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사 의견 조사에 기초한 수학 교과에서의 수업평가 기준 및 활용 탐색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opinion research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7 no.1, 2013년, pp.39 - 62  

황혜정 (조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자는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을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지식',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 '수업 상황 지식' 네 가지로 상정하고, 각각의 지식에 대한 수업평가 영역 및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순차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마련된 평가 기준은 실제로 교사의 의견 수렴을 거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다분히 추상적이고 형식적 측면이 강하므로, 평가 기준의 양이나 기준 내용의 가독성, 적절성 등이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제 삼자에 의해 판단, 검증될 필요가 있겠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에서는 위의 선행 연구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수행된 결과로부터 마련된 교사 지식에 관한 수업평가 기준을 면밀히 검토하여, 현장에서 보다 수월하게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이의 활용 가능성 및 방안을 탐색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몇몇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평가 기준을 활용하여 본인의 수업을 실제로 점검해 보게 하고, 두 차례에 걸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에 앞서, 본 연구의 대상인 교사들에게 보다 나은(가독성 있고 효율적인) 수업평가 기준 및 사용법을 제공하고자 사전 연구를 실시하여 수업평가 기준 및 활용법을 일차적으로 수정 보완하였다. 한 마디로, 본 연구는 교사 지식에 대한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에 초점을 둔 수업평가 기준을 최종적으로 마련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의 기대는 합리적이고 효과성을 거둘 수 있는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 이를 토대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이 보다 적극적으로 고무됨으로서 교실 수업이 개선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 the standards or elements of teaching evaluation,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has carried out the following research such as : 1) development of the standards on teaching evaluation between 2004 and 2006, and 2) investigation on the elements of Teacher Knowledge. The p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식보유’ 단계에서는 교사 지식이 갖추고 있는 지식에 관한 이해 정도가 수업을 원만히 진행하는데 충분하다고 생각하였는지, ‘수업계획’ 단계에서는 본인이 준비한 수업 계획 정도가 수업을 원만히 진행하는데 충분하다고 생각하였는지, ‘수업실행’ 단계에서는 본인이 충실히 수업계획에 따라 수업을 실행하였는지, 그리고 ‘수업반성’ 단계에서는 본인이 수행한 수업에 대하여 그 결과에 만족하는지를 점검, 판단하고자 하였다.
  • 2차 설문 조사의 목적은 수학 교과에서 교사 지식에 대한 수업평가 기준을 교사 지신이 자신의 수업 내용, 과정 및 결과에 비추어 분석하고 평가하여 수업의 질 개선 및 교사 지식의 확장에 효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 설문은 선택형과 서답형 유형의 1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때 우선 선택형의 질문을 제시하고, 해당 보기를 선택한 이유를 제시해 달라는 서술형 형태의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 한 마디로, 본 연구는 교사 지식에 대한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에 초점을 둔 수업평가 기준을 최종적으로 마련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의 기대는 합리적이고 효과성을 거둘 수 있는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 이를 토대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이 보다 적극적으로 고무됨으로서 교실 수업이 개선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 그 결과는 에 제시된 바와 같이 도출되었으며, 여기서는 지면 관계상 교과 내용 지식(SMK)에 관한 평가 기준에 관한 것만을 제시하였다.
  • 또한, 수업 평가는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의 모든 상황에서 가능할 터인데 각각의 상황에서 어떻게 수업평가 기준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지 등에 관한 활용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의 선행 연구들 중에서 가장 최근 연구(황혜정, 2012)에서 마련된 평가 기준을 면밀히 검토하여 수정․보완하고, 현장에서 보다 수월하게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방안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몇몇(7명)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평가 기준을 실제로 적용한 수업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두 차례에 걸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 평소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에 대한 평가를 어느 정도 실시하고 반성하는지에 관해 묻는 질문에 대하여 7명의 교사 중 6명의 교사가 ‘보통이다’를 선택하였고, 1명의 교사만 ‘자주 하는 편이다’를 선택하였다. 또, 평소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에 대한 자기 평가를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묻는 문항에 대하여 교사들이 복수 응답하도록 하였다. 응답 결과, ‘연수를 통해 자신의 수업을 반성 및 평가 한다’에 응답한 교사가 5명으로 가장 빈도가 높았고, 그 다음으로 ‘자신의 수업을 비디오 촬영하여 수업을 반성 및 평가한다’가 3명, ‘자체 제작된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수업을 평가한다’가 1명, 그리고 자기 평가를 하지 않고 있는 교사는 한 명도 없었다.
