 잎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진한 편이며,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소태나무 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조사하고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cell에 소태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여, 항염증 활성 효과를 알아보았다.
  • 활성 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의 하나이며, 최근 염증반응의 중요한 작용인자로 알려진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에 대한 소태나무 잎 추출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LPS 로 NO의 생성을 유도한 뒤 12.5, 25, 50, 100 μg/ml의 농도의 소태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 활성화된 RAW 264.7 세포로부터 생성되는 염증 매개 물질인 PGE2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Commercial competitive enzyme immunoassay kit를 구입하여 실험하였다. RAW 264.

대상 데이터

  • 1% naphthylethylendiamine in 25% phosphoric acid) 100 μl를 혼합하여 96 well plates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2- 표준곡선은 NaNO2를 농도별로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 대식세포 계열(murine macrophage cell line)인 RAW 264.7 세포주는 한국 세포주 은행(KCLB, Seoul, Korea)으로부터 분양 받았으며, 10% FBS (fetal bovine serum)와 1% antibiotics (penicillin/streptomycin)를 첨가한 DMEM (Gibco-BRL, Rockville, MD, USA)배지를 이용하여 5% CO2가 존재하는 37℃ incubator에서 1주일에 2~3회 계대 배양하였다.
  • 본 실험에서 사용한 소태나무 잎은 대구시 약령시장에서 건조 상태의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료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세한 후 건조하여 사용하였고, 무게의 10배 량(w/v)의 80% 메탄올을 가하여 24시간 동안 정치하여 총 3회 반복 추출 하였다.

데이터처리

  • 모든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유의성 검사는 SPSS TM version 20.0 (SPSS Inc., Chicago, USA)을 이용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대조구인 분화 Control에 대한 시료 처리군의 통계적 유의성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 RAW 264.7 세포로부터 생성되는 활성 질소종인 nitric oxide (NO)의 양은 Green 등[10]의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배양액 중 존재하는 NO2-형태를 Griess Reagent와 반응시켜 측정하였다. RAW 264.
  • 많은 염증 억제 약물들의 작용기전은 prostaglandin 합성 억제를 나타내며, 이는 COX-2의 생성 및 활성저해에 의한 것이다[28, 32]. 따라서 소태나무잎 추출물의 iNOS 및 COX-2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Western blot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질 내에서의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량을 조사하였다(Fig. 3). RAW 264.
  • 시료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Nieva Moreno법[24]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 추출물 0.
  • 시료의 세포증식과 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Green 등의 방법[9]에 따라 3-(3,4-dimethyl- thiazolyl-2)-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MTT assay는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 효소작용에 의하여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인 MTT가 불용성의 보라색 formazan으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으로, 생성된 formazan의 흡광도는 살아있고 대사가 왕성한 세포의 농도를 반영한다.
  •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7]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각 메탄올 추출물 시료 1 mg을 증류수 1 ml에 녹이고 10배 희석한 희석액 2 ml에 2배 희석한 Folin시약 2 ml를 첨가하고 잘 혼합한 후 3분간 방치한 후 10% Na2CO3 2 ml를 넣고 1시간 반응시킨 후 UV/Visible spectrophotometer (UVIKON 922, Kontron, Italy)를 사용하여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방에서 소태나무의 잔가지와 열매는 어떤 증상의 치료제로 쓰이는가? )는 쌍떡잎 식물 쥐손이풀목 소태나무과의 소교목으로 잎과 줄기의 속껍질에서 소의 태처럼 지독히 쓴맛이 나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건위, 조습, 살균의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잔가지와 열매를 채취하여 소화불량, 위장염, 폐결핵, 습진, 옹종(癰腫), 개선(疥癬) 등의 증상에 치료제로 사용하며, 민간에서는 나무 전체를 솥에 넣고 끓인 물을 살충제로 이용한다. 소태나무의 주요성분으로는 quasinoids, tirucallanes, ionone, alkaloids등이 알려져 있으며[21, 26], 소태나무 열매에는 arbutin, phlorin, koaburaside, syringin, citrusin B, cnidioside B, flavaprenin 7,4-diglucoside, phenyl propanoids와 phenolic compound 등[13]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소태나무는 무엇인가? DON) BENN.)는 쌍떡잎 식물 쥐손이풀목 소태나무과의 소교목으로 잎과 줄기의 속껍질에서 소의 태처럼 지독히 쓴맛이 나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건위, 조습, 살균의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잔가지와 열매를 채취하여 소화불량, 위장염, 폐결핵, 습진, 옹종(癰腫), 개선(疥癬) 등의 증상에 치료제로 사용하며, 민간에서는 나무 전체를 솥에 넣고 끓인 물을 살충제로 이용한다.
소태나무의 잎과 줄기의 속껍질에서 어떤 맛이 나는가? DON) BENN.)는 쌍떡잎 식물 쥐손이풀목 소태나무과의 소교목으로 잎과 줄기의 속껍질에서 소의 태처럼 지독히 쓴맛이 나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건위, 조습, 살균의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잔가지와 열매를 채취하여 소화불량, 위장염, 폐결핵, 습진, 옹종(癰腫), 개선(疥癬) 등의 증상에 치료제로 사용하며, 민간에서는 나무 전체를 솥에 넣고 끓인 물을 살충제로 이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zad, N., Rojanasakul, Y. and Vallyathan, V. 2008. Inflammation and lung cancer: roles of reactive oxygen/ nitrogen species. J Toxicol Env Heal B 11, 11-15. 

