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병원 병동 및 수술실 근무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피로수준에 관련된 요인
Factors Related to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Symptom Among Nurses Working at Ward and Operating Room in University Hospital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4, 2013년, pp.1781 - 1791  

박안숙 (중원대학교 간호학과) ,  손미경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근무특성이 다른 병동과 수술실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직업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요인 및 사회심리적 요인에 따른 스트레스와 피로수준을 비교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4개 대학병원의 병동근무 간호사 220명, 수술실근무 간호사 147명, 합계 367명으로 하였으며, 2012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관련된 요인으로 병동근무 간호사에서는 연령, 주관적인 건강상태, 근무경력, 업무에 대한 만족도, 업무에 대한 적성, 업무요구도, 업무자율성, 동료의 지지도, 자기존중감, 통제신념 및 A형 행동유형이 지적되었고, 수술실근무 간호사에서는 연령, 수면시간, 주관적인 건강상태, 근무경력,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 업무에 대한 만족도, 업무에 대한 적성, 직업전환의사, 업무요구도, 업무자율성, A형 행동유형이 지적되었다. 피로수준에 관련된 요인으로 병동근무 간호사에서는 연령, 여가시간 여부, 주관적인 건강상태, 업무에 대한 만족도, 직업전환의사, 업무요구도, 통제신념, A형 행동유형이 지적되었고, 수술실근무 간호사에서는 연령, 주관적인 건강상태,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 상사의 지지도, 동료의 지지도, 통제신념이 지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간호사의 근무부서에 따른 스트레스와 피로수준에 관련된 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근무부서별 스트레스와 피로수준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 및 실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measure the level of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symptom according to the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sociodemographic, health-related, job-related, job stress factors, and psychosocial factors among nurses working at ward and operating room in university 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근무특성이 다른 병동과 수술실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행위 특성 및 직업적 특성을 비롯하여 병원에서의 업무 요구도, 업무의 자율성, 사회적지지 등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나 자기존중감, 자기통제력 및 A형 행동유형과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 등, 스트레스와 피로수준에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4개 대학병원의 병동근무 간호사와 수술실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 및 피로수준을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업관련 특성, 직무스트레스 내용 및 사회심리적요인 등의 제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이란? 오늘날 병원은 분업화된 전문적 기능과 합리적인 행정 조직력을 가지고 건강사업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곳으로, 그 구조와 기능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그 규모 또한 날로 대형화, 전문화되어 가고 있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초래하는 부정적인 영향은? 그 중에서도 특히 간호사는 의사, 의료기사 및 행정직 등 다양한 직종의 종사자와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의 특성으로 인해 다른 조직에 비해서 직무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보고 되고 있으며[1,2], ILO의 보고서에서도 간호직은 스트레스가 높은 직업으로 분류되어 있다[3]. 이 같은 과도한 스트레스는 간호사의 정신적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업무수행능력을 감소시키고 환자간호의 질을 떨어뜨리게 하고, 간호업무수행 시 투약 오류, 의료기기의오작동, 환자 파악의 오류 및 주사침 상해 등, 여러 사고발생의 위험을 높일 수 있으며[4], 병원조직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저해하고 조직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5].
간호직은 스트레스가 높은 직업으로 분류되어 있는 이유는? 그러나 급격한 의료수요의 증가로 인한 과다한 업무량, 의료분쟁의 증가, 병원간의 경쟁심화 등은 병원 종사자들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야기 시키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간호사는 의사, 의료기사 및 행정직 등 다양한 직종의 종사자와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의 특성으로 인해 다른 조직에 비해서 직무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보고 되고 있으며[1,2], ILO의 보고서에서도 간호직은 스트레스가 높은 직업으로 분류되어 있다[3]. 이 같은 과도한 스트레스는 간호사의 정신적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업무수행능력을 감소시키고 환자간호의 질을 떨어뜨리게 하고, 간호업무수행 시 투약 오류, 의료기기의오작동, 환자 파악의 오류 및 주사침 상해 등, 여러 사고발생의 위험을 높일 수 있으며[4], 병원조직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저해하고 조직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ardy GE, Shapior DA, Borrill CS. Fatigue in the workforce of national health service trust: Levels of symptomatology and lings with minor psychiatric disorder, demographic, occupational and work role factors. J Psychosomatic Research, 43(1):83-92, 1997. DOI: http://dx.doi.org/10.1016/S0022-3999(97)00019-6 

  2. Wall TD, Bolden RI, Borrill CS, et al. Minor psychiatric disorder in NHS trust staff: occupational and gender differences. Br J Psychiatry, 171:519-523, 1997. DOI: http://dx.doi.org/10.1192/bjp.171.6.519 

