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외국인의 한국음식에 대한 이미지, 기호도, 중요도 및 만족도 -대구 지역 방문자를 대상으로- Study on Image, Preferenc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Daegu원문보기
To investigate the image, preferenc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foreign visitors to Korean foods, 220 visitors (male 104, female 115)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in English and Japanese.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d one way...
To investigate the image, preferenc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foreign visitors to Korean foods, 220 visitors (male 104, female 115)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in English and Japanese.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d one way ANOVA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5.0 program. Subjects had various nationality such as Europe/Oceania (24.7%/), Asia (23.3%), Africa (12.8), and North America (39.3). The representative food was kimchi > bibimbop > bulgogi but the most favorite food was bibimbop > kalbi > bulgogi in order. Like this,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among the food choice, especially in kimchi, so the taste of kimchi should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foreigners' taste. The results of the preference about the image get the high grade from those factors; the resonable price of Korean food, the spicy taste, various kinds of food according to the settings of the table, good for the health with excellent taste. Foreigners consider that the cleanliness of food and tableware, the sanitation of the restaurants, the taste of the food and freshness of ingredients are the important factors in Korean food and Korean restaurants. According to these factors, the satisfaction is affected by the attitude of servers > the taste of the food > the freshness of the ingredients > the amount of the food > the atmosphere of the restaurants > the cleanliness of the tableware in order.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the low grade food should improve the color and styling of the food and be served the appropriate amount of the food. Moreover, it is needed to improve the combining the spices and the ingredients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strong and delicate flavors and with this, Korean food should be more globaliz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Korea tourism.
To investigate the image, preferenc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foreign visitors to Korean foods, 220 visitors (male 104, female 115)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in English and Japanese.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d one way ANOVA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15.0 program. Subjects had various nationality such as Europe/Oceania (24.7%/), Asia (23.3%), Africa (12.8), and North America (39.3). The representative food was kimchi > bibimbop > bulgogi but the most favorite food was bibimbop > kalbi > bulgogi in order. Like this,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among the food choice, especially in kimchi, so the taste of kimchi should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foreigners' taste. The results of the preference about the image get the high grade from those factors; the resonable price of Korean food, the spicy taste, various kinds of food according to the settings of the table, good for the health with excellent taste. Foreigners consider that the cleanliness of food and tableware, the sanitation of the restaurants, the taste of the food and freshness of ingredients are the important factors in Korean food and Korean restaurants. According to these factors, the satisfaction is affected by the attitude of servers > the taste of the food > the freshness of the ingredients > the amount of the food > the atmosphere of the restaurants > the cleanliness of the tableware in order.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the low grade food should improve the color and styling of the food and be served the appropriate amount of the food. Moreover, it is needed to improve the combining the spices and the ingredients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strong and delicate flavors and with this, Korean food should be more globaliz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Korea touris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를 방문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음식에 대한 이미지, 만족도, 인지도, 중요도 등을 직접 면접조사하고 분석하여 이 자료를 토대로 대구의 음식문화 수준을 높이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더 나아가 외국인 대상으로 한 대구 지역 한식당의 메뉴개발과 관광자원화를 위한 외국인의 구매행동을 연구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를 방문하는 외국인 대상으로 한국음식에 대한 기호도 및 이미지, 한국 레스토랑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한국음식에 대한 외국인들의 객관적인 평가지표를 마련하고, 대구 음식 매뉴얼을 개발 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1)All variables were measured on a 5-point Likert scale from 1-strongly disagree to 5-strongly agree.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11 대구 세계육상 선수권 대회를 전후로 대구를 방문한 외국인 방문객을 조사대상자로 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1년 8월 10일부터 2011년 12월까지 약 4개월 간 외국인 응답자를 직접 면접조사하고, 자기기입식 기재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220부를 배부하여 회수하였으며, 설문지 중에서 불완전하게 응답한 설문지 1부를 제외한 219부의 설문지를 통계처리에 이용하였다.
