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통한 반성과 변화
Reflections and Changes Through Assistant Teacher Experience For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2 no.1, 2018년, pp.59 - 77  

김수진 (인해대학교 대학원) ,  권나영 (인하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 프로그램에서 교육실습이 아닌 형태의 현장실습을 포함한 수업을 통한 중등예비수학교사의 반성과 그 변화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정규 수학수업에서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한 중등예비수학교사 2인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2015년도 1학기 수업에 참여한 중등예비수학교사들의 학습보조교사 활동 보고서 및 간담회 등의 자료를 통해 반성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한 중등예비수학교사의 반성내용은 교사, 학생, 교과내용, 자기 자신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에 대한 반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등예비수학교사가 참여한 수업의 형태에 따라 반성내용의 비율도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flections of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their changes through practicing as assistant teacher in mathematics classroom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on the reflections and their changes. During the 2015 Spring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습보조교사 활동은 자신의 수업 시간 중 가능한 시간을 골라 활동하였기 때문에 개인에 따라 현장실습을 다녀온 시간과 횟수가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등예비수학교사 2인의 3월부터 5월까지의 활동으로 제한하여 연구자가 공통된 기간에 해당하는 6회 동안의 활동보고서로 시간에 따른 반성내용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두 중등예비 수학교사의 활동보고서 상에서 두드러진 변화는 A의 경우는 교사에 대한 반성내용이 줄고 학생에 대한 반성내용이 많아졌다는 것과 B의 경우는 교과 내용에 대한 반성이 많아졌다는 점이다.
  • 또한 활동보고서에 나타난 내용 중 학생 영역 부분의 반성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과 같이 내용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를 확인해 보았다.
  • 본 연구는 수학교육론과 수학 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모두 수강한 중등예비수학교사 3학년을 대상으로 현장실습으로 인한 변화를 확인하고자 수강생 중 네 명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고 본고에서는 이 중 두 명만을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 본 연구는 중등예비수학교사가 약 4개월 동안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하면서 무엇을 생각하고 그 생각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확인해보기 위해 활동보고서에서 반성내용을 분석하였다. 각자의 활동에 대한 6회의 활동보고서를 분석틀로 분석한 결과 두 명의 중등수학예비교사들은 반성내용에 있어서 약간 다른 경향을 보였다.
  • 본 연구는 질적 연구 중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한 두 중등예비수학교사에 대한 사례 연구로서 예비교사들의 저널에 해당하는 활동보고서를 주요 자료로 하여 그들의 반성내용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등수학교사 양성과정에 교육실습이나 교육봉사가 아닌 새로운 형태의 현장실습을 계획하여 운영해보고 이것이 예비교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여기서 의미하는 새로운 현장실습이란 중학교 정규 수학수업에 예비교사가 학습보조교사로 활동하는 것으로 예비교사 단독으로 실습을 진행하는 것이 아닌 중등교사 양성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진행되는 실습활동을 말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등예비수학교사들의 학생에 대한 반성내용에서 부정적인 내용이 많은 이유를 그들의 활동 경험에서 찾는다. A는 활동보고서에서 “선생님은 성적은 낮은 학생들을 위주로 봐주기를 바라신다(6회 보고서).
