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기 남부지역 HACCP 인증 아이스크림 업체와 미인증 업체의 미생물 관리 수준 비교
The comparison of microbiological control level between HACCP-accredited ice cream manufacturers and non-accredited ones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Korea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36 no.2, 2013년, pp.95 - 103  

배진규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  전오숙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  박혜원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  복민순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  양호열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  박준조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  고태오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livestock slaughter and product processing business in 1997. Ice cream manufacturers focus on the sterilization process in order to reduce microorganism, so the HACCP-accredited ice cream manufacturers particular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유가공업을 대상으로 하여 미생물 검사 후 정량적 지표를 통한 HACCP 인증 업체와 미인증 업체와의 미생물 관리수준에 관한 비교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HACCP 인증 의무화를 가장 우선하여 추진 중인 유가공업의 아이스크림 제조업체에 대해서 HACCP 인증 업체와 미인증 업체 간의 미생물 관리수준을 비교ㆍ평가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미인증 업체의 검사 품목은 55개로 중심극한정리에 따라 정규 분포로 가정하였으며 두 표본집단은 Levene의 등분산 검정결과 P값이 0.195으로 등분산이 가정되어(P>0.05) 독립표본 t-test를 위한 조건을 충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ACCP 인증 업체와 미인증 업체의 가장 큰 차이점은? HACCP 인증 업체와 미인증 업체의 가장 큰 차이점은 HACCP 관리 유ㆍ무에 있는데 지정심사 및 조사ㆍ평가 시 위해요소분석과(HA), 중요관리점(CCP) 설정의 유효성 평가와 실행성 검증에 초점이 맞추어진다(Hong과 Lee, 2011). 정부는 HACCP 운용 강화조치로 축산물위생관리법 제9조(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에 따라 HACCP 인증 후 매년 1회 이상의 조사ㆍ평가를 시행 중이며 조사ㆍ평가는 축산물가공업, 식육포장처리업 및 집유업에 대해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담당하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처, 2013a).
HACCP 인증을 받는 방법은? 국제적으로도 1993년 제20차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총회에서 HACCP 적용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고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다(FAO, 2003a; 2003b; 2006). HACCP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식품의약품안전처, 2013b)의 실시상황평가표에 따른 평가에서 적합 판정을 받아야 하는데, 평가기준은 크게 선행요건 관리, HACCP 관리, 유형별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HACCP 인증을 받지 않은 업체라도 축산물위생관리법 제8조(위생관리기준)에 따라 자체위생관리기준을 정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법에서 정하고 있으며(식품의약품안전처, 2013a) 주요 내용은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의 선행요건 관리와 유사하다.
HACCP 인증 업체와 미인증 업체읭 법적 의무사항의 차이는? HACCP 인증 업체와 미인증 업체의 공정 관리 시 법정 의무사항의 세부적인 차이는 Table 5와 같았다. 법적 의무사항의 차이는 미인증 업체는 준수사항이 매우 포괄적이지만 인증업체는 공정별로 세분되어 있고, 가능한 모든 공정별 관리조치들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시행하게 되어 있다. 즉 HACCP 인증업체는 공정별로 위해요소분석을 통한 HACCP 관리 조치를 정하고 시행 중인 조치들이 유효한지를 평가 후 개선하는 일련의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국희, 김우호, 김종우, 김종협, 김창한, 이택주, 정기철, 한문희. 1996. 낙농미생물학. 선진문화사, 서울. 

  2. 김병태, 이기채, 연경화, 장원경. 2006. 통계학의 이해. 2판. 대경, 대전. 

  3. 김정수. 2007. 아이스크림 HACCP 일반 모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2009. 유가공업 HACCP 적용 매뉴얼. 

  5.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2011. HACCP평가관을 위한 HACCP 적용 작업장 정부검증 매뉴얼. 

  6. 농림수산식품부. 2011. 축산물 HACCP 활성화 대책(농장에서 식탁까지 안전.위생 확보). 

  7.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a. 축산물위생관리법. 법률 제11690호. 

  8.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b.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3-149호. 

  9.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c.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3-137호. 

  10. 이원철. 2010. 축산물 가공장 HACCP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 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4. 어묵류 등 6개 의무적용품목의 위 해관리 지침서 개발(구축편). pp. 81-87. 