조사내용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월평균 수입, 국적, 한국 방문경험, 방문목적 7문항으로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한국음식 경험 유무와 경험하게 된 계기, 경험한 장소에 관한 문항 및 한식에 대한 음식 문화적 배경지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음식 상차림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한국음식에 대한 기호도 조사는 Jang et al(2005)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한식의 분류에 따라서 밥류(비빔밥), 면류(칼국수), 찌개류(된장찌개), 탕류(삼계탕), 부식류(김치), 일품요리(불고기, 갈비, 잡채, 만두)로 9가지 대표음식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과거 섭취 경험 여부, 한국의 대표음식이라고 인지하는 것, 자신이 선호하는 음식에 관하여 다중응답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9가지 대표음식은 음식의 분류 중에서 메뉴 개발 시 단품으로 판매 가능한 상품을 중심으로 선정하였고, 선행 논문결과에서 외국인의 선호도, 인지도가 높은 것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한국음식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각 17문항으로 1점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5점을 부가한 5점 리커트 척도로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에서는 2011 대구 세계육상 선수권 대회를 전후로 대구를 방문한 외국인 방문객을 조사대상자로 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1년 8월 10일부터 2011년 12월까지 약 4개월 간 외국인 응답자를 직접 면접조사하고, 자기기입식 기재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1년 8월 10일부터 2011년 12월까지 약 4개월 간 외국인 응답자를 직접 면접조사하고, 자기기입식 기재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220부를 배부하여 회수하였으며, 설문지 중에서 불완전하게 응답한 설문지 1부를 제외한 219부의 설문지를 통계처리에 이용하였다. 조사 설문지는 한국음식의 이미지, 기호도, 중요도, 만족도 관련 문헌 Ha KH(2010), Jang & Cho(2000), Im JH(2012), Lee JH(2006)을 참고로 하여 개발하였고, 영어, 일본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한국음식에 대한 기호도 조사는 Jang et al(2005)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한식의 분류에 따라서 밥류(비빔밥), 면류(칼국수), 찌개류(된장찌개), 탕류(삼계탕), 부식류(김치), 일품요리(불고기, 갈비, 잡채, 만두)로 9가지 대표음식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과거 섭취 경험 여부, 한국의 대표음식이라고 인지하는 것, 자신이 선호하는 음식에 관하여 다중응답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9가지 대표음식은 음식의 분류 중에서 메뉴 개발 시 단품으로 판매 가능한 상품을 중심으로 선정하였고, 선행 논문결과에서 외국인의 선호도, 인지도가 높은 것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면류에서 칼국수를 선택한 것은 대구의 향토음식으로 누른 칼국수가 있으며, 대구의 10미 음식으로 선정되었기 때문이다.
데이터처리
분석 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외국인들의 한국음식의 인지도 및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One 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통해 유의적인 차이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조사 설문지는 한국음식의 이미지, 기호도, 중요도, 만족도 관련 문헌 Ha KH(2010), Jang & Cho(2000), Im JH(2012), Lee JH(2006)을 참고로 하여 개발하였고, 영어, 일본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한국음식에 대한 이미지는 Kwon & Shin(2010)등을 참고하여 19가지 문항으로 구성하고, 1점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5점을 부가하여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성능/효과
국적별로 한국음식 상차림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아프리카 국적의 외국인은 ‘한국 음식은 밥, 국, 반찬으로 구성된다’는 인식을 모두 갖고 있었으며, 유럽/오세아니아 77.8%, 북아메리카 76.7%, 아시아 60.8% 순으로 인지도를 보여 국적별로 p<0.01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5%로 가장 높았고, 비빔밥, 불고기, 갈비 순으로 대표 한국음식이라 응답하였다. 가장 선호하는 음식으로는 비빔밥, 갈비, 불고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잡채와 만두 순으로 나타났다. 김치는 가장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인지하고 있으나, 선호도는 낮게 나타났다.
김치는 가장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인지하고 있으나, 선호도는 낮게 나타났다. 가장 선호하는 음식은 비빔밥으로 나타났으며, 선행 연구 결과(Ha KH 2010)와 비교하여 볼 때 구이류 중에서 불고기, 찜류에서 갈비, 밥류에서 비빔밥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김치는 다른 음식에 비하여 낮은 선호도 값이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따라서 인지도는 높지만 선호도가 낮은 김치는 외국은 입맛에 맞게 맛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을 경험하지 못한 이유로는 ‘주변에 한국식당이 없어서’가 50.