  • 본 연구에서는 중등예비수학교사들이 교육실습이 아닌 현장실습을 통하여 어떤 내용을 반성하게 되고 어떠한 변 화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활동보고서를 분석하고 반성내용에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사례연구로 진행된 본 연구결과, 정규수학수업에 학습보조교사로 활동한 중등예비수학교사 A와 B의 반성내용을 분석하여 교사, 학생, 교과 내용, 자기 자신에 대한 반성내용과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중등예비수학교사의 반성내용 중 학생에 대한 반성내용이 긍정적인지 또는 부정적인지를 확인해 보았다. 이는 권나영(2010)의 연구결과에서 초임교사들이 경력교사들에 비해 학생들을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중등예비수학교사들의 반성내용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형태의 현장실습으로 중등수학교사 양성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학교 수업현장에서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한 예비수학교사의 반성내용과 이를 통한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현장실습은 중등수학교사 양성과정에 중요한 현장실습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시행된 것으로 사범대학의 중등수학교사 양성과정으로 개설된 강의와 연계하여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하는 것이다.
  • 여기서 의미하는 새로운 현장실습이란 중학교 정규 수학수업에 예비교사가 학습보조교사로 활동하는 것으로 예비교사 단독으로 실습을 진행하는 것이 아닌 중등교사 양성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진행되는 실습활동을 말한다. 이러한 현장실습을 진행하고 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예비교사가 활동 후 작성한 저널을 통해 반성내용의 측면에서 교육실습과 본 연구에서의 현장실습이 어떤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본다.
  • 반성적 사고를 자극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Korthagen, Kesels, Koster, Lagerwerf, & Wubbels(2007)는 예비교사가 수업한 내용을 녹음한 후 몇 가지 사례를 반성해보도록 하기도 하고 Bain, Ballantyne, Packer, Mills(1995)는 저널쓰기를 통하여 예비교사의 반성을 촉진하기도 하였다. 저 널쓰기는 예비교사가 자신의 활동을 성찰할 수 있도록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도 예비교사의 학습 보조교사 활동에 대한 반성을 촉진하기 위해 저널쓰기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교육실습과는 어떻게 다른 내용의 반성을 하는지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교육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는? 학교 현장에서의 경험은 전문가로서 자신의 교육활동을 성찰하고 실천적 지식을 생성하는 역량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Santagata, 2011). 따라서 교사교육 과정에서 수업을 관찰하거나 직접 가르치는 경험 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6개국의 예비수학교사들의 교사교육과정과 신념을 비교한 Schmidt, Blömeke, & Tatto(2011)의 연구 자료를 살펴보면 학교 현장에서의 경험측면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예비교사들은 다른 5개국 예비 교사에 비해 매우 적은 편이다.
예비 수학교사 시기에 교육 경험이 필요한 이유는? 특히, 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예비수학교사 시기에서부터 적절한 교육 경험이 필요하다(강현영, 2016). 예비수학교사들은 수학 내용이나 교육학에 관한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기회는 많이 가질 수 있지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학 지도의 경험을 접할 수 있는 기회는 흔치 않다(심상길, 이강섭, 2013). 중등예비수학교사는 주로 교육실습을 통해 교육 경험을 하게 되며, 이는 중등예비수학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교육실습은 무엇인가? 교육실습은 예비교사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김병찬, 2005; 백순근, 2007; 신혜경, 2015; 심상길, 이강섭, 2013; 엄미리, 엄준용, 2009; 정혜영, 2009; 허창수, 2007). 교육실습이란 교원 양성교육 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한 활동으로, 현직 경험을 통해 교사로서 필요한 다양한 요건들을 갖추어 주고자 하는 취지에서 시행되어 온 전통적 교직 준비 프로그램 과정이라 할 수 있다(김병찬, 2005). 또한 교원양성기관에서 습득한 교직에 관한 전문적인 이론을 교육현장에서 직접 체험을 통하여 실천해 봄으로써 자신을 평가해 보고 능력을 발휘하며, 교직에 대한 적성여부를 최종 검진해 보는 과정이기도 하다(심상길, 이강섭,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강경희(2016). 포트폴리오 활용이 예비 과학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2), 221-229. (Kang, K. (2016). Narrative inquiry on effects of portfolio application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2), 221-229.) 

