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 탐색 -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을 중심으로-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Mathematical Competenci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2 no.1, 2018년, pp.97 - 111  

황혜정 (조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교 교육에서 교사 지식 내지 교사의 수업 전문성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 부문을 계발하고 정진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할 것이며, 이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사의 수학 수업평가 요소를 마련하는 일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이러한 취지하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 전문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수학 수업의 평가영역 및 그에 따른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과 역량에 초점을 두어 이를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다만,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지식,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 수업 상황 지식 등과 같은 여러 교사 지식 중, 평가는 교수 학습 방법 및 활동과도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고상숙 외, 2012)에 따를 뿐만 아니라 수학 교과에서의 교과 역량이 교육과정 문서 상 '교수 학습 방법' 부문에 제시되어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교수 학습방법 및 평가'에 관한 지식 부문에 중점을 두어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학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업평가는 수업전의 수업 계획, 수업후의 수업 실행 (결과), 수업후의 반성 측면에서 그 평가가 가능한데, 실제로 수업 진행 상황에 관한 '실행'이 기본이 되고 중요하다는 판단 하에, 본 연구에서는 수업 실행에 중점을 두어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omains and the standards of instructional evaluation on the teacher knowledge dealing with the knowledg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Especially, in this study, the instruction assessment standards are developed focused on the six types of math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수업평가는 수업전의 수업 계획, 수업후의 수업 실행 및 반성 등의 측면에서 그 평가가 가능하므로, 이 세 부문에 관한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다만, 우선적으로 수업 실행에 중점을 두어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수업전의 수업 계획과 수업후의 수업 반성에 관한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한 마디로,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에서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에 중점을 두어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수업평가는 수업전의 수업 계획, 수업후의 수업 실행 및 반성 등의 측면에서 그 평가가 가능하므로, 이 세 부문에 관한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다만, 우선적으로 수업 실행에 중점을 두어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수업전의 수업 계획과 수업후의 수업 반성에 관한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수업평가를 주요 주제로 삼았는데, 이는 교사의 전문성이 교실 수업 살리기의 성패를 좌우하는 현 상황에서 공교육의 위상 강화와 교사 전문성 발달을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수업평가 및 개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평가 기준의 마련이 필요함을 숙지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공교육의 내실화 및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이루기 위하여 좋은 수학 수업 계발 및 좋은 수업 요소 마련, 수학 수업평가 기준 개발 및 관찰 지표 마련, 그리고 수학 교사 지식으로서의 PCK 개념 정립 및 특징 탐색 등과 관련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황혜정, 2011, 재인용).
  • 여섯 가지 역량 중 ‘창의·융합’의 필요성은 수식과 기호 위주의 수학을 단순히 기능으로 익히는 것을 넘어서 수학 내적 연결성을 강화하고 수학 외적 연결성, 즉 수학과 인접 분야의 통합을 도모하고자 함에 있다.
  • 또, 수학 교과 역량이 교육과정 상의 목표와 교수 학습 방법에서 선언적으로 제시되어 왔을 뿐, 실제적으로 교사를 중심으로 학생들에게 적극적이고 명확하게 지도되고 있다고는 볼 수 없다(김유경, 2017).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에 서는 수학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을 개발하고자 하는 데에 여러 교사 지식 중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과 연계시키고자 한다. 다시 말하면, 이는 평가란 교수⋅학습 방법 및 활동과도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고상숙 외, 2012)을 수용하고, 또 수학 교과에서의 교과 역량이 교육과정 문서 상 ‘교수 학습 방법’ 부문에 제시되어 있다는 것을 감안한 데에서 기인한다.
  • 그러나 장신애(2016)가 지적한 바와 같이, 본 연구자에 의해 수행된 선행 연구들(즉, 교사 지식 및 평가 영역의 세분화 작업, 각 평가 영역에 대한 평가 요인 정립, 그리고 그에 따른 평가기준 개발) 은 ‘자기 평정법의 분석 준거’의 연구 방법에 따라 구체적으로 탐색 시행되었으나, 이러한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제안된 수업평가 기준은 형식적이고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2013년에 수업평가 기준을 3명의 중학교 수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험수업을 실시하고 자기평가를 실시한 후 심층 면담을 통해 수업평가 기준을 점검하고 정선한 바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주목 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 관한 수업평가 영역은 <표 II-1>과 같으며 각 영역의 의미 및 요소는 <표 II-2>와 같다.
  • 이러한 취지하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 전문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수학 수업의 평가기준 영역 및 기준을 마련하되, 특히 2015 개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과 역량에 초점을 두어 이를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행’ 부분에 중점을 두고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한 마디로,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에서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에 중점을 두어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융합 역량은 어떤 것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인가? 즉, 수학과의 경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명시된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의 세 가지 ‘수학적 과정’에 ‘창의·융합’, ‘정보처리’, ‘태도 및 실천’ 요소를 추가하여 여섯 가지로 수학 교과 역량을 규정하였다(교육부, 2015). 여섯 가지 역량 중 ‘창의·융합’의 필요성은 수식과 기호 위주의 수학을 단순히 기능으로 익히는 것을 넘어서 수학 내적 연결성을 강화하고 수학 외적 연결성, 즉 수학과 인접 분야의 통합을 도모하고자 함에 있다. ‘정보처리’의 필요성은 특정 지식에 대한 실제 문제 상황에 적용하고 주어진 정보와 공학적 도구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높이고자 함에 있다.
정보처리 역량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여섯 가지 역량 중 ‘창의·융합’의 필요성은 수식과 기호 위주의 수학을 단순히 기능으로 익히는 것을 넘어서 수학 내적 연결성을 강화하고 수학 외적 연결성, 즉 수학과 인접 분야의 통합을 도모하고자 함에 있다. ‘정보처리’의 필요성은 특정 지식에 대한 실제 문제 상황에 적용하고 주어진 정보와 공학적 도구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높이고자 함에 있다. 또, ‘태도 및 실천’ 역량은 그동안 태도와 실천에 관련된 항목들이 기존 교육과정의 ‘교수 학습 방법’에 제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학에 대한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태도가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중대한 이슈인 만큼 정의적 측면을 더욱 강조하여 반영하기 위함이다(박경미, 2015).
2015 개정에 따른 교육과정에서 수학과는 어떤 역량을 규정하였나? 2015 개정에 따른 교육과정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교과 역량의 강조이다. 즉, 수학과의 경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명시된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의 세 가지 ‘수학적 과정’에 ‘창의·융합’, ‘정보처리’, ‘태도 및 실천’ 요소를 추가하여 여섯 가지로 수학 교과 역량을 규정하였다(교육부, 2015). 여섯 가지 역량 중 ‘창의·융합’의 필요성은 수식과 기호 위주의 수학을 단순히 기능으로 익히는 것을 넘어서 수학 내적 연결성을 강화하고 수학 외적 연결성, 즉 수학과 인접 분야의 통합을 도모하고자 함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고상숙, 고호경, 박만구, 한혜숙, 홍예윤 (2012). 수학교육평가론. 서울: 경문사. (ko Sang Sook, Ko ho Kyung, Park, Man Goo, Han Hye Sook, Hong Yue Yoon (2012). The theory of Mathematical Education Assessment. Seoul: Kyung Moon Sa.) 

