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례와 면접을 통해 본 국내 공공도서관의 지적장애인서비스
Case Studies and Interviews to Review Public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7 no.1, 2013년, pp.197 - 219  

송경진 ((사)포럼 문화와도서관,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정은 (대전대학교 특수교육학과) ,  손지영 (청주대학교 교직과)

초록

이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지적장애인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지적장애인서비스를 실시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례를 조사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적장애인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직접 지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서비스를 실시해 본 경험이 있는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인서비스는 대부분 상시적인 서비스보다는 단기간의 프로그램 형태였으며, 복지관 등의 외부기관과 협력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직접 이러한 서비스를 실시했던 공공도서관의 사서들은 지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제공의 당위성에는 공감하고 있었으나 운영과 관련된 여러 가지 어려움을 지적하였다. 연구결과 적절한 예산과 인력 지원, 정책적인 견인 조치, 도서관의 기능과 목적에 부합하는 지적장애인서비스 모델의 개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current status of Korean public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well as problems associated with managing the services, in order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implementation.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the researcher conducted a case study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2008년에 장애인에 대한 도서관서비스를 위해 제정한 법은?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 5월에 장애인에 대한 도서관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입안하고 지원 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국립중앙도서관 내에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를 설치하였고, 2008년에는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이후 국립장애인도서관지 원센터는 2011년 「도서관법」의 개정을 통해 기존의 기능을 흡수, 확대한 국립장애인도서관으로 2012년 9월 개관되었다.
공공도서관의 지적장애인서비스가 장기적,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재정적인 지원과 서비스 개발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넷째, 공공도서관의 지적장애인서비스가 장기적,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재정적인 지원과 서비스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본연구결과를 보면, 국내 공공도서관의 지적장애인서비스들은 대부분 일시적인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되고 있었고,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것은 택배나 방문대출 등의 소극적 서비스로 제한되어 있었다. 그리고 사서와의 표적집 단면접을 통해서도 인력 및 예산 등 사업수행에 필요한 가용 자원의 부족, 기관장의 인식부족 등으로 인해 지적장애인서비스가 장기적으로 지속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도서관에서 지적장애인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개별 공공 도서관의 역량과 자원에 따라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국고보조금 사업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적 견인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제도서관협회연맹이 펴낸 공공도서관서비스 가이드라인이 명시하는 것은? 특히 정보접근에 대한 공평성은 오래 전부터 공공도서관의 주요 이념으로 각 기준과 헌장 등에 공표되어 왔다. 국제도서관협회연맹(International Federaton of Library Association and Institutions, IFLA) 이 펴낸  공공도서관서비스 가이드라인은 공공 도서관서비스가 구성원 모두에게 이용 가능해야 하고 지역사회 내 특정집단에 국한되거나 다른 집단을 배제해서는 안 되며, 언어적 소수집단, 신체적․정신적 장애인, 도서관과 멀리 떨어진 곳에 거주하는 주민들에 대한 차별 없는 도서관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다. 더불어 어떤 이유로든 도서관의 일반적인 서비스에 접근할 수 없는 사람들을 고려한 도서관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내용의 ‘특수이용자집단에 대한 서비스’ 규정을 지침에 포함시키고 있다(Koontz & Gubbin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숙희. 2011.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97-123. (Kang, Sook-Hee. 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ypes of disabili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97-123.) 

  2. 강숙희. 2012. 통합교육환경에서의 사서교사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1): 1-25. (Kang, Sook-Hee. 2012. "A study on the education for teacher librarians i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1): 1-25.) 

  3. 국립중앙도서관. 2012. 2011년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2. 2011 National survey for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y. Seoul: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4. 국립특수교육원. 2009.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夏雨. (Korea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09. The dictionary of special education. Seoul: Hawoo.) 

  5. 김혜주, 안인자, 박미영, 이명희. 2010.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활동 모형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 217-241. (Kim, Hye-Ju, Ahn, Inja, Park, Mi-Young, & Lee, Myeong-Hee. 2010. "A model on voluntary activity in library services for disabled people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1): 217-241.) 

  6. 노영희, 안인자, 박미영. 2011.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이용자의 홍보에 대한 인식조사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4): 179-207. (Noh, Younghee, Ahn, In-Ja, & Park, Miyoung. 2011. "A study of differently-abled users' perception of public relations services in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4): 179-207.) 

  7. 류명옥, 이미숙, 노진아. 2012. 정신지체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 실태에 대한 조사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4(1): 179-201 (Ryu, Myung OK, Lee, Mi Suk, & Noh, Ji Na. 2012. "The survey research on the operation status and activation ways of special school librarie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4(1): 179-201.) 

  8.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도서관통계 [online]. [cited 2012.12.31]. .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Library Statistics of Korea. [online]. [cited 2012. 12.31]. .) 

  9. 윤희윤. 2010. 주요국가의 장애인용 대체자료 개발정책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1): 29-49. (Yoon, Hee-Yoon. 2010. "Analysis of alternative development policy for the disabled persons in the major count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1): 29-49.) 

  10. 이미숙, 송기호. 2011a.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현황 및 운영에 대한 담당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2(3): 507-534. (Lee, Mi Suk, & Song, Gi Ho. 2011a. "The current status and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on the management of special school librari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2(3): 507-534.) 

  11. 이미숙, 송기호. 2011b. 장애학생의 통합학교 도서관 이용에 대한 사서교사의 견해 분석.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54(4): 219-239. (Lee, Mi Suk, & Song, Gi Ho. 2011b. "The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on the utiliz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school libraries."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54(4): 219-239.) 

  12. 정연경, 김성진. 2008. 장애인의 도서관서비스 이용 및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301-323.(Chung, Yeon-Kyoung, & Kim, Sung-Jin. 2008.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 use and needs of disabled use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3): 301-323.) 

  13. 조용완. 2007.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보격차해소 활동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167-186. (Cho, Yong-Wan. 2007. "Analysis of the Activities of Public Libraries for Closing the Information Divide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4): 167-186. 

  14. Curry, Elizabeth and Laura J. Hodges. 1989. "Adult services." RQ, 28(4): 463-469. 

  15. Holmes, Jennifer L. 2008. "Patr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needs assessment survey." New Library World, 109(11): 533-545. 

  16. Linley, Rebecca. 2000. Public libraries, disability and social exclusion. Social Exclusion Action Planning Network (UK) Working paper 11 [online]. [cited 2012.12.31]. . 

  17. Koontz, Christie and Barbara Gubbin. 2010. IFLA public library service guidelines. 2nd ed. Berlin; New York: De Gruyter Sau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