  2. 강현영(2016).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효과적인 교육실습을 위한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6(2), 225-246. (Kang, H. (2016). A study on utilization of teaching portfolio for effective teaching practicum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6(2), 225-246.) 

  3. 고상숙, 김은호, 문정윤, 배지은, 정대진(2011). 교생실습에서 예비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 학술지, 11(2), 137-146. (Ko, S., Kim, H., Moon, J., Bae, J., & Jung, D. (2011). A study on pedagogical content knolwedge of pre-service teacher during practicum. Studies in Mathematical Education, 11(2), 137-146.) 

  4. 교육인적자원부(2008). 교사자격 무시험검정 기준 강화를 위한 관련 법령 개정안 및 교육부고시 신설한 주요내용.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8). Amendment fo relevant laws and ordinances for strengthening the standards for teachers' qualification.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5. 곽덕주, 진석언, 조덕주(2007).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경험에 대한 반성'의 특징. 敎育學硏究, 45(4), 195-223. (Kwak, D. Jin, S. Jo, D.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practical experiences during the practicum.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5(4), 195-223.) 

  6. 권나영(2010). 수학 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고찰: 평가하기 경우. 수학교육, 49(4), 411-421. (Kwon, N. Y. (2010). Investigation of mathematics teacher refleciton-about Assess instance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9(4), 411-421.) 

  7. 권종겸(2014). 반성적 수업 분석지를 활용한 교육실습에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교수행동 및 인식 변화. 한국수학사학회지, 27(5), 365-384. (Kwon, J. (2014). Changes in teaching behaviors and awarenes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y using survey on self-reflection during education practices. Journal of History of Mathematics, 27(5), 365-384.) 

  8. 김무영(2010). 교육실습을 통해 본 예비체육교사의 반성내용과 반성수준.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3), 57-77. (Kim, M. Y. (2010). The contents and levels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valuated through teaching practice.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7(3), 57-77.) 

  9. 김미선(2015). 맹학교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에서의 반성내용 고찰. 視覺障碍硏究, 31(3), 65-88. (Kim, M. (2015). Consideration on the content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of pre-special teacher participated in practice teaching of a school for the blind.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lement, 31(3), 65-88.) 

  10. 김병찬(2005).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가? 敎育行政學硏究, 23(4), 49-76. (Kim, B. (2005). A study on the meanng of student teaching of student-teachers in the secondary school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3(4), 49-76.) 

  11. 김선희(2012). 실습과 반성을 통한 수학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수학교육학연구, 22(2), 277-292. (Kim, S. H. (2012). Improving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assessment competence through practice and reflec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2(2), 277-292.) 

  12. 김선희(2013). 수학 예비교사의 가상 수업 시연의 특징 및 동료 예비교사의 평가. 수학교육, 52(4), 465-481. (Kim, S. H. (2013). Analysis on the peer assessment results and the attributes of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virtual instruction. The Mathematicsl Education, 52(4), 465-481.) 

  13. 박성혜(2007). 교육 실습을 통한 중등 예비 교사들의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결과기대감의 변화. 한국교원교육연구, 24(1), 271-297. (Park, S. (2007). Impact of student teaching on prospective teachers'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4(1), 271-297.) 

  14. 박인심(2014). 협력학교 기반 교육봉사활동의 성과 분석: S여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1-17. (Park, I. (2014). Analyzing the outcomes of partnerschool-based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from female preservice teachers' prespective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1(2), 1-17.) 

  15. 배성아, 안정희(2014). 예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의미 분석.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4(11), 393-417. (Bae, S., & An, J. (2014). Analyzing on preservice teachers' difficulties and meanings from microteaching experience using preservice teachers' journal writ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1), 393-417.) 

  16. 백순근, 함은혜(2007).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육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20(4), 1-29. (Baek, S. & Ham, E. H. (2007). The effects of teaching practicum on educational value in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0(4), 1-29.) 

  17. 서울시교육청(2006). 대학과 함께하는 중등교육: 대학생 보조교사제.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06). Secondary education with universities. Seoul: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18. 손승현, 이예다나, 이정민(2009). 대학생 보조교사제가 교육봉사에 주는 함의: K 대학교의 학습부진아 실습 사례연구. 한국교육학연구, 15(2), 181-204. (Son, S., Lee, Y., & Lee, J. (2009). Implication of pre-service mentoring program for service learning: Case of K university practicum for teaching underachiever,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5(2), 181-204.) 

  19. 신혜경(2015). 중등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을 통한 음악교사효능감 변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111-135. (Shin. H. (2015). The influence of student-teaching experiences on pre-servic music teacher efficac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12), 111-135.) 

  20. 심상길(2015). 마이크로티칭에서 예비수학교사들의 동기유발에 대한 수업 행동과 변화. 수학교육논문집, 29(4), 643-660. (Shim, S. K. (2015).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behaviors and changes about motivation in microteaching. Communica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29(4), 643-660.) 

  21. 심상길, 이강섭(2013). 예비수학교사들의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과 수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수학교육, 52(4), 517-529. (Shim, S. K., & Lee, K. S. (2013). Perception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racticum and difficulties of mathematics instruc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52(4), 517-529.) 

  22. 심상길, 이강섭(2015). 학교현장실습이 중등 예비수학교사들의 교사의 지식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친 영향. 수학교육, 54(4), 351-363. (Shim, S. K., & Lee, K. S. (2015). Effects of teaching practicum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 changes about teacher's knowledge, The Mathematical Education, 54(4), 351-363.) 