  12. Baek SH, Kan SC, Lee WC, Nam IS. 2012. Effects of HACCP system implementation on domestic livestock product plan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2: 168-173. 

  13. CFIA. 2012. Food Safety Enhancement Program Manual. http:// www.inspection.gc.ca/DAM/DAM-food-aliments/ STAGING/text-texte/food_fsep_man_1343667674768_eng.pdf. 

  14. FAO. 2003a.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and guidelines for application. CAC/RCP 1-1969, Rev. 3 (1997). http://www.fao.org/docrep/005/Y1579E/ y1579e03.htm. 

  15. FAO. 2003b. Recommended international code of practice general principles of food hygiene. CAC/RCP 1-1969, Rev. 3 (1997). http://www.fao.org/docrep/005/Y1579E/y1579e02. htm#bm2. 

  16. FAO. 2006. Food Safety Certification. ftp://ftp.fao.org/docrep/ fao/008/ag067e/ag067e00.pdf. 

  17. FDA. 2006. Code of Federal Regulation, Food and Drug, Part 110 CGMP and Part 120 HACCP. http://www.michigan. gov/documents/MDA_cfr110_10316_7.pdf. 

  18. Fernandes R. 2009. Ice cream and related products. pp. 91-101. Microbiology handbook: dairy products. Leatherhead Pub., Royal Society of Chemistry, UK. 

  19. Hong CH, Todd EC, Bahk GJ. 2008. Aerobic plate counts as a measure of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effectiveness in a pork processing plant. J Food Protection 71: 1248-1252. 

  20. Hong CH, Lee SM. 2011. Suggestions for a better HACCP system assessment in livestock product processing plants. Korean J Vet Serv 34: 441-448. 

  21. Kassem M, Salem E, Ahwal AM, Saddik M, Gomaa NF. 2002. Application of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system in the dairy industry. East Mediterr Health J 8: 114-128. 

  22. Kim TW, Choi JH, Kim JM, Ding T, Rahman SME, Bahk GJ, Oh DH. 2009. Quality evaluation of edible ices on the microbiological risk factors. J Fd Hyg Safety 24: 86-93. 

  23. Kokkinakis EN, Fragkiadakis GA. 2007. HACCP effect on microbiological quality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a survey in six mass-catering establishments. Int J Food Sci Technol 42: 18-23. 

  24. Kokkinakis EN, Fragkiadakis GA, Ioakeimidi SH, Giankoulof IB, Kokkinaki AN. 2008. Microbiological quality of ice cream after HACCP implementation: a factory case study. Czech J Food Sci 26: 383-391. 

  25. Lee JY, Paik JK, Hwang HS, Lee JE, Shin WS, Kim HW, Paik HD, Hong WS. 2010. Survey of hygienic condition and management of meat markets in Seoul and Gyeong-Gi area, Korea (HACCP-certified and Non Certified).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 336-344. 

  26. Osimani A, Aquilanti L, Babini V, Tavoletti S, Clementi F. 2011. An eight-year report on the implementation of HACCP in a university canteen: impact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meals. Int J Environ Health Res 21: 120-132. 

  27. Rodrigues KL, Silva JA, Aleixo JAG. 2012. Effec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prerequisite program in an institutional foodservice unit in Southern Brazil. Cienc Tecnol Aliment 32: 196-200. 

  28. Ryu K, Park KH, Yang JY, Bahk GJ. 2013. Simple approach in HACCP for evaluating the risk level of hazards using probability distributions. Food Control 30: 459-462. 

  29. USDA/FSIS. 2006. Code of federal regulation, animals and animal products, part 416 sanitation. http://ecfr.gpoaccess.gov/ cgi/t/text/text-idx?cecfr&tpl/ecfrbrowse/Title09/9cfr416_ main_02.tpl. 

  30. USDA/FSIS. 2008. FSIS Directive 5000.1. http://www.fsis.usda. gov/OPPDE/rdad/FSISDirectives/5000.1Rev3.pdf. 

  31. Yang HY, Lee SM, Park EJ, Kim JH, Lee JG. 2009. Analysi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PFGE patterns of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chickens at slaughterhouse in Incheon area. Korean J Vet Serv 32: 325-334.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