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가정 호스피스 운영 실태
The Status of Home-Based Hospice Car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6 no.2, 2013년, pp.98 - 107  

박재순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윤수진 (모현 호스피스센터 간호팀) ,  정연 (경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가정 호스피스 기관의 서비스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가정 호스피스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가정 호스피스의 표준 설정과 제도화, 다양한 호스피스 유형들의 연계 체계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2011년 5월을 기준으로 확인된 호스피스 기관 166개 중 의학적 돌봄을 포함하는 가정 호스피스를 운영한다고 응답한 29개 기관 전수의 질문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대상 기관 중 호스피스 입원 병실이 있는 경우는 51.7%, 순수 가정형은 34.5%이었다. 팀 구성원은 간호사와 자원봉사자가 각각 62.0%, 62.1%, 팀 구성원의 방문은 간호사와 자원봉사자가 각각 평균 8.84회와 6.0회, 팀 회의는 월평균 2.65회, 비용은 대부분 무료로,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는 방법에는 개인의 기부가 가장 많았다. 하루 평균 방문 환자 수는 평균 2.46명, 비암성 환자는 6.9%의 기관만이 돌보고 있었다. 58.6% 기관에서 협력의뢰를 위한 공식적인 체계를 구축하고 있었으며, 방문 범위는 44.8%에서 거리나 시간에 제한을 두고 있었다. 제공되는 서비스는 가족 상담과 서비스 연계가 가장 많았고, 가정 호스피스 의뢰방법은 환자 및 가족의 직접 의뢰가 51.7%로 가장 많았다. 대부분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본 의료장비 및 물품을 갖추고 있는 반면 특수 장비는 부족하였다. 호스피스 전용병상이 있는 경우는 대부분 정부 및 공공기관의 후원으로 이루어지고 서비스 측면에서는 팀 회의, 통증조절, 증상조절이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기관운영 장애요인으로는 재정문제, 인력부족, 호스피스 인식 부족의 순위를 보였으며, 이를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수가제도화'라고 주장하였다. 결론: 현재 우리나라의 가정 호스피스는 호스피스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많은 제한이 있으므로 빠른 제도화와 서비스 표준 확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home-based hospice care is provided in Korea. Methods: From July 2011 through August 2011, 29 hospice facilities that provide home-based hospice care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Item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were general character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주어진 수요를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총 사회적비용(이용자비용+운영자비용)이 최소화되는 노선의 운영계획을 작성하는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며 현실 자료에 적용하여 적용성을 평가한 후 개선방향을 도출하고 모형의 의미에 대해 해석하도록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간 여객철도를 대상으로 철도운영 계획 중 핵심부분인 노선계획을 설계할 수 있는 최적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반영하지 못했던 차종구분으로 포함시켜 복수 차종을 고려하였고, 이용자비용과 운영자비용을 동시에 반영하여 사회적비용 최적화모형을 수립하였으며 모형 내부에서 시·종점 선정, 정차패턴 결정, 운행빈도 결정, 차종별 수요 배분 등이 동시에 도출될 수 있는 모형으로 현실에서 지역간 여객철도의 운영전략이나 노선계획전략 수립시 적용 가능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간 철도의 운영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법으로 총 사회적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 노선계획 수립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현실에서 적용 가능한 실용적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선계획(line planning)이란 주로 철도 운영계획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노선의 시·종점 결정, 중간 정차역 결정, 노선의 운행빈도 결정 등을 포함하는 계획 모형을 의미한다.
  • 첫째, 본 연구는 지역간 여객철도의 노선계획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이용자비용·운영자비용 등 총 사회적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최적화수리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용성을 검토하며 결과 해석을 통해 대중교통계획 측면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한다.