‘한식의 조리법은 다양하다’는 아프리카가 가장 높은 이미지를 보였고, ‘한식은 고급스럽다’는 아시아가 가장 점수가 높았고, 유럽 및 오세아니아가 가장 점수가 낮아 국적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재료의 다양성은 아시아 3.75로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유럽 및 오세아니아가 3.11로 가장 낮아 p<0.05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음식의 맛은 아시아가 4.47로 가장 높았고, 아프리카 4.14, 유럽 및 오세아니아 3.81, 북아메리카 3.80으로 나타나 국적별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한식은 소화가 잘 된다’는 항목은 북아메리카 국적이 가장 높았고, ‘한식은 재료가 다양하다’는 유럽 및 오세아니아가 가장 높은 이미지를 보여 p<0.05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한식은 달다’는 아프리카, 아시아, 북아메리카, 유럽 및 오세아니아 순으로 나타나 국적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p<0.05), ‘한식은 시다’는 아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유럽 및 오세아니아 순으로 나타났다(p<0.01).
‘한식은 밋밋한 맛이다’와 ‘한식은 기름지다’는 아시아가 가장 높은 이미지를 보였으며, ‘한식은 기름지다’는 국적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결과와 같이 외국인이 평가하는 한식과 한식당의 이미지 조사에서 한식의 가격, 한식의 맛, 상차림의 문화, 음식의 다양성, 영양성 등에 관한 좋은 이미지들은 앞으로 잘 관리하여 더 나은 상품의 가치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며, ‘한식은 고급스럽다’에서 낮은 이미지를 보여 상차림 방법이나 식기 등을 한식 세계화(Na JK 2007) 트렌드에 맞게 재구성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의 양은 아프리카가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한 반면, 유럽 및 오세아니아가 가장 낮은 중요도를 보였다(p<0.05).
음식의 온도는 아프리카가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음식의 색깔은 아시아 3.57로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인 반면, 유럽 및 오세아니아가 2.61로 낮은 중요도를 보여 국적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음식의 스타일링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및 오세아니아, 북아메리카 순으로 나타났으며, p<0.001 수준에서 국적 간의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01), 메뉴의 다양성과 음식의 냄새 또한 아프리카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식재료의 신선도는 아시아가 4.20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하였고, 유럽 및 오세아니아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음식의 양은 아프리카가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한 반면, 유럽 및 오세아니아가 가장 낮은 중요도를 보였다(p<0.
001). 음식의 청결함은 아시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식기의 청결함은 아프리카가 높은 중요도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향신료 사용은 아프리카가 3.
001). 종업원의 태도, 식당의 분위기, 위생 상태는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유럽 및 오세아니아에서는 한국음식에서 음식의 청결함, 식기의 청결함, 식당의 위생 상태, 음식의 맛, 식재료의 신선도, 음식의 냄새 순으로 중요하다고 평가하였고, 아시아에서는 음식의 맛, 음식의 청결함, 위생 상태, 식재료의 신선도, 종업원의 태도, 식기의 청결함 순으로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유럽 및 오세아니아에서는 한국음식에서 음식의 청결함, 식기의 청결함, 식당의 위생 상태, 음식의 맛, 식재료의 신선도, 음식의 냄새 순으로 중요하다고 평가하였고, 아시아에서는 음식의 맛, 음식의 청결함, 위생 상태, 식재료의 신선도, 종업원의 태도, 식기의 청결함 순으로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아프리카는 영양적 균형, 음식의 맛, 음식의 청결함, 식기의 청결함, 음식의 냄새, 식재료의 신선도, 메뉴의 다양성 순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고, 북아메리카는 식재료의 신선도, 식기의 청결함, 식당의 위생 상태, 음식의 청결함, 종업원의 태도, 식당의 분위기 순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전반적인 결과로 중요도 부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음식 · 식당 · 식기의 위생상태와 음식의 맛, 재료의 신선도 등은 음식과 연계한 외국인 관광 활성 방안으로 Seo & Lee(2011) 연구에서 제안하는 국내 푸드 투어리즘의 활성화 방안에 따라 국내 레스토랑의 수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음식의 냄새(3.71) 또한 아시아가 가장 높은 반면, 아프리카가 가장 낮은 만족도(2.93)를 보여 p<0.05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메뉴의 다양성(3.88)은 아시아가 가장 만족도가 높았고, 북아메리카가 가장 만족도가 낮아 국적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음식의 맛은 아시아가 4.37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북아메리카가 3.71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여 국적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한국음식의 만족도를 5점 Likert 척도로 조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17개 항목 모두 평균 3.00이상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종업원의 태도가 3.95로 가장 만족도가 높았고, 음식의 맛(3.93), 식재료의 신선도(3.87), 음식의 양(3.85), 식당의 분위기(3.84), 식기의 청결함(3.81)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상대적으로 음식의 냄새(3.
