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관분석 조망점 선정을 위한 GIS의 적용방안
Application of GIS to Select Viewpoints for Landscape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6 no.2, 2013년, pp.101 - 113  

강태현 (지토피아시스템) ,  임윤택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상호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좋은 도시경관을 만들기 위해서는 경관분석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경관분석은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그 중 가장 기본이며 첫 단계가 조망점을 선정하는 것이다. 그동안 조망점 선정은 정성적인 기준에 따라 전문가들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선정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질 높은 조망점이 누락되거나 무시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치지형도 등의 데이터와 GIS 기술을 활용하여 경관분석의 기본이 되는 조망점 선정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도로의 교차점, 쇼핑센터 등 주요 시설, 교량 및 육교, 오픈스페이스 등 조망점으로 선정될 수 있는 기준에 해당하는 지점을 각종 자료 및 GIS 기술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로대장의 도형정보와 속성정보 등 데이터와 질의(query), 중첩(overlay) 등의 기능을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선정된 예비조망점에 대하여 수치지형도의 표고점을 이용한 수치표고모델(DEM)을 구축한 후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하여 조망점에서의 조망대상에 대한 차폐유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적은 시간과 비용을 투입하여 체계적인 조망점을 선정할 수 있었고, 선정된 각 조망점의 차폐도도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1차적으로 GIS 기법을 이용한 조망점 분석 이후 전문가의 현장조사를 수반한다면 조망점 선정 및 분석 결과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cern on environmental quality makes the landscape analysis more important than before ever. For the landscape analysis, selection of viewpoint is one of most important stage. Because of its subjectiveness, the conventional viewpoint selection method often missed some viewpoints of importa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경관분석을 위한 조망점의 선정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방법과 GIS를 이용한 방법으로 비교한 결과, 기존의 방법인 사진합성법등과 비교하여 1/3이 일치하였고, 기존의 방법에서 누락된 조망점을 찾아내었고,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한 조망점 선정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조망점 관련 이론 및 선정기준에 관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후 기존의 조망점 선정 방법을 참고하여 GIS Data 및 중첩 분석기능을 이용한 조망점 선정기법을 수립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아파트 신축사업을 사례로 GIS를 이용한 조망점 선정과정을 검증하였다. 사례지역은 대전광역시 동구 홍도동 91-47번지 일원이며, 사업명은“홍도동○○아파트 신축공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치지형도와 각종 주제도 자료(도로, 문화재, 고층건물 등) 및 GIS 기술을 활용하여 경관분석의 기본이 되는 조망점 선정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과학적인 조망점 선정은 경관분석의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도시경관의 보전 및 관리방안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지형도 등 기초적 GIS 데이터를 이용하여 DTM 모형을 구축한 후가시·비가시 지역에 대한 조망선호도를 분석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한 조망점을 선정 하기 보다는 한라산 정상부에 대한 조망여부와 경사 등을 바탕으로 기 설정된 28개 경관 조절점에서 촬영된 슬라이드를 바탕으로 시각적 선호도를 조사함으로써 시각적 선호도를 선정하기 위한 GIS의 활용도를 제시한 것이다. 오규식과 박경호(Oh and Park, 1997)는 GIS를 이용한 경관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개발사업의 경관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관분석의 두 가지 과정은 무엇인가? 경관분석은 크게 두 가지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데, 먼저 조망점을 선정하고, 다음에 조망점에서 조망대상지의 경관을 분석하게 된다. 조망점 선정은 보다 나은 경관분석을 위해 인공적 요소에 의해 차폐되어 조망할 수 없는 지점, 또는 점적경관 외 조망점 중 차폐가 높은 곳을 제외한 조망지점을 선정하여 분석한다.
경관계획이란 무엇인가? 경관계획은 장래의 개발행위에 따른 경관의 훼손과 파괴 등의 악영향을 최소화함으로서 바람직한 양호경관을 유지하고 불량한 경관의 개선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다. 계획구역의 경관을 개성 있고 아름다운 경관이 되도록 계획 한다.
경관 분석에 주로 이용되는 기법 세 가지는 무엇인가? 경관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사업 대상지의 계획 건축물과 주변지역의 건축물이 도시경관의 물적, 비물적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차폐 정도 및 주변과의 조화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 때에는 사진합성법, Mass Model, 시 뮬레이션 기법 등이 주로 이용된다. 사진합성 기법은 조망점에서 사업대상지를 찍은 사진에 계획 건축물의 모습을 합성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ity of Gunsan. 1993. Designation of Land-use and Urban Design of Wolmyong Park for it's Preservation (군산시. 1993. 월명공원 보전을 위한 공원 주변의 용도지구설정 및 도시설계).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6. Guideline for Cultural Remains Distribution Mapping (문화재청. 2006. 문화유적분포지도 제작 지침). 

  3. Daejoen Metropolitan City. 2003. Comprehensive Planning on Urban Landscape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대전광역시. 2003. 대전광역시 도시경관형성 기본계획). 

