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외국인의 한국음식에 대한 이미지, 기호도, 중요도 및 만족도 -대구 지역 방문자를 대상으로-
Study on Image, Preferenc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Daegu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3 no.2, 2013년, pp.184 - 196  

윤성아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  박금순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image, preferenc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foreign visitors to Korean foods, 220 visitors (male 104, female 115)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in English and Japanese.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d one way...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구를 방문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음식에 대한 이미지, 만족도, 인지도, 중요도 등을 직접 면접조사하고 분석하여 이 자료를 토대로 대구의 음식문화 수준을 높이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더 나아가 외국인 대상으로 한 대구 지역 한식당의 메뉴개발과 관광자원화를 위한 외국인의 구매행동을 연구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 본 연구는 대구를 방문하는 외국인 대상으로 한국음식에 대한 기호도 및 이미지, 한국 레스토랑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한국음식에 대한 외국인들의 객관적인 평가지표를 마련하고, 대구 음식 매뉴얼을 개발 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All variables were measured on a 5-point Likert scale from 1-strongly disagree to 5-strongly agre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식은 어떠한 음식으로 알려져 있는가? 한식은 식재료의 구성 및 조리방법, 영양, 상차림과 식사 문화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으며, 서양의 음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건강식이고, 육류 중심의 튀기는 조리법이 대부분인 고칼로리의 서양 음식에 비해 저칼로리, 기능성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Joo et al 2008). 이처럼 한식은 세계 속에서 우수한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나, 한식의 조리법적 측면에서 보면 조리법이 복잡하고, 섬세한 기술과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조리법의 대량화 및 조리의 간편성을 위한 표준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한식 세계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해외에서의 인지도는 매우 낮은 실정이다(Byun et al 2001, Jang & Cho 2005, Noh KS 2009).
음식의 역할은? 음식은 의식주의 한 요소로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데 기본적이며 필수적인 요소일 뿐만 아니라, 한 나라를 대변하고 국가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홍보대사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세계 각국에서도 자국의 음식을 세계화 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도 자국의 음식을 세계화 하려는 노력의 예는? 따라서 세계 각국에서도 자국의 음식을 세계화 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그 예로 일본 정부는 1981년 농림수산성 산하 외식산업종합조사연구센터를 설치해 음식 세계화를 체계적으로 지원해 왔으며, 2010년까지 일식 인구를 12억 명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Choi & Won 2007). 태국은 정부 차원에서 ‘Global Thai Restaurant Project’를 실시하여 태국음식의 표준화, 음식점 매뉴얼화, 정부인증제 등 음식산업의 국제화를 추진하였으며(http://www.thaikitchen.org/www/default 2010, 김재수 2006), 중국은 세계 주요 도시에 중국 음식점이 곳곳에 있어 양적인 성장의 세계화와 현지화를 꾀하고 있다(Won HY 2007). 유럽 국가 중 이탈리아는 ‘외국인을 위한 이탈리아요리 연구소(ICIF)’를 세우고 20여 곳에서 자국 요리를 가르치고 있으며, 프랑스도 전략적으로 외국인 요리사를 양성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재수 (2006) 한국 음식 세계인의 식탁으로. 백산출판사, 서울. pp 5-20. 

  2. Byun JO, Han JS, Oh OH (2001) The Korean Americans'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II) - preference and frequenc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140-148. 

  3. Choi YS, Won CS (2007) Plan to introduce Korean food culture as a tourism product. Korea Hotel Resort Association 6: 157-166. 

  4. Ha KH (2010) Survey of Korean food acknowledgement and preference by Chinese students in Daejeon. Korean J Food & Nutr 23: 186-195. 

  5. Hong KM (2011)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s 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Chinese tourists.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pp 59-62. 

  6. Im JH (2012) Relationship among LOHAS of Korean food and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Korean restaurant in Korea and behavioral intention of Korea restaurant in Japan and China : in case of Japanese and Chinese inbound tourists in Korea. Ph 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pp 67-70. 

  7. Jang DJ, Kim SH, Lee HJ (2005) Survey of consumer perception for derivation of superior factors in various Korean traditional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780-812 

  8. Jang MJ, Cho MS (2000)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5: 215-223. 

  9. Joo HS, Kwon YJ, Lee SH (2008) Influential relations of hotel restaurant LOHAS image on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Korean Academic Soc Hospitality Administration 17: 3-5. 

  10. Joo NM, Kennon LR, Sim YJ (2001)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Americans residing in Korea for Korean traditional food.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 15-23. 

  11. Kim KH (2011) Study on Japanese consumers Korean food consumption behaviors and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food-related lifestyle. Korean J Food Culture 26: 614-620. 

  12. Koo HY (2009) Study on visual approache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Focusing on food coordination and service quality. Ph D Dissertation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pp 113-125. 

  13. Kwon YJ, Shin BK (2010) The impact of understanding Korean food on image, attitude, and globalization regarding Korean food.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136-154. 

  14. Lee JH (2006) A study of consumer preferences on Korean food: among the Japanese in Tokyo. MS Thesis Sook Myung University, Seoul. pp 35-56. 

  15. Lee KY, Cho MS, Lee JM (2007) Content analysis of the New York times on Korean food from 1980 to 2005. Korean J Food Culture 22: 292-297. 

  16. Lee MA (2008) Global strategy of Korean foods. Food Science and Industry 41: 1-10. 

  17. Lee YJ (2008) Influences of globalization factors of Korean food on country image, attitudes and product buying intention Ph 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pp 15-32. 

  18. Min KH (2007) A study on the menu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restaurants in Jeonju area for revitalization of Han brand.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3: 187-198. 

  19. Na JK (2007) A study on globalization of Korean restaurants.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10: 155-179. 

  20. Nho KS (2009) Study of preference and satisfaction degrees on the Korean food for its globalization. Ph D Dissertation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pp 1-3. 

  21. Park YS, Chung YS (2005) Korean traditional food perception and cultural aspect of Korean mongolian housewives. Korean J Food Culture 20: 35-43. 

  22. Seo KH (2003) A research on Korean food preference and satisfaction level on Korea restaurant of Japanese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pp 48-96. 

  23. Seo YJ, Lee WK (2011) The development of food-tourism to using traditional & local food. Korean Journal of Rural Tourism Association 18: 117-133. 

  24. Won HY (2007) A study on policy direction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n FTA environment. Report o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pp 133-152. 

  25. Yoon HR (2005) A study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s for foreigners in different nationality. Korean J Food Culture 20: 369-371. 

  26. http://www.thaikitchen.org/www/default. Accessed April1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