01). 재료의 다양성은 아프리카가 가장 만족도가 높았고, 유럽 및 오세아니아가 가장 만족도가 낮았다. 식재료의 조합과 영양적 균형은 아시아가 각각 3.
재료의 다양성은 아프리카가 가장 만족도가 높았고, 유럽 및 오세아니아가 가장 만족도가 낮았다. 식재료의 조합과 영양적 균형은 아시아가 각각 3.71, 3.74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메뉴의 다양성(3.
05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식재료의 신선도와 음식의 양은 아프리카가 높았고, 음식의 스타일링은 유럽 및 오세아니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음식의 온도는 아프리카가 3.
식재료의 신선도와 음식의 양은 아프리카가 높았고, 음식의 스타일링은 유럽 및 오세아니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음식의 온도는 아프리카가 3.89로 가장 만족도가 높았으며, 음식의 색깔은 아시아가 3.67로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음식의 청결함은 아프리카가, 식기의 청결함은 아시아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67로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음식의 청결함은 아프리카가, 식기의 청결함은 아시아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향신료 사용은 아시아 3.
04로 만족도가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위생 상태는 아시아(4.10)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북아메리카가 3.42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유럽 및 오세아니아는 종업원의 태도, 음식의 양, 식재료의 신선도, 음식의 맛, 위생 상태, 음식의 온도, 식기의 청결함 등의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반면, 메뉴의 다양성, 재료의 다양성, 음식의 냄새 등의 순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42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유럽 및 오세아니아는 종업원의 태도, 음식의 양, 식재료의 신선도, 음식의 맛, 위생 상태, 음식의 온도, 식기의 청결함 등의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반면, 메뉴의 다양성, 재료의 다양성, 음식의 냄새 등의 순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아시아는 음식의 맛, 위생 상태, 식당의 분위기, 음식의 청결함, 식재료의 신선도, 종업원의 태도 등의 순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음식의 스타일링, 재료의 다양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유럽 및 오세아니아는 종업원의 태도, 음식의 양, 식재료의 신선도, 음식의 맛, 위생 상태, 음식의 온도, 식기의 청결함 등의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반면, 메뉴의 다양성, 재료의 다양성, 음식의 냄새 등의 순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아시아는 음식의 맛, 위생 상태, 식당의 분위기, 음식의 청결함, 식재료의 신선도, 종업원의 태도 등의 순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음식의 스타일링, 재료의 다양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아프리카는 음식의 청결함, 식재료의 신선도, 음식의 양, 식기의 청결함, 음식의 온도, 종업원의 태도, 위생 상태 등의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나, 음식의 냄새, 음식의 스타일링 순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아프리카는 음식의 청결함, 식재료의 신선도, 음식의 양, 식기의 청결함, 음식의 온도, 종업원의 태도, 위생 상태 등의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나, 음식의 냄새, 음식의 스타일링 순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북아메리카는 종업원의 태도, 음식의 양, 식당의 분위기, 식재료의 신선도, 음식의 맛, 음식의 온도 순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메뉴의 다양성, 향신료 사용에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결과와 같이 만족도가 높은 음식의 맛, 식재료의 신선도, 음식의 양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유지 관리가 필요할 것이며, 만족도가 낮은 음식의 스타일링, 재료의 다양성 등에 관하여서는 한식의 평가 가치를 높이기 위해 반드시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 2는 ‘한식은 건강에 좋다’, ‘한식은 위생적이다’, ‘한식은 소화가 잘 된다’, ‘한식은 영양이 풍부하다’, ‘한식은 맛이 좋다’로 구성되어 건강한 이미지로 명명하였다.