  • 본 연구에서는 수업평가 기준 내용의 이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1차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향후 수업평가 기준의 활용성 및 그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한 2차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대상은 G 광역시에 소재한 중고등학교 재직 중인 교직 경력이 2∼8년인 7명의 남녀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 이 중에서, 수학 내용, 수학적 태도, 학습자 오개념은 수업 전반에 걸쳐 강조되거나 실시되는 항목으로 여겨지므로, 이에 대해서는 기준 내용 자체의 삭제는 고려하지 않았으며,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다. 본래의 기준에서는 평가도구의 마련과 활용을 구분하였는데, 평가도구의 사용은 마련 후에 가능한 것이므로 이를 통합하여 제시하였다. <표 Ⅲ-9 참조>
  • 수학과 수업평가 기준의 향후 효율적인 활용 방안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교사들에게 복수 응답하도록 하였다. 응답 결과 7명의 교사 중 6명의 교사가 수업 후 수업 반성에 대한 기준으로 만족도를 평가하여, 만족도가 낮을 시 낮은 이유(지식의 보유, 수업 계획, 수업실행)를 찾겠다고 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4가지 교사 지식의 영역 중 필요한 영역을 선택하여 사용하겠다고 답한 교사는 7명 중 5명이었다.
  • 우선, 본 장을 통하여 이러한 사전 연구에 관한 소개에 앞서, 본 연구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연구 수행에 기초가 된 선행 연구들 중에서 가장 최근의 것에 관하여 간략히 제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교사 지식과 수업 단계의 관계에 따라 수업 평가틀을 마련하고 이 틀에 맞춰 수업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즉, 수업 평가틀을 토대로, 네 가지 교사 지식 부문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 기준들을 지식보유, 수업계획, 수업실행, 수업반성 단계마다 제시하였다.
  • 이 장에서는 본 연구를 수행하기에 앞서 실시된 사전 연구에 관한 내용과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사전 연구(사전 연구 1차) 결과에 따라 본 연구 방법을 일부 수정하고, 이어서 두 번째 사전연구(사전 연구 2 차)를 수행하였다.
  • 더 나아가, 교사 지식과 수업 평가를 접목하여 수행한 선행 연구가 부족하여 지금껏 본인에 의해 수행된 일련의 연구 결과들은 평가 영역의 선정 과정 등에서 일관성과 효율성 등이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수차례 수행된 연구 결과들을 재검토하여 보다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수정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때, 각각의 교사 지식에 대한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를 신중히 고려함은 물론, 특히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의 상황을 모두 반영한 수학 수업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었다(황혜정, 2012).
  • 이를 위하여 몇몇(7명)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평가 기준을 실제로 적용한 수업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두 차례에 걸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앞서 교사 한 명을 대상으로 사전 연구를 실시하였는데2) 이의 목적은 본 연구의 대상인 교사들에게 보다 나은 (가령, 가독성 있고 효율적인) 수업평가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사용하여 본인의 수업을 점검해 보고 설문 조사에 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 연구 대상인 7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2주간에 걸쳐 수업평가 기준(수정1안, 즉 사전 연구 결과에 따라 연구자가 임의로 수정 보완한 기준안)을 활용하여 수업평가를 실시하고, 수업평가 기준 이해도 점검을 위한 1차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의 목적은 평가 기준 이해도에 관한 설문 결과에 따라 이를 충분히 반영하여 수업반성에 관한 평가 기준을 재수정하고 보완하고자 함이다. 1차 설문 내용은 다음 <표 Ⅲ-2>의 예와 같이, 수업평가 기준을 본인이 이해한 정도에 따라, 0~4 중에서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하고, 점수가 0, 1, 2인 경우, 이는 평가 기준 내용이 잘 이해되지 않았음을 뜻하는 것이므로, 본인이 판단하기에 해당 평가 기준의 내용이 왜 잘 이해되지 않았는지에 관한 이유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 한 마디로, 본 연구는 교사 지식에 대한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에 초점을 둔 수업평가 기준을 최종적으로 마련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의 기대는 합리적이고 효과성을 거둘 수 있는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 이를 토대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이 보다 적극적으로 고무됨으로서 교실 수업이 개선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 교과에서의 수업평가 기준의 목적은? 수학 교과에서의 수업평가 기준은 교사 자신의 수업 역량과 실천 정도를 판단하고 가늠하여, 그 결과를 기초로 하여 교사 자신의 경험과 역량을 보다 전문적인 학습 기회의 장으로 연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본인의 수업 전문성을 높이고 수업을 개선시킬 수 있는 데에 그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취지를 살려, 한국교육 과정평가원에서 수학 교과를 비롯하여 모든 교과를 대상으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수업 평가 기준, 즉 ‘교사 지식’, ‘계획’, ‘실천’, ‘전문성(반성)’의 네 개의 평가 기준 영역과 그에 따른 하위 평가 요소 및 관찰 지표를 마련한 바 있다(임찬빈 외, 2004, 2005, 2006).