  4. Daejoen Metropolitan City. 2005. Designation of Class 1 District Unit Planning Area and Planning for Hong-do Familie Apartment (대전광역시. 2005. 홍도 파밀리에 아파트 제1종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지구단위 계획). 

  5. Daejoen Metropolitan City. 2005. Residential Redevelopment Planning for Munhwa 10 District, Daejeong Metropolitan City (대전광역시. 2007. 대전 광역시 문화 10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계획). 

  6. Daejoen Metropolitan City. 2007. Class 1 District Unit Planning for Ulim Fill-U Apartment, Bongsan-dong, Daejeon (대전광역시. 2007. 봉산동 우림필유아파트 제1종지구단위계획) 

  7. Daejoen Metropolitan City. 2007. Planning for Urban Landscape,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Disater Prevention for Taepyong 5 District, Daejeon Metropolitan City (대전광역시. 2007. 대전광역시 태평 5구역 도시경관.환경보전.재난방지에 관한 계획). 

  8. Han, K.S. 2003. Characteristic analysis of landscape type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6(3):117-126 (한갑수. 2003. GIS와 원격탐사를 이용한 경관유형의 특성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117-126). 

  9. Im, S.B. 1991. Theory of Landscape Analy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임승빈. 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0. Im, S.B., K.S. Oh, I.K. Yoon and C.S. Park. 1993. A study on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technique of urban skylin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1(3):77-88 (임승빈, 오규식, 윤인규, 박창석. 1993. 도시스카이라인 보존관리기법에 관한 연구I. 한국조경학회지 21(3):77-88). 

  11. Im, S.B., C.S. Park and S.J. Kim. 1994. A Study on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technique of urban skylin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3):105-120 (임승빈, 박창석, 김성준. 1994. 도시스카이라인 보존기 법에 관한 연구 II. 한국조경학회지 22(3): 105-120. 

  12. Kang, T.H. 2008. Selection of viewpoint for landscape analysi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Master's Thesis, Hanbat National University, Korea (강태현. 2008.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경관분석 조망점 선정.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Kim, H.B., D.S. Jang and J.T. Kim. 200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andscape around regional road. Journal of Korea Garden Institute 18(2):89-104 (김학범, 장동수, 김정태. 2000. 지방도로 주변 경관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2):89-104). 

  14. Kim, J.R. 2006. Study of methods, regulation of architectural height for urban landscape control.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Korea (김종렬. 2006. 조망경관 관리를 위한 건축물 높이 규제 방법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5. Ko, H.J., B.H. Song and B.E. Yang. 2006.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view preferenc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6(4):3-11 (고화정, 송병화, 양병이. 2006. 조망경관 선호도 영향요인에 관한연구 - 관악산을 조망 대상으로 한 난곡로를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6(4):3-11). 

  16. Lee, J.W. 2004.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view focused on Uam-Mountain in Cheongju.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이장원. 2004. 청주시 우암산 중심의 조망경관 특성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Lynch, K. 1960. The Image of the City. MIT Press. 

  18.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MOCT). 2001. Guideline for Semi-Agricultural Zone and others (건설교통부. 2001. 준농림지역 등의 경관관리 지침). 

  19. Ministry of Land and Transportation. 2013. Regulations Regarding on the Decis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Standard of Urban Infrastructure and Facilities. A Ministry of Land and Transportation Ordinance no. 1 (국토교통부. 2013.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국토교통부령 제1호). 

  20.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03. Analysis on the Trends of 3-Dimension GIS (한국전산원. 2003. 3차 원 GIS 동향 분석). 

  21. Oh, K.S. and K.H. Park. 1997. A landscape information system for managing the urban landscape.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3(6):161-175 (오 규식, 박경호. 1997.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경관정보시스템의 개발. 한국GIS학회지 3(6) :161-175). 

  22. Seoul Metropolitan City. 2001. Landscape Simulation of Mt. Woomyon for the Preservation of the Scenic Beauty of Major Mountains in Seoul (서울특별시. 2001. 서울의 주요산 경관풍치 보전을 위한 우면산 경관 시뮬레이션). 

  23. Seoul Metropolitan City. 2003. View Landscape Preservation Planning for Surroundings of Major Mountains of Seoul (서울특별시. 2003. 서울 주요산 주변 조망경관보전계획). 

  24. Shinohara, Osamu. 1999. The Fundamentals and Practices of Landscape Planning. Daewoo Publishing (시노하라 오사무. 1999. 경관계획의 기초와 실제. 대우출판사). 

  25. Suh, J.H. and S.B. Kim. 1998. A study on the method of the landscape evaluation by GIS; focusing on the scene of Cheju Island. Journal of th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of Korea 26(2):62-72 (서주환, 김상범. 1998. GIS를 활용한 경관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6(2):62-72). 

  26.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2005. Understanding of District Unit Planning. Kimoondang Publishi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05. 지구단위계획의 이해. 기문당).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