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구문론과 GIS를 이용한 조망점 위치결정
Locational Decision of the Viewpoint Using GIS and Space Syntax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4 no.2, 2011년, pp.53 - 68  

최철현 (경북대학교 공간정보학과)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이우성 (텍사스 A&M 대학교 조경.도시계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관평가에 있어서 선행되어져야 할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과정이 바로 조망점의 선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조망점의 선정방식은 정확한 지표나 근거없이 평가자의 주관적이고 인위적인 방식에 의해 선정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와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조망점 선정 방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삼덕3주거 개선지구를 대상으로 거리 및 방위에 의해 24개의 섹터로 가시권 범위를 분절하였다. 그 후, 공간구문론의 축선도 분석과 가시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공간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하는 후보조망점을 선정하였다. 조망점 가치판단지수를 통해 최종적인 조망점을 선정한 결과, 근경인 VP-2 조망점의 VEI값은 112.63, 중경인 VP-10 조망점은 18.31, 원경인 VP-18 조망점은 5.55로 분석되었으며, 모두 국채보상로 상에 위치하고 있었다. 선정된 조망점은 공공기관, 공원, 고밀도 주거공간 등과 같이 인구유동량이 많아 조망기회가 높고, 동시에 경관변화율이 큰 지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조망점 가치판단지수는 조망점을 정량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lection of viewpoint is a first priority for landscape evaluation. However, it has been artificially carried out by a subjective method without of criter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objective and quantitative viewpoint selection methods using space syntax and GIS. For this, the stud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조망점 선정은 경관의 평가와 계획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기초과정이라 할 수 있으나 정량적인 방법과 기준이 모호하여 불합리한 조망점이 선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와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인구가 집중되거나 조망기회가 높은 장소를 정량적으로 탐색하여 조망점을 선정하는 기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의 각 단계는 기존 연구나 경관평가 시 불가피하게 이루어졌던 주관적인 선정방식을 최대한 배제하였으며, 객관성과 정량성에 초점을 맞춘 분석방법에 기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구문론과 GIS를 이용하여 인구가 집중되거나 공간적으로 중요하여 조망기회가 높은 지점을 과학적·합리적으로 선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한 섹터 내에 우수한 후보조망점 선정가능지역이 넓게 분포되어 있거나 산재되어 있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경우 가장 최적의 조건에 해당되는 지점을 선정하기 위한 객관적인 방법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선정하기 위한 객관적인 우선 선택기준을 제시하였다.
  • 우선선택 기준사항에 따라 후보조망점의 선정이 완료되면 이 중에서 거리(근경, 중경, 원경)별로 가장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조망점을 최종적으로 선정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위한 선정지표가 필요하며 해당 지표는 후보 조망점 각각의 특성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후보 조망점이 속해 있는 축선 고유의 국부통합도와 앞서 설명한 경관변화율을 사용하여 새로운 지표를 개발하였다. 지표는 인구유동량이 높은 곳을 예측해 볼 수 있는 국부통합도를 기준으로 하여 경관변화에 의한 시각적 영향 정도를 가중치의 의미로 적용시켰으며, 시각적 영향력은 거리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거리에 따른 차이가 고려된 경관변화율을 사용하였다(국토개발연구원, 200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합도의 종류는? 통합도는 분석범위 전체에 대한 접근성을 의미하는 전체통합도(global integration)와 부분적인 공간에 대한 접근성을 의미하는 국부통합도(local integration)로 구분된다. 전체 통합도는 분석범위 내의 전체 축선에 대해 깊이를 계산하지만 국부통합도는 해당 공간으로 부터 특정 깊이 이하의 공간들로 제한하여 깊이를 계산하게 된다.
평균 깊이란 무엇인가? 특정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할 때, 이동하면서 거치게 되는 최소 공간의 수를 깊이라 하며, 직접 인접한 공간과의 깊이는 1이 된다. 특정 공간이 갖는 접근성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평균 깊이(mean depth)를 먼저 알아야 하는데, 이는 해당 공간으로부터 모든 공간들로의 깊이를 합산한 뒤, 측정 대상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의 수로 나눈 값을 말한다. 평균깊이는 공간구문론에서 중요한 개념인 통합도를 도출하기 위한 주요 지표로서 평균깊이가 커질수록 접근하기 어려운 공간임을 의미한다(전철민, 2004).
최근에는 보다 과학적인 접근을 통하여 조망점을 정량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GIS를 이용한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최근에는 보다 과학적인 접근을 통하여 조망점을 정량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GIS를 이용한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GIS를 이용할 경우 공간정보의 중첩 또는 가시권 분석이 용이하여 간편하게 조망점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이승욱 등(2008)은 GIS를 이용하여 지형, 고도, 시야 차단 정도를 고려하고 간선도로변이나 오픈스페이스 등에 후보조망점을 선정한 뒤, 경관충격지표를 산출하여 조망점을 선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강태현. 2008.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경관분석 조망점 선정. 한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본옥, 최재필. 2000. 도록의 레이아웃을 통해 본 상가의 생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2):223-226. 

  3. 국토개발연구원. 2004. 국토경관보호를 위한 경관충격지표 개발 연구. 

  4. 김영욱. 2000. 공간 형태와 공간인식의 상호관련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6(10):37-44. 

  5. 김영욱. 2003. Space Syntax를 활용한 공간 구조속성과 공간사용패턴의 상호관련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8(4);7-17. 

  6. 오은숙, 김영욱, 최안섭. 2003. 공간구조와 보행량을 고려한 도시조명계획 방법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10):93-100. 

  7. 오충원. 2004. GIS와 공간군무론(Space Syntax)을 이용한 도시 공간 구조 분석. 지리학연구. 38(4):573-583. 

  8. 이규인. 1995. 공동주택단지 동선의 사회적 특성과 통행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1(1);113-121. 

  9. 이상복, 이승엽, 하재명. 2009. 조망점 선정을 위한 가시빈도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5(8):293-300. 

  10. 이승욱, 최요섭, 하재명. 2008. GIS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도시재생사업지구의 경관통제점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연합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8(1):107-112. 

  11. 임현식, 김영욱. 2003. Space Syntax를 활용한 보행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 연구.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3(1):551-554. 

  12. 장철규, 2010. 도시개발사업의 경관평가를 위한 조망점 선정기법 개발 및 적용.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전철민, 2004. Space Syntax 기법의 대중교통망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학회지 12(2):73-77. 

  14. 최윤경, 권영완. 2003. 도시공간구조와 보행자의 움직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1):89-96. 

  15. 환경부 환경평가원. 2007. 사업유형별 평가서작성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가이드라인. 

  16. 환경부 환경평가과. 2008. 환경영향평가관련규정집. 

  17. Hillier, B. 1996. Space is the Machine. A Configurational Theory Of Architec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Hillier, B. and J. Hanson.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Hillier, B., A. Penn. J. Hanson, T. Grajewski, and J. Xu, 1993. Natural movement: Or, configuration and attraction in urban pedestrian movement. Environment and Planning B. 20;29-66. 

  20. Jiang, B. 2009. Ranking spaces for predicting human movement in an urban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23(7);823-837. 

  21. Penn, A., B. Hillier, D. Banister, and J. Xu. 1998. Configurational modelling of urban movement network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5;59-84. 

  22. http;//car.daegu.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