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생물자원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ioresource Juices from Jeju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3, 2013년, pp.293 - 298  

이영준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단비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조주현 ((주)휴럼 중앙연구소) ,  백순옥 ((주)휴럼 중앙연구소)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에 자생하는 생물자원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여 추후 제주 생물자원을 이용한 산업적 활용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주 생물자원 20종 착즙액은 2.0-6.5의 pH 범위 값을 나타내었으며, 3.3-16.8 $^{\circ}Bx$ 값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 함량 측정 결과, 복분자 착즙액이 47.3 mg GAE/100 mL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포도와 블루베리가 각각 40.3 및 34.7 mg GAE/100 mL으로 측정되어 20종의 생물자원 중에서 베리류 착즙액(S6-S8)에서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및 ORAC assay를 이용하여 20종 착즙액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한라봉 착즙액이 86.8%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영귤 착즙액이 $2,409.5{\mu}M$ TE/mL으로 가장 높은 ORAC 수치를 보였다. 또한 레몬, 황금향, 감귤 착즙액에서도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감귤류 착즙액의 경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한편, 아질산염 소거능은 참다래 착즙액이 가장 높은 활성(84.4%)을 나타내었다. 제주 생물자원 20종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결과 한 결과, DPPH radical 소거능과 pH간의 상관계수의 값이 0.7343으로 가장 높았다. 이때 5종의 감귤류 착즙액만을 선택하여 상관관계를 나타낸 경우 총 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과의 상관관계가 0.875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beverage using the juices from bioresources from Jeju. Our results show that pH and $^{\circ}Bx$ of the bioresources ranged 2.0-6.5 and 3.3-16.8, respectively. Rubus coreanus Miquel juice ha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4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생물자원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능을 갖는 건강음료의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제주도 지역에 자생하는 20종 생물자원을 착즙한 후 각각의 착즙액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pH, ºBx)과 다양한 모델(DPPH 라디칼 소거능, ORAC assay)에서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에 자생하는 생물자원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여 추후 제주 생물자원을 이용한 산업적 활용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주 생물자원 20종 착즙액은 2.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생물자원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능을 갖는 건강음료의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제주도 지역에 자생하는 20종 생물자원을 착즙한 후 각각의 착즙액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pH, ºBx)과 다양한 모델(DPPH 라디칼 소거능, ORAC assay)에서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이들 결과들을 활용하여 ORAC 지수를 기초로 한 항산화 효능을 갖는 건강음료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원리는 크게 무엇이 있는가? 천연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원리는 크게 free radical 소거와 전자전달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DPPH (1,1-diphenyl-2- picryl hydrazyl) assay는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항산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11).
제주 생물자원 착즙액의 pH를 측정한 결과, 채소류 착즙액 보다 과일류 착즙액 시료에서 pH가 더 낮게 측정된 이유는? 5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이는 과일류 착즙액에 함유된 유기산류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oBx는 대체적으로 과일류 착즙액(S1-S14)이 채소류 착즙액(S15- S20)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천연물의 항산화 측정 방법으로 ORAC 방법의 원리는? DPPH (1,1-diphenyl-2- picryl hydrazyl) assay는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항산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11). 반면, ORAC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는 수소 전자의 전달에 의한 환원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식품 내 존재하는 수용성 및 지용성 성분과 모두 반응하기 때문에 응용 범위가 넓으며 생물자원의 항산화 측정에 적절하다는 장점을 지닌다(12,13). ORAC assay는 2004년도 플로리다 올랜도에서 열린 항산화 활성의 표준화를 위한 세계 학술 대회에서 기존에 존재하는 항산화 실험의 오류를 없애고 표준화를 통한 정확한 결과값 산출을 위해 선정된 방법이다(14,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Yamashina K, Miller BE, Heppner GH. Macrophage-mediated induction of drug-resistant variants in a mouse mammary tumor cell line. Cancer Res. 46: 2396-2401 (1986) 

  2. Fridovich I. Superoxide dismutases. An adaptation to a paramagnetic gas. J. Biol. Chem. 264: 7761-7764 (1989) 

  3. Sureda A, Tauler P, AguilA, Cases N, Fuentespina E, Crdova A, Tur JA, Pons A. Relation between oxidative stress markers and antioxidant endogenous defences during exhaustive exercise. Free Radic. Res. 39: 1317-1324 (2005) 

  4. Bae ON, Lee MY, Chung SM, Ha JH, Chung JH. Potential risk to human health by arsenic and its metabolite. J. Environ. Toxicol. 21: 1-11 (2006) 

  5. Kim HK, Kwon YJ, Kim YE, Nahmgang B.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1: 88-95 (2004) 

  6. Park JH, Kim SY, Kang MG, Yoon MS, Lee YI, Park EJ. Antioxidant activity and safety evaluation of juice containing protaetia brevitar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41-48 (2012) 

