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담양관련 음식고문헌을 통한 장수음식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n Native Local Food Contents in Damyang through Ancient Writing Storytelling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8 no.3, 2013년, pp.261 - 271  

김미혜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바이오산업학부 및 기초과학연구소) ,  정혜경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바이오산업학부 및 기초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food recipes from local food contents related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n the representative long-lived area Damyang. The information on digging 'story' was collected through the region's representative local native jour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담양지역의 상징 인물인 미암 유희춘도 호남의 대표적 문인으로서 시가문학의 대가였으며 또한 을사사화로 인한 19년간을 유배생활을 통하여 자신의 덕과 절개를 지키기 위해 애써왔던 사림(士林)이자 학자였다. 담양군의 청정한 이미지를 조선 중기 대표적 사부(士夫)인 미암 유희춘의 이미지와 결부시켜 고급스럽지만 맑고 정갈한 선비밥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식재료는「미암일기」에서 추출하였으며 조리법은 미암가 종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재해석하여 표현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장수지역의 하나인 전라도 내륙산간지역의 장수벨트지역인 담양 지역의 향토음식을 역사, 문화적 배경과 연계시킴으로써 한식에 문화를 접목시킨 감성적 콘텐츠를 개발하여 관광 상품으로서 가치를 갖도록 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담양 상징인물인 유희춘(柳希春, 1513~1577)과 그의 작품집 『미암일기』에서 음식과 관련된 이야기를 발췌하여 담양 향토음식의 특성을 이야기로 연출하였다.
  • 노인들은 여러 위험요인 중 영양결핍의 경우 질병이환률을 높일 뿐 아니라 기존의 질병에 대한 예후를 불량하게 하여 노인의 건강악화 및 국민 의료비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조사 대상지역인 담양은 호남의 장수 지역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 영양학회의 영양섭취기준(DRIs)에 따른 건강한 노인의 영양소 섭취 기준에 따른 식단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 장수지역인 전라도 내륙산간 장수벨트인 담양 지역을 배경으로 향토음식을 역사, 문화유산과 연계시킴으로써 감성적 콘텐츠를 개발하여 관광 상품으로서 가치를 갖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중 먼저 ‘Story’ 발굴은 담양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향토지 및 관련 사이트를 통해 지역 상징인물과 자연환경을 조사하였고, 조선시대 지리지 등 고문헌 분석, 전통세대 인터뷰 등을 통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
  • 담양군의 청정한 이미지와 조선 중기 사대부의 곧은 절개를 접목하여 맑고 정갈한 선비밥상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미암밥상’의 영양분석은 65세 이상 한국인 1일 영양섭취기준에 근거하여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의 스토리를 활용한 밥상개발이라는 측면에서 가능하면 그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재료를 활용하고, 쉽게 조리할 수 있는 조리법, 그리고 영양학적 기준에 맞는 상차림을 중시하여 현장에서 적용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개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담양의 콘텐츠 식단은 담양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면서 건강한 노인식의 영양기준을 맞추었으므로 이지역의 대표 밥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최근 많은 지역들에서 기념할 만한 자신들의 역사와 전통을 거리, 건축물, 신화, 문학작품, 노래 등 다양한 내용과 형식으로 지역 속에 표상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남 장수지역인 담양의 상징성과 정체성을 표현하고자 지역의 역사적 경험에 기초한 전통 음식문화를 지역을 대표하는 인물과 관련된 문학작품 속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Table 6].
  • 담양 상징인물인 유희춘(柳希春, 1513~1577)과 그의 작품집 『미암일기』에서 음식과 관련된 이야기를 발췌하여 담양 향토음식의 특성을 이야기로 연출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향토음식을 재구성 발굴하여 향토음식 매력증진과 부가가치를 향상시킨 상품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이 일기는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에서 조선사료총간(제8)으로 간행하였고, 담양향토문화연구회에서 국역간행(1992~1996)하였다(Song 1998). 유희춘이 기록한 『미암일기』를 통해 16세기 조선중기의 음식문화를 조명해 보고자 하였으며 『미암일기』중 음식이 표현된 텍스트를 추출해 보면 [Table 7]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토리텔링 마케팅은 어떤 방법으로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게 도와주는가? 최근 몇 년 사이 스토리텔링 기법 활용이 다양해지면서 식품산업과 마케팅뿐만 아니라 지역홍보에도 확대 적용되어지고 있다(Kim & Chung 2010b). 스토리텔링 마케팅은 일반인들에게 접근이 어려웠던 역사, 전통, 문화, 설화 등을 쉽게 이해하고 기억하며, 재미있게 가공하여 원재료와 소비자의 연결을 새로운 형태로 포장하여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역사적 스토리를 가진 향토음식을 발굴하는 것은 지역홍보에 도움이 되며, 조상대대로 이어 내려온 향토음식으로서의 역사적 뿌리를 찾고 문화적인 가치가 존재하는 관광 상품으로서 혼(魂)을 불어 넣는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다.
우리나라에서 장수도 6.0% 이상인 곳은 어디인가? 빠른 사회적 고령화로 인하여 건강 장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리나라의 경우 호남지역에서 장수도 6.0% 이상인 곳은 전라남도의 담양군, 보성군, 장성군, 고흥군, 구례군, 광양군과 전라북도의 순창군, 남원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이었고, 특히 구례, 곡성, 순창, 담양군은 지역적으로 붙어 있어 장수 벨트지역으로 지정한 바 있다(Yon 등 2010).
소액거래 지불수단으로 쌀 이외 이용된 곡물, 육류, 어패해조류, 과실류와 같은 음식들은 어떤 수단으로 이용되었는가? 그 외 소액거래 지불수단으로 쌀 이외 메밀쌀, 조, 콩, 팥, 율무, 깨 등의 곡물이나 꿩, 육포, 닭, 노루, 멧돼지, 쇠고기와 같은 육류, 굴비, 민어, 대구, 숭어, 전복, 청어, 밴댕이, 게, 굴, 낙지, 해의(김), 미역과 같은 어패해조류, 유자, 은행, 대추, 곶감, 잣, 밤, 배, 감, 홍시와 같은 과실류, 꿀, 생강, 소금, 간장, 된장, 누룩, 게젓, 새우젓, 웅어젓, 뱅어젓과 같은 양념류, 김치(감김치, 무김치 등), 떡, 만두, 술, 단술(甘酒)과 같은 음식 등이 거래되었다. 이 식품들은 주로 수고에 보답하거나, 성의를 표하거나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미암일기」에서 추출한 식재료에 미암가 종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종가의 조리법을 적용하여 ‘미암밥상’을 표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농촌진흥청. 2008a. 한국의 전통향토음식 6-전라북도. 교문사. 경기. pp 04-283 