  2. Brune, B., Zhou. J. and Von Knethen, A. 2003. Nitric oxide,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Kidney Int Suppl 84, 22-24. 

  3. Cheon, Y. P., Mollah, M. L., Park, C. H., Hong, J. H., Lee, G. D., Song, J. C. and Kim, K. S. 2009. Bulnesia Sarmienti Aqueous Extract Inhibits Inflamma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J Life Sci 19, 479-485. 

  4. Chung, E. K., Seo, E. H., Park. J. H., Shim, J. H., Kim. K. H. and Lee, B. R. 2011. Anti-inflammaatory and anti-allergic effect of extracts from organic soybean. Korean J Organic Agric 2, 245-253. 

  5. Chung, Y. A. and Lee, J. K. 2003. Antioxidative properties of phonolic compounds extracted from black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948-951. 

  6. Delanty, N. and Dichter, M. A. 1998. Oxidative injury in the nervous system. Acta Neurol Scand 117, 463-466. 

  7. Folin, O.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oho- md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8. Golden, B. D. and Abramson, S. B. 1999. Selective cyclooxygenase- 2 inhibitor. Rheum Dis Clin N Am 25, 359-378. 

  9. Green, L. C., Reade, J. L. and Ware, C. F. 1984.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viability: application to the quantitation of cytotoxic and growth inhibitory lymphokines. J Immunol Methods 126, 131-138. 

  10. Green, L. C., Wagner, D. A. and Glogowski, J. 1982. Analysis of nitrate, and 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126, 131-138. 

  11. Higuchi, M., Hisgahi, N., Taku, H. and Osaea, T. 1990. Cytolytic mechanisms of activated macrophages. Tumor necrosis factor and L-arginine-dependent mechanisms act synergistically as the major cytolytic mechanisms of activated macrophage. J Immunol 144, 1425-1431. 

  12. Ilorton, J, K., Williams, A. S., Smith-Philips, Z., Martin, R. C. and O'Beirne, G. 1999. Intracellular measurement of prostaglandin E2 : Effects of anti- inflammatory drugs on cyclooxygenase activity and prostanoid expression. Anal Biochem 271, 18-28. 

  13. Kazuko, Y., Saori, S. and Shigenobu, A. 1995. Phenylpropanooids and other secondary metabolites from fresh fruits of Picrasma quassioides. Phytochemistry 40, 253-256. 

  14. Kim, D. H., An, B. J., Kim, S. G., Park, T. S., Park, G. H. and Son, J. H. 2011. Anti-inflammatory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Solidago virga-aurea and Aruncus dioicus complex extract in RAW 264.7 cells. J Life Sci 21, 648-683. 

  15. Lee, E. S., Ju, H. K., Moon, T. C., Lee, E., Jahng, Y., Lee, S. H., Son, J. K., Baek, S. H. and Chang, H. W. 2004. Inhibition of nitric oxide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 $\alpha$ ) production by propenone compound through blockade of nuclear factor (NF)-kB activation in cultured murine macrophages. Biol Pharm Bull 27, 617-620. 

  16. Lee, H. N., Lim, D. Y., Lim, J. D., Kim, J. D. and Park, H. Y. 2011.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Eupatorium japonicum.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65-71. 

  17. Lee, S. G., Jeong, H. J., Lee, E. J., Kim, J. B. and Choi, S. W. 2011.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medicinal herb mix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200-205. 