  7. Larson RA. The antioxidants of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27: 969-978 (1988) 

  8. Kalt W. Effects of production and processing factors on major fruit and vegetable antioxidant. J. Food Sci. 70: 11-19 (2006) 

  9. Oh SJ, Hong SS, Kim YH, Koh SC.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in fern plants native to Jeju island. Korean J. Plant Res. 21: 12-18 (2008) 

  10. Ramakrishna A, Ravishankar GA. Influence of abiotic stress signals on secondary metabolites in plants. Plant Signal. Behav. 6: 1720-1731 (2011) 

  11. Szabo MR, Idioiu C, Chambre D, Lupea AX. Improved DPPH determination for antioxidant activity spectrophotometric assay. Chem. Pap. 61: 214-216 (2007) 

  12. Huang D, Ou B, Hampsch-Woodill M, Flanagan JA, Prior RL. High-throughput assay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using a multichannel liquid handling system coupled with a microplate fluorescence reader in 96-well format. J. Agr. Food Chem. 50: 4437-4444 (2002) 

  13. Prior RL, Hoang H, Gu L, Wu X, Bacchiocca M, Howard L, Hampsch-Woodill M, Huang D, Ou B, Jacob R. Assays for hydrophilic and lipophilic antioxidant capacit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FL))) of plasma and other biological and food samples. J. Agr. Food Chem. 51: 3273-3279 (2003) 

  14. Prior RL, Wu X, Schaich K. Standardize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 Food Chem. 53: 4290-4302 (2005) 

  15. Kim SH, Kim YM. Determination of the antioxidant capacity of Korean ginseng using an ORAC Assa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397-401 (2007) 

  16. Feeney MJ. Fruits and the prevention of lifestyle-related diseases. Clin. Exp. Pharmacol. P. 2(Suppl): S11-13 (2004) 

  17. Sato M, Ramarathna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 Food Chem. 44: 37-44 (1996) 

  18. Kim JH, Park JH, Park SD, Choi SY, Seong JH, Hoon KD.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17-624 (2002) 

  19.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967 (1981) 

  20. Ou B, Hampsch-Woodill M, Prior R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t probe. J. Agr. Food Chem. 49: 4619-4626 (2001) 

  21. Cho YJ, Ju IS, Kim BC, Lee WS, Kim MJ, Lee BG, An BJ, Kim JH, Kwon OJ.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198-203 (2007) 

  22. Shin DB, Lee DW, Yang R, Kim JA.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flavonoids contents of matured Citrus peel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15: 357-362 (2006) 

  23. Pietta PG. Flavonoids as antioxidants. J. Nat. Prod. 63: 1035-1042 (2000) 

  24. Heijnen CG, Haenen GR, van Acker FA, van der Vijgh WJ, Bast A. Flavonoids as peroxynitrite scavengers: the role of the hydroxyl groups. Toxicol. In Vitro 15: 3-6 (2001) 

  25. Kim H, Choi HK, Moon JY, Kim YS, Mosaddik A, Cho SK. Comparative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red and white pitayas and their correlation with flavonoid and polyphenol content. J. Food Sci. 76: C38-45 (2011) 

  26.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004) 

  27. You JK, Chung MJ, Kim DJ, Seo DJ, Park JH, Kim TW, Choi M.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Paeonia suffruticosa wate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92- 296 (2009) 

  28. Rice-Evans C, Miller NJ, Paganga G.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1997) 

  29. Davies R, Massey RC, McWeeny DJ. A study of the rates of the competitive nitrosations of pyrrolidine, p-cresol and L-cysteine hydrochloride. J. Sci. Food Agr. 29: 62-70 (1978) 

  30. Woo SJ, Lee HJ. Residual nitrite and nitrate in home processed dry sausage and ham. Korean J. Nutr. Soc. 15: 186-193 (1982) 

  31. Connor AM, Luby JJ, Tong CBS. Variability in antioxidant activity in blueberry and correlations among different antioxidant activity assays. J. Am. Soc. Hortic. Sci. 127: 238-244 (2002) 

  32. Thaipong K, Boonprakob U, Crosby K, Cisneros-Zevallos L, Byrne DH. Comparison of ABTS, DPPH, FRAP and ORAC assays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guava fruit extracts. J. Food Compos. Anal. 19: 669-675 (2006) 

  33. Tabart J, Kevers C, Pincemailb J, Defraigne JO, Dommes J. Comparative antioxidant capacities of phenolic compounds measured by various tests. Food Chem. 1313: 1226-1233 (2009) 

  34. Kang YH, Park YK, Lee GD.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