  3. ILO. Stress at work. World Labour Reports, eneva: International Labour Office. p65-79, 1996. 

  4. Suzuki K, Ohida T, kaneita Y, et al. Mental health status, shift work, and occupational accident among hospital nurses in Japan. J Occup Health, 46:448-454, 2004. DOI: http://dx.doi.org/10.1539/joh.46.448 

  5. Ko JW, Yom YH.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J Korean Acad Nurs, 33(2):265-274, 2003. 

  6. Chen M. The epidemiology of self-perceived fatigue among adults. Prev Med, 15:74-81, 1986. DOI: http://dx.doi.org/10.1016/0091-7435(86)90037-X 

  7. David A, Pelosi A, MacDonald E, et al Tired, weak or in need of rest; a profile of fatigue among general practice attenders. BMJ, 301:1199-1202, 1990. DOI: http://dx.doi.org/10.1136/bmj.301.6762.1199 

  8. Aneshensel CS. Social stress: theory and research. Ann Rev Sociol, 18:15-38,1992. DOI: http://dx.doi.org/10.1146/annurev.so.18.080192.000311 

  9. Lin L, Ensel WM. Life Stress and health: stressors and resources. Am Sociol Rev, 54:382-399, 1989. DOI: http://dx.doi.org/10.2307/2095612 

  10. Schoenbach VJ, Kaplan BH, Fredman L, Kleinbaum DG. Social ties and mortality in Evans county, Georgia. Am J Epidemiol, 123:577-591, 1986. 

  11. Kim HC, Kim YK, Lee YC,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needle stick injury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17(3):216-224, 2005. 

  12. Eo KS, Heo HK, Kim KY, Cho YJ, Kim EH, Kim SJ.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Clin Nurs Res, 9(2):81-92, 2004. 

  13. Kim HS, Yim HW, Lee JY, Cho HJ, Jo SJ, Lee WC.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on state of some clinical nurs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9(2):125-134, 2007. 

  14. Kim HC, Kwon KS, Koh DH,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18(1):25-3, 2005. 

  15. Karasek RA, Theorell T, Schwartz JE, et al.Job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prevalence of myocardial infarction in the US Health Examination Survey(HES) and the Health and Nutrition Survey (HANES). Am J Public Health, 78:910-918, 1988. DOI: http://dx.doi.org/10.2105/AJPH.78.8.910 

  16. Chang SJ.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risk factors for psychosocial distress, and the development work site stress reduction program.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1. 

  17.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8. Levenson H. Multidimensional locus of control in psychiatric patients. J Cons Clin Psychol, 41:397-404, 1973. DOI: http://dx.doi.org/10.1037/h0035357 

  19. Haynes SG, Levine S. Scotch N, Feinleib M, Kannel W. The relationship of psychosocial factors to coronary heart disease in the Framingham study. Am J Epidemiol, 107:362-383, 1978. 

  20. Goldberg D. Manual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Nfer-Nelson, 1978 

  21. Chang SJ. Standardization of collect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statistics data.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Seoul, p92-143, 2000. 

  22. Schwartz JE, Jandorf L, Krupp LB. The measurement of fatigue: a new instrument, J Psychosom Res, 37(7):753-762, 1993. DOI: http://dx.doi.org/10.1016/0022-3999(93)90104-N 

  23. Koh SB. Son MA, Kong JO, Lee CG, Chang SJ, Cha BS,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distress of atypical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6:103-113, 2004. 

  24. Cha BS, Koh SB, Chang SJ. The association between job characteristics, psychosocial distress and homocysteine. Korean J Prev Med, 31:719-727, 1998. 

  25. Chang SJ. Cha BS, Koh SB, Kang MG, Koh SY, Park JK. Association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distress of industrial workers. Korean J Prev Med, 30:129-143, 1977. 

  26. Karasek RA, Theorell T. Healthy work: stress, productivity and the reconstruction of working life. New York: Basic Books, 1990 

  27. Kant IJ, Beurskens A, Schroer C, Nijhuis et al. An epidemiological approach to study fatigue in the working population: results from the Maastricht Cohort Study of Fatigue at Work. J Occup Environ Med, 60(9):32-39, 2003. DOI: http://dx.doi.org/10.1136/oem.60.suppl_1.i32 

  28. Chang SJ, Koh SB, Kang MG. et al. Correlates of self-rated fatigue in Korean employees. Korean J Prev Med, 38(1):71-81, 2005. 

  29. Cho KH, Lee DB, Cho YC. Psychosocial distres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lerical public offic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1):26-37,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