  18. Liden, J., Rafter, I., Truss, M., Gustafsson, J. A. and Okret, S. 2000. Glucocorticoid effects on NF-kappaB binding in the transcription of the ICAM-1 gene. Biochem Bioph Res Co 273, 1008-1014. 

  19. Luyengi, L., Suh, N. and Fong, H. 1996. A lignan and four terpenoids from Brucea javanica that induce differentiation with cultured HL-60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Phytochemistry 43, 409-412. 

  20. McCartney-Francis, N., Allen, J. B., Mizel, D. E., Albina, J. E., Xie, Q. W., Nathan, C. F. and Wahl, S. M. 1993. Suppression of arthritis by an inhibitor of nitric oxide synthase. J Exp Med 178, 749-754. 

  21. Murae, T., Tsuyuki, T., Ikeda, T., Nishihama, T. and Takahasshi, T. 1971. Bitter principles of Picrasma ailanthoides Planchon, Nigakilactones A, B, C, D, E, and F. Tetrahedron 27, 1545-1555. 

  22. Miyake, K. 2004. Innate recognition of lipopolysaccharide by Toll-like receptor 4-MD-2. Trends Microbiol 12, 186-192. 

  23. Jung, Y. T., Lee, I. S., Whang, K., and Yu, M. H. 2012. Antioxidant effects of Picrasma quassioides and Chamaecyparis obtusa (S. et Z.) ENDL extracts. J Life Sci 22, 354-359. 

  24. Nivea, M., Sampietro, A. and Vattuone, M.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lis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5. Noh, K. H., Jang, J. H, Min, K. H., Chinzoring, R., Lee, M. O. and Song, Y. S. 2011. Suppressive effect of green tea seed coat ethly acetate fraction on inflammation and its mechanism in RAW 264.7 macrophage cel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625-634. 

  26. Ohmoto, T., Nikaido, T., Koike, K., Kohda, K. and Sankawa, U. 1988. Inhibition of adenosine 3',5'-cyclic monophosphate phosphodiesterase by alkaloids. II. Chem Pharm Bull Tokyo 36, 4588-4592. 

  27. Pruett, S. B., Fan, R. and Zheng, Q. 2003. Characterization of glucocorticoid receptor translocation, cytoplasmic IkappaB, nuclear NFkappaB, and activation of NFkappaB in T lymphocytes exposed to stress-inducible concentrations of corticosterone in vivo. Int Immunopharmacol 3, 1-16. 

  28. Rocca, B. and FitzGerald, G. A. 2002. Cyclooxygenases and prostaglandins: shaping up the immune response. Int Immunopharmacol 2, 603-630. 

  29. Shon, D. H., Choi. D. W. and Kim, M. H. 2012. Improvement of anti-inflammation activity of Gardeniae fructus extract by the tratment of $\beta$ -Glucisudase.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1-336. 

  30. Stuehr, D. J., Cho, H. J., Weon, N. S., Weise, M. F. and Nathan, C. F. 1991.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ytokine-induced macrophage nitric oxide synthase: An FAD-and FMN-containing flavoprotein. P Natl Acad Sci USA 88, 7773-7777. 

  31. Kim, H. K., Lee, M. Y., Hong, I. P., Choi, Y. S., Kim, N. S., Lee, M. L. and Lee, S. C. 2010.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capacity of several monofloral honey correlation with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Korean J Apiculture 25, 275-282. 

  32. Turini, M. E. and DuBois, R. N. 2002. Cyclooxygenase-2: a therapeutic target. Annu Rev Med 53, 35-57. 

  33. Weisz, A., Cicatiello, L. and Esumi, H. 1996. Regulation of the mouse inducible-type nitric oxid synthase gene promoter by interferon- ${\gamma}$ ,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and NG-monomethyl-L-arginine. Biochem J 316, 209-215. 

  34. Willoughby, D. A. 1975. Human arthritis applied to animal models. Towards a better therapy. Ann Rheum Dis 34, 471-478. 

  35. Yoshizawa, S., Horiuchi, T., Hirota, F., Takashi, Y., Okuda, T. and Sugimura, T. 1987. Antitumor promoting activity of (-)-epigallocatechin gallate, the main constituent of tannin in green tea. Phytother Res 1, 44-47. 

  36. Yun, H. Y., Dawson, V. L. and Dawson, T. M. 1996. Neurobiology of nitric oxide. Crit Rev Neurobiol 10, 291-3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