  2. 농촌진흥청. 2008b. 한국의 전통향토음식 7-전라남도. 교문사. 경기. pp 314-315 

  3. 담양향토문화연구회 편역, 1992, 미암일기 (유희춘 원저, 1567-1577) 

  4. 민족문화추진회. 1989. 고전국역총서 신증동국여지승람(제39권). 민문고. 서울. pp 194-256 

  5. 윤숙자 엮음, 2007, 증보산림경제 (유중림 원저). 지구문화사. 경기. p 85 

  6. 이효지, 조신호, 정낙원, 김현숙, 유애령, 최영진, 김은미, 백숙은, 원선임, 김상연, 차경희, 백현남. 2004. 시의전서. 신광출판사. 서울. pp 190-192 

  7. 임기중 역주, 1993, 우리 세시풍속의 노래 (유만공 원저). 집문당. 서울. p 267 

  8. 전대신문 엮음. 2005. 전라도를 다시 본다. 전남대학교출판부. 광주. pp 10-258 

  9. 정낙원, 차경희. 2007. 향토음식. 교문사. 경기. pp 107-145 

  10. 정창권. 2011. 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 사계절. 경기. pp 165-171 

  11.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 서혜경. 2002. 한국음식대관 제 6권-궁중의 식생활과 사찰의 식생활. 한림출판사. 서울. p 277 

  12. Cha GH. 2003. A study on regional foods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through Domundaejac. Korean J Food culture, 18(4):379-395 

  13. Choo JJ. 2009. Dietary attitudes and concerns regarding local foods among married women in Jeollabuk-do. Korea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3): 316-326 

  14. Chu MH. 2002. In case of the making 'pottery culture village' in Kurim-ri, YoungamRegional Identity and symbolic representation by the historical figure. Korean J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 Geogra, 8(3):326-346 

  15. Houston DK, Johnson MA, Poon LW, Clayton GM. 1994. Individual foods and food group patterns of the oldest old. J Nutrition Elderly, 13(4):5-23 

  16. Hwang CS, Chung DY, Kim YS, Na JM, Shin DH. 2005. Effects of Enzyme Treatment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mall Red Bean Percolate. Korean J Food Sci Thechnol, 37(2):189-193 

  17. Kim BS, Kim YJ, Lee YE. 2009. Tourist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native local foods of Namwon. Korean J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 24(4):385-390 

