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PS와 CDMA를 이용한 난대림의 출산 전후 암노루 행동권 및 서식환경 조사
Home Range Size and Habitat Environment Related to the Parturition of Roe Deer at Warm-Temperate Forest in Jeju Island Using GPS-CDMA Based Wildlife Tracking System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6 no.2, 2013년, pp.65 - 74  

김은미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권진오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강창완 ((사)한국조류보호협회 제주지회) ,  송국만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민동원 ((사)한국조류보호협회 제주지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난대림에 서식하는 노루(Capreolus pygargus)의 생태 연구 일환으로 제주도에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주시험림에서 실시하였다. 노루의 행동권과 서식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2012년 4월 24일부터 수컷 3마리, 암컷 3마리의 노루를 포획한 후 GPS-CDMA 기반 추적기를 목에 부착하여 방사하였다. 암컷 중 2마리는 임신한 상태였으며 서귀포시 남원읍 한남리에 위치한 시험림에서 포획 및 관찰하였다. 암노루의 위치 추적을 통해 출산 전에는 불규칙인 이동이 관찰되다가 출산 후 일정한 지점으로 되돌아오는 규칙성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행동권 분석은 ESRI ArcView GIS 3.2a의 MCP(minimum convex polygon)와 Kernel Method를 사용하였다. 5월 9일에 포획한 암노루는 MCP=67ha, Kernel 95%=0.5ha이고 7월 12일에 포획한 암노루는 MCP=82ha, Kernel 95%=0.9ha로 확인되었다. 행동권 면적 변화를 살펴보면, 출산직후 새끼노루와 암노루는 위험노출을 줄이기 위해 타 동물들처럼 즉시 이동할 수 있음에도 대단히 좁은 지역에서 한동안 머물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행동권을 점차 넓혀가는 경향을 보였다. 암노루는 사람출입이 잦은 탐방로의 반대방향으로 주로 이동하였다. 암노루가 출산한 지역은 40년생 삼나무가 식재된 인공림으로 2010년 숲가꾸기를 통해 삼나무를 제외한 하층식생이 제거되었다가 현재는 먹이자원이 되는 새로운 관목이 우거진 곳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림시업이 노루의 출산과 어린새끼의 생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난대림에서 암노루의 출산 시기는 제주도 내 높은 고도에서보다 다소 빨랐으며 행동권 면적은 다른 국가의 선행연구에 비해 좁게 나타났고 새끼를 숨기는 은신처의 서식환경은 다른 나라에서 연구된 보고와 비슷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research program for the roe deer (Capreolus pygargus) has been set up at the Jeju Experimental Forest of Warm-temperat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in Jeju Island. To explore the home range size and habitat environment, 3 males and 3 females have been captured and released with GPS-CD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해발 300m에서 400m 사이에 위치하며 숲가꾸기 사업이 진행된 난대림에서 새끼를 가진 암노루의 출산시기를 비롯하여 출산 전후 암노루의 행동권 및 출산 후 서식환경을 조사 하여 노루의 생태와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기존 제주도에서 알려진 출산시기와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그 이유로 추정되는 것은? 이번 연구에서 노루의 출산은 5월 17일과 7월 13일에 이루어졌고 기존 제주도에서 알려진 출산시기와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이런 차이는 기존 연구방식과 GPS추적방식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보인다. 노루의 행동권을 파악 하기 위해서는 포획을 통한 위치추적장치 부착이 필요한데 밤이나 새벽녘에 주로 활동하고 경계심이 강한 노루를 포획하는 것이 기술 적으로 어려웠다.
제주도에 서식하는 노루의 출산 시기는? 현재 제주도에 서식하는 노루의 출산 시기는 5월 20일부터 6월 10일로 보고되어 있으며 (Oh, 2006), 이는 4월부터 출산시기가 시작되는 유럽노루보다는 늦고(Mateos-Quesada and Carranza, 2000; Raganella-pelliccioni et al., 2007) 5월 중순 이후에 새끼를 낳는 시베리아노루와는 거의 비슷하다(Danilkin, 1996-재인용 Oh, 2006).
암노루의 행동권은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암노루의 행동권은 출산전후에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새끼의 존재와 관련이 있다. 노루의 새끼는 태어나자마자 이동이 가능하지만 몸을 숨기고 위험에 노출되지 않는 전략을 이용하는 우제류이기 때문에 출산 후 암노루는 새끼가 안전한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ook, J.G., L.L. Irwin, L.D. Bryant, R.A. Riggs, J.W. Thomas. 2005. Thermal cover needs of large ungulates: a review of hypothesis tests. In: Wisdom MJ (ed) The starkey project: a synthesis of long-term studies of elk and mule deer. Reprinted from the 2004 transactions of the North American Wildlife and Natural Resources Conference. Alliance Communications Group, Lawrence, pp.185-196. 

