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식디미방」과 「규합총서」와의 비교를 통한 「주식시의」 속 조리법 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Cooking Method in 「Jusiksiui」 compared with 「Eumsikdimibang」 and 「Gyuhapchongseo」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8 no.3, 2013년, pp.234 - 245  

정혜경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바이오산업학부 식품영양전공 및 기초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ooking method in "Eumsikdimibang", "Gyuhapchongseo" and "Jusiksiui" over time. The Korean cook book, "Jusiksiui", published in the late 1800s, was mainly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Jusiksiui" contained more than 99 foods. In particular, there were 49 side dish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상당부분이 이 당시에 목판본으로까지 제작되어 멀리 읽혔던 「규합총서」의 내용을 일부 필사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가문대대로 내려오는 음식과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고찰하고자 한다.
  • 그래서 본고에서는 「음식디미방」 (백 2006)과 정양완본 「규합총서」(정양완 역주 1975)와의 비교를 통해서「주식시의」의 음식문화사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음식디미방」과 「규합총서」그리고 「주식시의」음식명을 정리해 보았고 이를 정리한 표는 다음과 같다.
  • 이를 위해 「주식시의」의 음식종류와 조리법의 특성을 주식류, 반찬류, 떡과 한과 및 음청류 그리고 주류로 나누어 각각 고찰하였다. 그리고 같은 충남인근지역의 조리서인 「주식방문」과 「음식법」그리고 「반찬등속」에 나오는 음식들을 살펴봄으로서 서로 비교 검토해 보았다. 또한 「주식시의」의 내용의 상당부분이 이 당시의 널리 읽힌 「규합총서」와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비교 고찰함으로서 부분 필사본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이러한 사실은 조선시대 후기에 이르면서 우리 음식의 조리·가공법이나 상차림 범절의 원리와 규범이 정비되어, 수천 년을 지나면서 여과되고 다듬어진 우리 음식문화의 격조가 전통으로 확실하게 정비되었던 시대임을 알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 시대의 충남지역에서 집필된 고 조리서의 검토를 통하여「주식시의」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해 보고자 한다.
  • 그리고 같은 충남인근지역의 조리서인 「주식방문」과 「음식법」그리고 「반찬등속」에 나오는 음식들을 살펴봄으로서 서로 비교 검토해 보았다. 또한 「주식시의」의 내용의 상당부분이 이 당시의 널리 읽힌 「규합총서」와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비교 고찰함으로서 부분 필사본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1600년대의 고조리서인 「음식디미방」과의 비교를 통해 세 조리서간의 관련성을 고찰하여 보았다.
  • 이러한 전통음식에 대한 연구 중에서도 과거의 음식역사와 전통을 볼 수 있는 고조리서에 대한 관심은 매우 크며, 현재 활발하게 고조리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전지역의 은진 송씨 동춘당 송준길가에 전해오는 음식관련 고문헌인「주식시의」가 한국 음식 문화사에서 가지는 의미를 살피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본고에서는「주식시의」라는 조선후기의 동춘당 송준길가에 내려오는 고조리서가 가지는 음식문화사적 의미를 고찰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 「주식시의」의 음식종류와 조리법의 특성을 주식류, 반찬류, 떡과 한과 및 음청류 그리고 주류로 나누어 각각 고찰하였다.
  • 본고에서는「주식시의」에 나타난 여러 가지 음식의 분류와 조리법을 고찰함으로서 이 책이 가지는 중요성과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특히, 조선시대의 여성이 집필한 한글조리서인 「음식디미방」(백 2006)과 「규합총서」(정 1975) 과의 비교고찰을 통하여 이 책이 조선시대 음식문화사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살펴보려고 하는데 「주식시의」가 「규합총서」의 부분 필사본일 가능성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음식 관련 전문 문헌 중 조리법을 기록한 가장 오래된 책은 무엇인가? 그러다가 조선시대에 들어오게 되면서 다양한 고조리서와 만날 수 있게 된다. 현재까지는 1400년대 중반 어의를 지낸 전순의에 의해 집필된 「산가요록(山家要錄)」이란 책이 조리법을 기록한 책으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책이라 할 수 있다. 이후 중종 때인 1540년경 안동의 김유(金綏, 1491-1555) 라는 남성유학자에 의해 집필된 「수운잡방(需雲雜方)」을 비롯하여 허균이 지은「도문대작(屠門大嚼)」이 있다.
여성이 집필한 아시아권 최고의 한글고조리서는 무엇인가? 이후 중종 때인 1540년경 안동의 김유(金綏, 1491-1555) 라는 남성유학자에 의해 집필된 「수운잡방(需雲雜方)」을 비롯하여 허균이 지은「도문대작(屠門大嚼)」이 있다. 이후 여성이 집필한 아시아권 최고의 한글고조리서라고 할 수 있는 장계향에 의한 「음식디미방」 (飮食知味方)이 있으며, 1800년대의 서울 반가의 빙허각 이씨가 집필한 생활대백과사전격인「규합총서(閨閤叢書)」가 있다. 이 이후 「시의전서(是議全書)」, 이용기의「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방신영의「조선요리제법」 등 여러 가지 조리서가 나타나게 된다.
「주식시의」의 저술 시기와 필자는 어떻게 추측되고 있는가? 본 연구에서 주제로 삼는 「주식시의(酒食是儀)」는 이성우의 「한국고식문헌집성」에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백두현의 연구(백 2006)에서 언급된 바 있는 대전 회덕지역의 동춘당 송준길가에 전해오는 고조리서이다. 서문, 필사자의 기록이 나타나지 않고 저술 시기는 19세기 후반으로 추측하고 있다. 필자는 확실하지 않으나 송준길의 후손인 송영노(宋永老, 1803~1881)의 부인 연안이씨가 기록한 것으로 보이고 이후 여러 사람들이 덧붙인 것으로 알려져 왔다. 「주식시의」는 인근지역인 노가재 김창업 가에 전해오는「주식방문」과 함께 회덕을 중심으로 한 대전지역의 전통음식문화를 엿볼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권선영. 2009. 1910년대 청주지역의 식문화: 반찬등속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55-62 

