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식디미방","규합총서(閨閤叢書)","조선무쌍신식요이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 수록된 시대적 흐름에 따른 부식류의 변화
The Changes of Side Dishes in "Eumsikdimibang", "Gyuhapchongseo", "Chosunm usangsinsikyorijebub"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4 no.4, 2009년, pp.366 - 375  

김업식 (안양과학대학 호텔조리영양학부) ,  한명주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side dishes in "Eumsikdimibang", "Gyuhapchongseo", "Chosunmusangsinsikyorijebub" over time. As food ingredients, seaweed, red pepper, salted fish, Korean hot pepper paste have been used in "Gyuhapchongseo". The use of cattle by parts, saltwater fish, Chinese cabb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의 연구를 살펴보면 특정 조리서를 중심으로 한단본적인 고찰은 많이 이루어졌으나 과거·현재라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차이, 그리고 미래와 연계하는 맥락적인 고찰은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대를 달리하는 조리법 변화에 관한 연구로서 조선시대 부식류 조리법의 시대적 특징을 가늠할 수 있는 1670년경의「음식디미방」, 1815년경의 「閨閤叢書」, 1924년경의 「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 수록된 부식류의 시대적 흐름에 따른 변화를 비교 고찰하여 전통조리법을 이해하고 현재의 기호와 식생활 양식에 맞게 재창조하는 데 필요한 문헌적 자료를 제공하고자함을 목적으로 한다.
  • 지금까지「음식디미방」,「閨閤叢書」,「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 수록된 부식류의 조리법 특징을 고찰하고 시대적 흐름에 따른 부식류의 변화를 연구한 결과 현재 조리법에 응용할 수 있는 조리법을 제언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음식이란? 우리나라 음식은 평야와 산이 있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수륙양면의 자연적 자원을 식재료로 이용하여 다양한 조리법의 음식이며, 동의보감(東醫寶鑑)에 근거한 사람의 질병은 모두 조리와 섭생의 잘못에서 생기는 것이므로 수양을 우선하고 약물은 그 다음이어야 한다는 의식동원의 사상을 강조하였다(강 1989).
「음식디미방」,「閨閤叢書」,「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 수록된 부식류의 조리법 특징을 고찰하고 시대적 흐름에 따른 부식류의 변화를 연구한 결과 현재 조리법에 응용할 수 있는 조리법은? 1.「음식디미방」에서 육류나 채소류 조리 시 밀가루즙을 끓여서 끼얹는 누르미 조리법은「閨閤叢書」이후에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누르미 조리법은 현재 조리법에서 수조육류나 채소류를 이용한 찜, 구이 조리 시 이용하여 음식에 풍미를 증가시킬 수 있는 조리법이라고 사료된다. 2.「음식디미방」에서 녹두전분을 오이채에 묻혀 데친 후 초간장에 버무리는 오이화채는 녹두전분을 이용하여 부드러운 맛을 상승시키고 초간장을 이용하여 식욕을 북돋는 조리법으로 현재 조리법에서 전채음식으로 이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3. 「음식디미방」에서 가금류를 이용한 김치, 장아찌 조리법과 참새를 이용한 젓갈 조리법은 현재 조리법에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가금류, 조류를 이용한 김치, 장아찌, 젓갈 조리법은 현재 조리법에서 김치, 장아찌, 젓갈 조리법에 어패류와 함께 이용이 가능한 조리법이라고 사료된다. 4. 「閨閤叢書」에서 어육류를 달인 육수를 이용한 김치 조리법은 「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이후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어육류를 달인 육수를 이용한 김치 조리법은 현재 조리법에서 적용한다면 김치류의 풍미와 영양가를 증가시킬 수 있는 조리법이라고 사료된다. 5. 「閨閤叢書」에서 다진 쇠고기를 평편하게 하여 반만 말린 약포와「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서 깍둑 썰기 한 무를 삶은 후 고춧가루 양념으로 버무려 숙성시키는 숙깍두기 조리법은 현재 조리법에서 치아가 좋지 않은 노인들을 위한 조리법에 응용이 가능한 조리법이라고 사료된다. 6「閨閤叢書」에서 동아의 속을 제거하고 개를 넣어 겻불로 익히는 동아속에 하는 개찜 조리법은 현재 조리법에서 늙은 호박, 단호박, 노각, 오이 등의 식재료를 이용하여 찜, 구이 조리법에 이용이 가능한 조리법이라고 사료된다.
「음식디미방」,「閨閤叢書」,「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 수록된 시대적 흐름에 따른 부식류의 변화 연구를 위해 부식류를 무엇으로 분류했는가? 「음식디미방」,「閨閤叢書」,「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 수록된 시대적 흐름에 따른 부식류의 변화 연구를 위해 부식류를 탕(국)·창국, 지짐이·찌개, 찜·조림·초, 채·나물·생채·무침, 누르미, 침채·지히, 회·편·젓갈, 적·선·전·볶음·구이, 포, 좌반(자반), 장, 백숙·묵류로 분류하여 시대적 흐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강인희, 1989 한국식생활사, 삼영사, 서울 pp 299-300 