한국 음식의 맛과 모양에 대한 이미지는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건강한 이미지는 높은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F값이 59.466으로 p<0.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R Square 값이 0.453으로 45.3%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어 한국음식에 대한 이미지가 전반적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및 품질 요인은 부(-)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판매촉진요인은 높은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외국인들이 생각하는 한국의 가장 대표음식은 김치(39.5%) > 비빔밥(20.6%) >갈비 · 불고기(11.3%) 순으로 나타났으며, 외국인이 선호하는 음식은 비빔밥>갈비>불고기>잡채 · 만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들이 느끼는 한식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보면 ‘한식은 가격이 적절하다’가 4.04로 가장 높았고, ‘한식은 매우 자극적이다’ 3.79, ‘한식은 상차림에 다른 음식의 종류가 다양하다’ 3.78, ‘한식은 건강에 좋다’ 3.75 순으로 나타났다.
75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음식과 한식당에 대한 만족도는 전 항목 모두가 3.0이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나, 메뉴의 다양성과 음식의 스타일링의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음식에 대한 중요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제품 및 품질요인(-), 판매촉진 요인(+)은 유의적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0이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나, 메뉴의 다양성과 음식의 스타일링의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음식에 대한 중요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제품 및 품질요인(-), 판매촉진 요인(+)은 유의적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적 균형은 아프리카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여 국적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p<0.01), 메뉴의 다양성과 음식의 냄새 또한 아프리카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F값이 39.153으로 p<0.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R Square 값이 0.25로 25.9%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어 한국음식에 대한 중요도가 전반적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전반적인 결과로 중요도 부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음식 · 식당 · 식기의 위생상태와 음식의 맛, 재료의 신선도 등은 음식과 연계한 외국인 관광 활성 방안으로 Seo & Lee(2011) 연구에서 제안하는 국내 푸드 투어리즘의 활성화 방안에 따라 국내 레스토랑의 수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북아메리카는 종업원의 태도, 음식의 양, 식당의 분위기, 식재료의 신선도, 음식의 맛, 음식의 온도 순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메뉴의 다양성, 향신료 사용에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결과와 같이 만족도가 높은 음식의 맛, 식재료의 신선도, 음식의 양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유지 관리가 필요할 것이며, 만족도가 낮은 음식의 스타일링, 재료의 다양성 등에 관하여서는 한식의 평가 가치를 높이기 위해 반드시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ong KM(2011)의 연구에서도 중국인 관광객 기대에 한국 식당의 서비스 품질이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나타나 전반적인 한식당의 품질 개선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외국인들 평가하는 한국음식과 한식당에 대한 전반적인 수준의 현주소를 파악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하여 외국인의 미각에 맞는 한국음식을 현지화 시키고, 다양한 맛 개발과 상품의 지속적인 품질관리를 통한 한식의 문화 유산적 가치를 더 높이는 메뉴 개발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식은 어떠한 음식으로 알려져 있는가?
한식은 식재료의 구성 및 조리방법, 영양, 상차림과 식사 문화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으며, 서양의 음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건강식이고, 육류 중심의 튀기는 조리법이 대부분인 고칼로리의 서양 음식에 비해 저칼로리, 기능성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Joo et al 2008). 이처럼 한식은 세계 속에서 우수한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나, 한식의 조리법적 측면에서 보면 조리법이 복잡하고, 섬세한 기술과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조리법의 대량화 및 조리의 간편성을 위한 표준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한식 세계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해외에서의 인지도는 매우 낮은 실정이다(Byun et al 2001, Jang & Cho 2005, Noh KS 2009).
음식의 역할은?
음식은 의식주의 한 요소로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데 기본적이며 필수적인 요소일 뿐만 아니라, 한 나라를 대변하고 국가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홍보대사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세계 각국에서도 자국의 음식을 세계화 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도 자국의 음식을 세계화 하려는 노력의 예는?