  2. 김상보, 서봉식. 1997. 조선왕조중기연시례에 대한 고찰. 향토연구. 21:96-119 

  3. 김상보. 2002. 생활문화속의 향토음식문화 . 신광출판사. p 426-427 

  4. 김상보. 2002. 생활문화속의 향토음식문화 . 신광출판사. p 356 

  5. 작자미상(김창업가). 연도미상. 쥬식방문 pp 1-60 

  6. 백두현. 2006.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연구. 어문논총. 제45호. pp 275-331 

  7. 백두현. 2011. 한글조리서로 본 감향주법 비교연구. 한맛 한얼. 16: pp 373-396 

  8. 백두현. 2006. 음식디미방 주해 (안동 장씨원저, 1670) 글누림. 

  9. 송정희편저, 송창준역. 1998. 덕은가승 . 향지문화사 

  10. 윤서석, 조후종. 1993. 조선시대 조리서인 음식법 해설 I(자료).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8(1): pp 79-84 

  11. 윤서석, 조후종. 1993. 조선시대 조리서인 음식법 해설 II(자료).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8(2): pp 159-165 

  12. 윤서석, 조후종. 1993. 조선시대 조리서인 음식법 해설 III(자료).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8(3): pp 301-308 

  13. 이성우. 1984. 한국식품사회사 . 교문사. pp 238-249 

  14. 이성우. 1992. 한국고식문헌 집성 I-IV. 수학사. 

  15. 이윤희 역해. 2008. 활인심방 (퇴계 이황 저). 예문서원. p 289 

  16. 정양완 역주. 1975. 규합총서 (빙허각이씨 원저, 1809). 보진재 

  17. 이효지 등 편역 , 2007 임원십유지 정조지 (서유구원저, 1825), 교문사 pp30-40 

  18. 허경진. 2003. 사대부 소대헌 호연재부부의 한평생 . 푸른 역사. p 162 

  19. Cha KH. 2012. Food Culture of the late Chosun dynasty in Jusiksiui (酒食是儀). Korean J. Dietary Culture. 27(6): 553-587 

  20. Kim GY, Lee SW. 1988. Analytical Study on the Cooking in 'On Zu Bub'. Korean J. Dietary Culture. 3(2):143-151 

  21. Lee HG, Cha GH. 1996. A Study on the Book Buinpilji . Korean J. Dietary Culture. 11(3):369-384 

  22. Yoon SK. 1994. Study on Native Local Foods in Andong Region. Korean J. Dietary Culture. 9(1):6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