가설 설정

  • 노선계획은 철도운영계획 단계 중 하나로 노선의 시·종점, 정차패턴(중간 정차역), 운행빈도 등의 결정이 주 목적인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①모형에서 사용되는 통행수요는 역간수요를 기본으로 하고 전체 역간수요는 불변임(노선계획은 수요예측에 의해 통행수요가 정해진 후에 이루어지는 단계이기 때문), ②수요 및 노선계획은 양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함, ③이용자의 접근 및 대기시간은 이용자비용에서 제외함(접근시간은 노선 계획과 관계없는 외부변수이고, 지역간철도는 열차시각표에 맞추어 역에 도착하므로 대기시간이 큰 의미 없음) , ④이용자비용과 운영자비용은 일반화비용계수를 이용하여 금액으로 환산하고 총비용에 포함시킴, ⑤같은 차종의 열차는 같은 통행시간과 용량을 가진다고 가정하고 서로 다른 차종간 환승은 불가능함이라는 기본 가정을 전제로 수리모형을 구축하였다.
  • 사례 분석은 우리나라의 경부선 철도를 대상으로 하고 차종은 KTX, 새마을, 무궁화호 3개 차종을 대상으로 하여 모형을 적용하였다. 여기서, KTX 의 경우 별도 선로를 이용하는 정차스케줄이 존재하지만, 죤간 수요 및 역세권 범위를 고려할 때, 다른 종류의 차종이 정차하는 인접한 역을 동일한 권역으로 가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 이는 실제 열차 운영상 역 시설규모, 수요, 정책적 요구 등으로 인해 모든 차종의 열차가 모든 역에 정차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모든 차종의 정차회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없음을 반영한 것이다. 여기서는 현재 운영현황을 고려하여 KTX는 총 14개 역에 정차할 수 있고, 하나의 스케줄 당 최대 8개 역에 정차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고, 새마을호의 경우 총 23개 역에 정차, 스케줄당 16개 역까지 정차 가능으로 제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호스피스 기관이 처음 개설된 연도는? 우리나라는 1965년 처음 호스피스 기관이 개설된 이후 개인 혹은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소외계층의 말기환자를 돕는 활동으로 시작되어 1980년대에 현대적 개념의 다양한 형태의 호스피스 활동이 전개되어 왔으며, 2005년에는 전국적으로 150여 개의 호스피스 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5) 아직 제도적 확립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단계이다.
국내 가정 호스피스 기관의 운영 및 서비스 실태와 문제점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 대상 기관은 어떻게 선정하였는가? 대상 기관의 선정은 다음과 같이하였다. 2011년 보건복지부 지정 말기 암 환자 완화의료 기관 43개를 포함하여 한국가톨릭호스피스협회 소속 기관, 한국호스피스협회 소속 기관 중 중복 등록된 기관을 제외한 166개 기관을 대상으로 사전 전화조사를 실시하여 가정 호스피스를 운영한다고 응답한 69개 기관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 승인서와 함께 설문 내용을 전화로 확인된 주소로 반송 우표를 동봉하여 송부하였다. 6주가 경과한 후 미 회수 기관에 대해 전화로 연락한 결과 40개 기관이 본 연구에 사용한 설문 내용에 부합하지 않다고 응답을 거부하여 29개 기관만이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40개의 미 회수기관은 대부분 종교기관에 속한 민간 호스피스 단체로서 종교적 차원의 심리적이고 영적인 지지의 자원봉사자 활동에만 초점을 두고 있었으므로, 국가 암 관리법에 따른 의료인 직종을 전혀 두고 있지 않아 호스피스 서비스 제공 기관으로 간주할 수 없었다.
2010년 미국의 호스피스 서비스의 비율은? 현재 호스피스 돌봄에 대한 의료적 적용은 의학적 예후에 대한 의사의 확인에 따르고 있지만, 아직 많은 환자들이 중환자실에서 가족과 격리된 상태로 죽음을 맞이하고 있는 실정으로 Ryder-Lewis(2)는 가정에서의 돌봄이 말기환자와 가족에게 의미 있는 선택의 하나임을 제안하고 있다. 선진국의 호스피스 서비스 유형분포를 살펴보면 2005년 영국의 호스피스 서비스는 314개의 병원기반 서비스 이외에도 295개의 가정 형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3), 2010년 미국의 호스피스 서비스는 독립 형이 58.0%, 병동 형이 21.3%, 가정 형이 19.2%였으며, 요양원 체계는 1.4%이었다(4).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호스피스ㆍ완화의료 기관들은 각각 구조적 기능적 측면에서 다른 특성들을 가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환자의 상태 및 요구에 따른 적합한 선택이 이루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Faull C, Carter Y, Daniels L. Handbook of palliative care. 2nd ed. Malden, Mass.:Blackwell Pub.;2005. 

  2. Ryder-Lewis M. Going home from ICU to die: a celebration of life. Nurs Crit Care 2005;10:116-121. 

  3. Old JL, Swagerty D. A practical guide to palliative care.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2007. 

  4. NHPCO facts and figures: hospice care in America [Internet]. Alexandria, VA: 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c2011. [cited 2012 Feb 24] Available from: http://www. nhpco.org/files/public/Statistics_Research/2011_Facts_Figures.pdf. 

  5.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Palliative Care WHO Collaborating Centr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Nursing.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oul:Koonja;2006. p. 49. 

  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Guide to National Cancer control program. Seoul:Ministry of Health & Welfare;2006. 

  7. Yang SA, Cho OH, Yoo YS. A survey of cancer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room.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9;12:228-233. 

  8. Lee JK. Study on the role of the parish community for the Hospice Home Care [dissertation]. Seoul: Catholic Univ.; 2002. Korean. 

  9. McLaughlin D, Sullivan K, Hasson F. Hospice at Home service: the carer's perspective. Support Care Cancer 2007;15:163-170. 

  10. Lee KS, Joo J, Kim JH, Kim KY. Current status and challenge of hospice.palliative care in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8;11:196-205. 

  11. Cho H, Son JY, Heo JD, Jin EH. Development of an efficient management program for the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ject of public health cent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7;10:128-136. 

  12. Huh JS, Kim HJ. Current statu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management in Jeju.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0;13:76-80. 

  13. Lee HS, Park SH, Chung YS, Lee BK, Kwon SH. Evaluation of a community-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gram : collaboration between a hospice center and public health cent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0;13:216-24. 

  14. Kyung MH, Jang YM, Han KH, Yun YH. Current status and activation plan of hospice palliative care in Korea-based on hospice palliative care facilities survey.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0;13:143-152. 

  15. Lee TW, Sung YH, Choe WS, Hwang NM, Park HO, Hwang MS, et al. A study on estimating the nursing cost of home hospice care. J Korean Acad Nurs Admin 2008;14:182-195. 

  16. Stevenson DG, Huskamp HA, Grabowski DC, Keating NL. Differences in hospice care between home and institutional settings. J Palliat Med 2007;5:1040-10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