따라서 세계 각국에서도 자국의 음식을 세계화 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그 예로 일본 정부는 1981년 농림수산성 산하 외식산업종합조사연구센터를 설치해 음식 세계화를 체계적으로 지원해 왔으며, 2010년까지 일식 인구를 12억 명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Choi & Won 2007). 태국은 정부 차원에서 ‘Global Thai Restaurant Project’를 실시하여 태국음식의 표준화, 음식점 매뉴얼화, 정부인증제 등 음식산업의 국제화를 추진하였으며(http://www.thaikitchen.org/www/default 2010, 김재수 2006), 중국은 세계 주요 도시에 중국 음식점이 곳곳에 있어 양적인 성장의 세계화와 현지화를 꾀하고 있다(Won HY 2007). 유럽 국가 중 이탈리아는 ‘외국인을 위한 이탈리아요리 연구소(ICIF)’를 세우고 20여 곳에서 자국 요리를 가르치고 있으며, 프랑스도 전략적으로 외국인 요리사를 양성하고 있다.
참고문헌 (26)
김재수 (2006) 한국 음식 세계인의 식탁으로. 백산출판사, 서울. pp 5-20.
Byun JO, Han JS, Oh OH (2001) The Korean Americans'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II) - preference and frequenc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140-148.
Choi YS, Won CS (2007) Plan to introduce Korean food culture as a tourism product. Korea Hotel Resort Association 6: 157-166.
Ha KH (2010) Survey of Korean food acknowledgement and preference by Chinese students in Daejeon. Korean J Food & Nutr 23: 186-195.
Hong KM (2011)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s 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Chinese tourists.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pp 59-62.
Im JH (2012) Relationship among LOHAS of Korean food and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Korean restaurant in Korea and behavioral intention of Korea restaurant in Japan and China : in case of Japanese and Chinese inbound tourists in Korea. Ph 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pp 67-70.
Jang DJ, Kim SH, Lee HJ (2005) Survey of consumer perception for derivation of superior factors in various Korean traditional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780-812
Jang MJ, Cho MS (2000)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5: 215-223.
Joo HS, Kwon YJ, Lee SH (2008) Influential relations of hotel restaurant LOHAS image on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Korean Academic Soc Hospitality Administration 17: 3-5.
Joo NM, Kennon LR, Sim YJ (2001)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Americans residing in Korea for Korean traditional food.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 15-23.
Kim KH (2011) Study on Japanese consumers Korean food consumption behaviors and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food-related lifestyle. Korean J Food Culture 26: 614-620.
Koo HY (2009) Study on visual approache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Focusing on food coordination and service quality. Ph D Dissertation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pp 113-125.
Kwon YJ, Shin BK (2010) The impact of understanding Korean food on image, attitude, and globalization regarding Korean food.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136-154.
Lee JH (2006) A study of consumer preferences on Korean food: among the Japanese in Tokyo. MS Thesis Sook Myung University, Seoul. pp 35-56.
Lee KY, Cho MS, Lee JM (2007) Content analysis of the New York times on Korean food from 1980 to 2005. Korean J Food Culture 22: 292-297.
Lee MA (2008) Global strategy of Korean foods. Food Science and Industry 41: 1-10.
Lee YJ (2008) Influences of globalization factors of Korean food on country image, attitudes and product buying intention Ph 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pp 15-32.
Min KH (2007) A study on the menu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restaurants in Jeonju area for revitalization of Han brand.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3: 187-198.
Na JK (2007) A study on globalization of Korean restaurants.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10: 155-179.
Nho KS (2009) Study of preference and satisfaction degrees on the Korean food for its globalization. Ph D Dissertation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pp 1-3.
Park YS, Chung YS (2005) Korean traditional food perception and cultural aspect of Korean mongolian housewives. Korean J Food Culture 20: 35-43.
Seo KH (2003) A research on Korean food preference and satisfaction level on Korea restaurant of Japanese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pp 48-96.
Seo YJ, Lee WK (2011) The development of food-tourism to using traditional & local food. Korean Journal of Rural Tourism Association 18: 117-133.
Won HY (2007) A study on policy direction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n FTA environment. Report o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pp 133-152.
Yoon HR (2005) A study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s for foreigners in different nationality. Korean J Food Culture 20: 369-37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