  2. Danilkin, A.A. 1996. Behaviour Ecology of Siberian and European Roe Deer. Chapman & Hall, London, UK, 277pp. 

  3. Espmark, Y. 1969. Mother-young relations and development of behaviour in roe deer(Capreolus capreolus L.). Viltrevy 6(6):461-540. 

  4. Gaillard, J.M., D. Delorme and J.M. Jullien. 1993. Effects of cohort, sex and birth date on body development of roe deer(Capreolus capreolus) fawns. Oecologia 94(1):57-61. 

  5. Jeppesen, J.L. 1984. Human disturbance of roe deer and red deer: preliminary results. Communicationes Instituti Forestalis Fenniae 120:113-118. 

  6. Kim E.M., J. Kwon, Y.K. Park, C.W. Kang, K.M. Song and D.W. Min. 2012. Survey on the territory and habitat environment related to the parturition of roe deer at warm-temperate forest in Jeju Island by using GPS based wildlife tracking system. The 2012 Proceeding of KAGIS Fall Conferenc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pp.420-421 (김은미, 권진오, 박영규, 강창완, 송국만, 민동원. 2012. GPS추적시스템을 이용한 난대림에서 출산 전후 암노루의 행동권 및 서식환경 조사. 2012한국지리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420-421쪽). 

  7. Lee J.H., H.J. Lee, N.Y. Ra, J.K. Kim, J.H. Eom and D.S. Park. 2009. Application of PIT tag and radio telemetry research method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eptiles in Korea national park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7(2):146-154 (이정현, 이헌주, 라남용, 김자경, 엄준호, 박대식. 2009. 국립공원 내 파충류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PIT(pasive integrated transponder) tag과 무선추적방법(radio telemetry)의 적용.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7(2):146-154). 

  8. Lee S.G., S.G. Jung, K.H. Park, K.T. Kim and W.S. Lee. 2010 A prediction model and mapping for forest-dwelling birds habitat using GI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62-73 (이슬기, 정성관, 박경훈, 김경태, 이우성. 2010. GIS를 이용한 산림성 조류의 서식지 예측 모형 및 지도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 (1):62-73). 

  9. Lent, P.C. 1974. Mother-infant relationship in ungulates. In: V. Geist and F. Walther(eds) The Behaviour of Ungulates and its Relation to Management. UICN, Morgues, pp.14-55. 

  10. Linnell, D.C., P. Nijhuis, I. Teurlings and R. Andersen. 1999. Selection of bed-sites by roe deer Capreolus capreolus fawns in a boreal forest landscape. Wildlife Biology 5(4):225-231. 

  11. Maillard, D., C. Calenge, N. Invernia and J.C. Gaudin. 2002. Home range size and reproduction of female roe deer reintroduced into a Mediterranean habitat. European Journal of Wildlife Research 48(1):194-200. 

  12. Mateos-Quesada, P. and J. Carranza. 2000. Reproductive patterns of roe deer in central Spain. Etologia 8:17-20. 

  13. Mohr C.O. 1947. Table of equivalent population of North American small mammals. American Midland Naturalist 37:223-249. 

  14. Moorter, B., J. Gaillard, P.D. Mcloughlin, D. Delorme, F. Klein and M.S. Boyee. 2009. Maternal and individual effects in selection of bed sites and their consequences for fawn survival at different spatial scales. Oecologia 159:669-678. 

  15. Morse, B.P., N.P. Nibbelink, D.A. Osborn and K.V. Miller. 2009. Home range and habitat selection of an insular fallow deer(Dama dama L.) population on Little St. Simons Island, Georgia, USA. European Journal of Wildlife Research 55(4):325-332. 

  16. Oh J.G. 2006. Report of survey and study of Hallasan natural reserve in 2006(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oe deer(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 at Mt. Halla in Jeju). Research Institute for Mt. Halla, pp.547-579 (오장근. 2006. 한라산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보고서(노루(Capreolus pygargus tianschanicus)의 분포와 생태적 특징). 한라산연구소. 547-579쪽). 

  17. Raganella-pelliccioni, E., M. Scremin and S. Toso. 2007. Phenology and synchrony of roe deer breeding in northern Italy. Acta Theriologica 52(1):95-100. 

  18. Park C.R., S.G. Lee, K.O. Byun, C.M. Kim, Y.G. Chung, E.M. Kim, S.B. Jeong. 2008. An Eco-guide Book to the Wildlife in Jeju Experimental Fores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70pp. (박찬열, 이성기, 변광옥, 김철민, 정영교, 김은미, 정상배. 2008. 제주시험림 야생동물 생태도감. 국립산림과학원. 270쪽). 

  19. Resler, R.A. 1972. Clearcutting: beneficial aspects for wildlife resource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27(6):250-254. 

  20. Takatsuki, S. 1989. Edge effects created by clear-cutting on habitat use by sika deer on Mt. Goyo, Northern Honshu, Japan. Ecological Research 4:287-2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