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능력 및 대인관계 능력 비교
Comparison of Operating Room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ithin the Medical Team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3, 2014년, pp.313 - 321  

임은주 (인하대학교병원) ,  이여진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was to compare operating room (OR)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on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ithin the medical team. Methods: Participants were 276 nurses (OR 122, ward 154) working in one of 4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I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을 비교 확인함으로써, 조직 내에서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대인관계 능력의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을 비교 확인한 후, 병원 조직 내에서 간호사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능력 및 대인관계 능력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실은 어떤 곳인가? 의료조직 내에서도 수술실은 독립된 특수부서로서 엄격한 통제와 제한된 환경 속에서 체계적인 조직 구성과 팀 활동으로 의료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이다[1]. 최근에는 외과 영역의 세분화, 전문화 추세와 함께 최첨단 수술기구 및 장비의 고도화가 이루어져, 수술실간호사들은 복잡한 특수기술을 지닌 능력 있는 전문인으로서의 확대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2,3].
수술실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수술간호업무 특성상 수술실간호사는 다양한 종류의 수술과 진료과 집도의의 기호도, 수술 기구 및 장비, 수술에 사용 되는 진료재료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익혀야 하고[4], 수술과정과 수술간호에 집중하여 의료진과 조화를 이루는 능력이 요구된다[5]. 또한 수술 환자 확인(time out) 및 계수오류 발생을 최소화하고 환자안전 강화[6]와 응급상황에 대비하기 위하여 수술실간호사는 긴장상태로 근무하게 되며[7], 새로운 기술의 도입에 따라 기술의 사용법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갖고 동료간호사들과 교육을 받고 훈련한다[3].
수술실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간호업무방식의 차이점은? 수술실 간호사들은 두 명의 간호사가 한 개의 수술실에 2인 1조로 배정되어 팀을 이루어 소독 및 순환 간호사로서의 역할로 수술간호업무를 하게 되므로, 여러 명의 간호사가 함께 근무하는 병동간호사와는 전혀 다른 역할과 방식으로 근무하고 있다. 수술 환자가 수술사무실에 도착하면 수술실간호사는 환자확인을 하고, 이후 환자의 수술간호업무에 참여하고, 수술종료와 마취종료 후 회복실로 이송 전까지 불완전한 각성상태의 환자를 간호하게 되므로, 수술실 간호사들은 환자나 동료간호사, 의사와의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가 적은 특성을 보인다. 반면, 병동간호사는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임상적으로 중요한 간호문제들을 파악하며, 환자와 상호작용 하면서 신뢰를 형성하고 대인관계를 유지하여 마찰을 중재할 수 있다[9]. 이러한 업무 외에 간호사는 원활한 대인관계를 중심으로 환자및 보호자, 동료간호사, 의사, 타 부서 직원간의 조정자 역할을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aldeira SM, Avila MAG, Braga EM. Educ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in surgical and anesthetical recovery center: perception of the nursing team. Journal of Nursing UFPE. 2013;7(8): 5232-5238. 

  2. Kim J-O, Kim H-J, Cho G-Y.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medical technology, self 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operating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2;6(1):1-13. http://dx.doi.org/10.12811/kshsm.2012.6.1.001 

  3. Yoon K.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erioperativ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1):86-100.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1.86 

  4. Roh YH, Yoo YS. Workplace violence,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Perioperative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5):489-498. http://dx.doi.org/10.7475/kjan.2012.24.5.489 

  5. Higgins BL, MacIntosh J. Operating room nurses perceptions of the effects of physician-perpetrated abuse.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10;57(3):321-327.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09.00767.x 

  6. Yoon KS, Park S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of perioperative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1):93-106. 

  7. Bigony L, Lipke TG, Lundberg A, McGraw CA, Pagac GL, Rogers A. Lateral violence in the perioperative setting. AORN Journal. 2009;89(4):688-696. http://dx.doi.org/10.1016/j.aorn.2009.01.029 

  8. Kim E-Y. A study on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 medical organization: Focusing on operating room nurses [master's thesis]. Buche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1. p. 80. 

  9. Salmon P, Young B. Dependence and caring in clinical communication: The relevance of attachment and other theori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9;74(3):331-338. http://dx.doi.org/10.1016/j.pec.2008.12.011 

  10. Dingley C, Daugherty K, Derieg MK, Persing R. Improving patient safety through provider communication strategy enhancements. In: Henriksen K,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editors. Advances in patient safety: New directions and alternative approaches. v.3, Performance and tools.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and Research Quality; 2008. 

  11. Wloszczak-Szubzda A, Jarosz MJ. Professional communication competences of nurses-a review of current practice and educational problems. Annals of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AAEM. 2013;20(1):183-188. 

  12. Im SI, Park J, Kim HS. The effects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3):274-282.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3.274 

  13. Shin HH. The impact of doctors' communication styles on patient's self-disclosure.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1;24(1):179-198. 

  14. Hur G-H.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03;47(6):380-408. 

  15. Lee HS, Kim JK.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4):488-496.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4.488 

  16. Guerney BG. Relationship enhancement: [skill-training programs for therapy, problem prevention, and enrichment]. San Francisco: Jossey-Bass; 1977. 

  17. Moon S-M. A study on the effect of human relations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980;19:195-203. 

  18. Chun S-K.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rehabilitation of the schizophrenic patients [dissertation]. Seoul: Soongsil University; 1995. p. 87. 

  19. Son Y-J, Lee Y, Sim KN, Kong SS, Park Y-S.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on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s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3;20(3):278-289. http://dx.doi.org/10.7739/jkafn. 2013.20.3.278 

  20. Lingard L, Espin S, Whyte S, Regehr G, Baker GR, Reznick R., Bohnen J, Orser B, Doran, D, Grober E. Communication failures in the operating room: An observational classification of recurrent types and effects.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4;13(5):330-334. http://dx.doi.org/10.1136/qshc.2003.008425 

  21. Im S, Kim E-K.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difficult communication experiences of precepto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8;17(4):471-480. 

  22. Buback D. Assertiveness training to prevent verbal abuse in the OR. AORN Journal. 2004;79(1):147-164. http://dx.doi.org/10.1016/ S0001-2092(06)61149-6 

  23. Nam KD, Yoon KS, Chung HS, Park SA, Jang BY, Kim HR, et al.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erbal abuse scale for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5;11(2):159-172. 

  24. Kim MH. An ethnographic research about daily work experiences of operating room nurse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6. p. 47-49. 

  25. Jackson S, Brady S. Counting difficulties: Retained instruments, sponges, and needles. AORN Journal. 2008;87(2):315-321. http://dx.doi.org/10.1016/j.aorn.2007.07.0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