  23. 엄미리, 엄준용(2009). 교육실습 전.후 예비교사의 역량변화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491-508. (Uhm, M., & Uhm, J. (2009). A survey on change of competency for pre-service teachers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um.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3), 491-508.) 

  24. 오영열(2007).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대학생 지도교사제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1), 257-275. (Oh, Y. (2007). Implications of after-school learning programs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for teaching students with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7(1), 257-275.) 

  25. 이남호(2007). 반성적 사고 실천에 기초한 교육실습. 교육사상연구, 21(3), 181-200. (Lee, N. H. (2007). A study of educational practice on the basis of reflective think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Idea, 21(3), 181-200.) 

  26. 이봉주, 윤용식(2014). 중등수학 예비교사 교육에서 협동마이크로티칭의 활용 가능성 탐색. 수학교육, 53(3), 399-412. (Lee, B. J., & Yun, Y. S. (2014). The utilization of cooperative microteaching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3(3), 399-412.) 

  27. 이지현(2010). 예비교사의 봉사-학습 사례연구: 교육봉사활동의 시사점 탐색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18(3), 165-192. (Lee, J. H. (2010). A case study of prospective teachers' service-learning: discussing the issues of Educational Service.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8(3), 165-192.) 

  28. 정혜영(2009). 초등 교육실습 기간 확대 및 내용 강화를 적용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241-260. (Jeong, H. (2009). A case study with extended and strengthened student teaching program at elementary school level,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3), 241-260.) 

  29. 주미경(2006). 대학생 교사제의 효과 분석: 사범대학 수학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수학교육, 45(3), 295-313. (Ju, M. K. (2006). The effect of teaching experience in after-school learning programs: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Mathematical Education, 45(3), 295-313.) 

  30. 차정호, 최원수, 노태희, (2009). 교육 실습 기간에 예비 과학교사가 작성한 웹기반 반성저널의 분석. 科學敎育硏究誌, 33(1), 133-141. (Cha, J. H., Choi, W. S., & Noh, T. H. (2009).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b-based reflective journals written during teaching practicu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1), 133-141.) 

  31. 한종임(2008). 영어과 대학생 보조교사제의 블랜디드 모형 개발에 대한 소고.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Learning, 11(3), 151-168. (Han, J. I.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blended model of after-school English programs assisted by college students.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Learning, 11(3), 151-168.) 

  32. 한혜숙(2014). 수학과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및 역할에 관한 교육실습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747-769. (Han, H. (2014).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hcers' perceptions of the role and teaching guidance of cooperting teachers in mathematics teaching practicum.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7(4), 747-769.) 

  33. 허창수(2007). 교육지식을 재구성하는 장으로서 교육실습: 다섯 교육실습생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5(1), 95-127. (Hur, C. S. (2007). Practicum as a place for reconstructing pedagogical knowledge: Experiences of five student teacher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1), 95-127.) 

  34. Bain, J. D., Ballantyne, R., Packer, J. & Mills, C. (1995). Using jorunal writing to enhance student teachers' reflectivity during field experience placements.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5(1), 51-73. 

  35. Hatton, N., & Smith, D. (1995).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towards definition and implementation. Teaching & Teacher Education, 11(1), 33-49. 

  36. Korthagen, F. A. J., Kesels, J., Koster, B., Lagerwerf, B., & Wubbels, T. (2007). Linking practice and theory. NJ: LEA. 

  37. Santagata, R. (2011). From teacher noticing to a framework for analyzing and improving classromm lessons. In M. G. Sherin, V. R. Jacobs, & R. A. Philipp (Eds.) Mathematics teacher noticing: Seeing through teachers' eyes (pp.152-168), New York, NY: Routlege. 

  38. Schmidt W. H., Blomeke, S., & Tatto, M. T. (2011). Teacher education matters: A study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 preparation in six counties.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39. Schon, D. (1982). The reflective practitioner. New York: Basic Books. 

  40. van Manen, M. (1977). Linking ways of knowing with ways of being practical. Curriculum Inquiry, 6(3), 205-228. 

  41. Wallach, T., & Even, R. (2005). Hearing students: The complexity of understanding what they are saying, showing, and doing.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8, 393-4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