  2. 강인희. 1996. 한국의 맛,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서울 pp 7-11 

  3. 김미희. 2003. 규합총서의 생활문화적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90-93 

  4. 박옥주. 2000. 빙허각 이씨의 '규합총서' 에 대한 문헌적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271-304 

  5. 백두현. 2003. 국어사에서 본 음식디미방, 경북대학교 출판부, 대구 p 61 

  6. 빙허각 이씨. 정양완 역. 1975. 閨閤叢書. 보진재, 서울. pp 3-125 

  7. 빙허각 이씨. 윤숙자 역. 2003. 규합총서. 질시루. 서울 pp 74-174 

  8. 신민자, 최영진. 1999. 閨閤叢書를 통해서 본 우리나라 전통음식의 향약성 효과에 관한 고찰. 경희대학교관광산업정보논문. 1:137-153 

  9. 윤서석. 2002. 한국음식 -역사와 조리법- 수학사, 서울 pp 78-100 

  10. 이성우. 1985.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서울. pp 19-133 

  11. 이용기. 옛음식연구회역, 2002 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pp 61-211 

  12. 이효지. 1997. 조선시대의 조리서, 한국음식대관(제1권).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서울, pp 399-400 

  13. 이효지. 2004.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서울. p 26 

  14. 이효지. 1981. '규합총서.주사의' 의 조리과학적 고찰. 한양대학교 사대 논문집. 1:85-103 

  15. 조후종. 2001. 우리 음식 이야기, 한림출판사, 서울. pp 4-6 

  16. 한계증. 1982. 우리나라 전통적인 식품조리법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2-43 

  17. 한복려. 2003. 음식사에서 본 음식디미방, 경북대학교 고전총서. 대구 p 85 

  18. Cho HJ, Yoon DI. 1997. A study on Vietnam food culture- Fermented fish sauce culture and daily meal- 12(3):289-299 

  19. Chung RW, Cho SH, Choi YJ, Kim EM, Won SI, Cha GH, Kim HS, Lee HG. 2007. An investigation of side-dishe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Korean J. Food Cookery Sci. 23(5):731-748 

  20. Kim HS. 2004.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ing pattern of fish and shellfish uses in 'Eum-sik-di-mi-bang' and 'Gyu-hapchong-seo' in sight of the development of fishing technlology. Korean J. Food Culture. 19(3):273-284 

  21. Kim MH, You MN, Choi BY, An HS. 2003. The study of the use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Kyuhap-Chongseo'. Korean J Home Management. 20(1):113-127 

  22. Lee YK, Chun HJ, Lee HG. 1992a.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Tojangguk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7(1):81-90 

  23. Lee YK, Chun HJ, Lee HG. 1992b.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Gooumguk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7(4):339-3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