한국교육 과정평가원에서 교사 수업 평가 기준을 만든 목적은? 이러한 취지를 살려, 한국교육 과정평가원에서 수학 교과를 비롯하여 모든 교과를 대상으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수업 평가 기준, 즉 ‘교사 지식’, ‘계획’, ‘실천’, ‘전문성(반성)’의 네 개의 평가 기준 영역과 그에 따른 하위 평가 요소 및 관찰 지표를 마련한 바 있다(임찬빈 외, 2004, 2005, 2006). 이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을 독려하기 위해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기준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이뤄진 것이며, 또한 교사가 자기평가 (self-assessment)를 통해 필요한 평가 영역 및 기준을 선택하여 스스로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수업 개선의 여지를 마련하기 위함이었다.
한국교육 과정평가원에서 만든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수업 평가 기준 네가지는? 수학 교과에서의 수업평가 기준은 교사 자신의 수업 역량과 실천 정도를 판단하고 가늠하여, 그 결과를 기초로 하여 교사 자신의 경험과 역량을 보다 전문적인 학습 기회의 장으로 연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본인의 수업 전문성을 높이고 수업을 개선시킬 수 있는 데에 그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취지를 살려, 한국교육 과정평가원에서 수학 교과를 비롯하여 모든 교과를 대상으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수업 평가 기준, 즉 ‘교사 지식’, ‘계획’, ‘실천’, ‘전문성(반성)’의 네 개의 평가 기준 영역과 그에 따른 하위 평가 요소 및 관찰 지표를 마련한 바 있다(임찬빈 외, 2004, 2005, 2006). 이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을 독려하기 위해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기준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이뤄진 것이며, 또한 교사가 자기평가 (self-assessment)를 통해 필요한 평가 영역 및 기준을 선택하여 스스로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수업 개선의 여지를 마련하기 위함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임찬빈?이화진?곽영순?강대현?박영석 (2004).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 일반기준 및 교과(사회, 과학, 영어) 기준 개발. 연구보고 RRI 2004-5.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 임찬빈?이화진?서지영?차우규 (2005).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I): 일반 기준 및 교과(영어, 도덕, 체육) 기준 상세화. 연구보고 RRI 2005-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임찬빈?이화진?최승현?오은순?이경언?이수정?노은희?권순달 (2006).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II): 일반 기준 및 교과(국어, 수학, 기술?가정, 음악, 초등)기준 상세화. 연구보고 RRI 2006-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최승현 (2007).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 연구보고 RRI 2007-3-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최승현?강대현?곽영순?장경숙 (2008). 교과별 내용교수지식(PCK) 연구(III) - 중등 초임교사 수업컨설팅을 중심으로- . 연구보고 RRI 2008-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6. 황혜정 (2010a). 교과 내용 지식(SMK)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 평가 기준 고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45-67. 

  7. 황혜정 (2010b). 수업 상황에 관한 교사 지식의 평가 요소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3), 397-413. 

  8. 황혜정 (2010c).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 평가 요소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4), 569-594. 

  9. 황혜정 (2011a).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 지식에 기초한 반성적 수업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2), 123-142. 

  10. 황혜정 (2011b). 수학 수업의 교사 지식에 관한 평가 요소 탐색 -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241-263. 

  11. 황혜정 (2012).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에 대한 평가 기준 재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E , 26(1). 29-55. 

  12. Schon, D.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Y : Basic Books. 

  13.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