  2.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세종: 교육부.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2015-74, 8). Sejong: The Ministry of Education.) 

  3. 김유경 (2017). 수업과 통합한 수학 교과 역량 중심의 평가 실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1), 93-11.(Kim, Yukyung (2017). Action Reserach on Math Competencies-oriented Assessment of Integrated Instructio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1(1), 93-113.) 

  4. 박경미 외 42명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Park Kyung Mee, et. al. (2015). A study on mathematical curriculu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Korea Founc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5. 성은현, 성소연, 김누리, Y.S.Hwang (2014).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 자기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영재와 영재교육, 13(2), 230-257.(Seung Eun Hyun, Sung So Yeon, Kim Noo Ri, Hwang Young Suk (2014). Development of the Self Assessment of Creativity Education in the Classroom.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3(2), 230-257.) 

  6. 장신애 (2016). 교사가 인식하는 중등 수학과 수업평가 요인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Jang, Sin Ae (2016). Factor Analysis of Second School Math Teaching Evaluation Recognized by Teachers. Grade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 Dissertation.) 

  7. 이차영, 박찬주 (2005). 교사평가의 쟁점: 평가주체 논쟁에 관한 외국 사례의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15(3), 177-197.(Lee Cha Young, Park Chanjoo (2005). Who evaluates teachers?: some implications from foreign cases.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15(3), 177-197.) 

  8. 임찬빈, 이화진, 최승현, 오은순, 이경언, 이수정, 노은희, 권순달 (2006).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III): 일반 기준 및 교과(국어, 수학, 기술?가정, 음악, 초등)기준 상세화. 연구보고 RRI 2006-3.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Imm, Chan-Binn, Yi, Hwa-Jin, Choi, Seung-Hyun, Oh, Eun-Soon, Lee, Kyung-Eon, Lee, Soo-Jung, Ro, Eun-Hee, Kwon, Sun-Dal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III). Research Report RRI 2006-3. Seou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9. 황혜정 (2011). 수학 수업의 교사 지식에 관한 평가 요소 탐색 -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241-263. (Hwang, Hye Jeang (2011).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4(3), 241-263.) 

  10. 황혜정 (2012).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에 대한 평가 기준 재탐색. 수학교육논문집, 26(1), 29-55. (Hwang, Hye Jeang (2012).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ing Focused on Teacher's Knowledg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6(1), 29-55.) 

  11. 황혜정 (2013). 교사 의견 조사에 기초한 수학 교과에서의 수업평가 기준 및 활용 탐색. 수학교육논문집, 27(1), 39-67. (Hwang, Hye Jeang (2013).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opinion research.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1), 39-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