  18. Kim BY, Oh YJ. 1998. A Study on traditional foods in Kwangju and Chunnam areas. Korean J Tourism Information, 2(1):195-226 

  19. Kim CH, Cha JA, Jung HY, Choi MK. 2011. A Study on the use of Word-of-Mouth (WOM) informationin the customers of Korean local food restaurants: Focused on Jeonbuk Area. Korean J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Culinary, 17(3):20-32 

  20. Kim JH, Jin YH. 2008. A Study on the excavation of reputable family foods of Gwangju and JeollaNam-do, and Tourism commercialization based on historic storytelling. Korean J Foodservice Management, 11(3):25-47 

  21. Kim MH, Chung HK. 2010a. Development on native local food contents through literature. Korean J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0(5):639-654 

  22. Kim MH, Chung HK. 2010b.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in Chungcheongnam-do by storytelling. Korean J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5(3):270-284 

  23. Kim MH, Chung HK. 2011. A Study on the Kyungsangnamdo native local food culture in the novel Toji . Korean J Food culture, 26(6):583-598 

  24. Kim YS, Yoon SS, Kim HJ, Lee JJ. 2002. Assessment of geographic factors with time on longevity using geographic lnformation system. Korean J Rural Planning, 8(3):41-48 

  25. Kim YS, Kim JG, Lee YS, Kang IJ. 2005.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nents of Buckwheat Seed and Sprout. J Korean Soc Food Sci Nurt, 34(1): 81-86 

  26. Kwak EJ, Ann HJ, Lee KH, Lee YS. 2003. Nutritional Components of Cow Feet Jokpyun and Jokpyun Added Chicken and Codfish. J Korean Soc Food Sci and Nutri, 32(2):307-310 

  27. Lansky EP, Harrison G, Froom P, Jiang WG. 2005. Pomegranate pure chemicals show possible synergistic inhibition of human PC-3 prostate cancer cell invasion across. Matrigel Invest New Drugs, 23(2):121-122 

  28. Lee HJ, Park KA, Park MS, Lee JH, Cheon SE, Cheo MA, Choi S. 2001. Neuroprotective & antioxidant effects of diets high in n-6 and n-3 fatty acids in rat focal brain ischemia model. Korean J Biological Nursing Science, 3(1):41-52 

  29. Lee YS. 2008. A study on the yube literature of Mi-Am Yu hi-Chun. The study of the eastern classic, 32(1):1-27 

  30. Lee JS. 2003. Monetary circulations of Choson between the midsixteenth and the early eighteenth centuries investigated by everyday journals and records of land trades. 朝鮮時代史學報, 32(1):95-148 

  31. Lee SH. 2005.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Jeollanamdo's native local cuisines. Korean J The Industrial Technology, 12(1):31-40 

  32. Lee SH, Kim SH, Jung LH, Jung JW, Jeon KC, Kim HK. 2010. Studies on commercialization of Korean native foods - Focused on Boseong Area.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16(4):43-52 

  33. Lim SY. 2005. Effect of n-3 fatty acid deficiency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brain, retina and liver using a novel artificial rearing system. Korean J of Soc Food Sci Nutr, 34(4):466-475 

  34. Masaki KH, Losonczy KG, Izmirlian G. 2000. Association of vitamin E and C supplement use with cognitive function and dementia in elderly men. Neurology, 54(6):1265-1272 

  35. Morris MC, Evans DA, Bienias JL. 2002. Vitamin E and cognitive decline in older persons. Arch Neurol, 59(7):1125-1132 

  36. Morris MC, Evans DA, Bienias JL, Scherr PA, Tangney CC, Hebert LE, Bennett DA, Wilson RS, Aggarwa lN. 2004. Dietary niacin and the risk of incident Alzheimer's disease and of cognitive declin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 75(8):1093-1099 

  37. Park YJ. 2011. A Preliminary Study on Jeollanam-Do Restaurants for Local Food Industrialization. Korean J The Table & Food Coordinate, 6(1):77-90 

  38. Saura CF. 2011. Dietary fiber as a carrier of dietary antioxidants: an essential physiological function. J Agric and Food Chem, 59(1):43-49 

  39. Shin JK, Kim SI. 2012. Quality Properties of the Black Sesame Yeot Gangjeong with the Candied Bamboo Sprout. Food Engineering Progress, 16(4):386-392 

  40. Simopoulos AP, Visioli F. 2000. Mediterranean diets. Karger, Basel 

  41. Song JY. 1998. The Bibliography and Merit of Historcal Materials of Mi-am Ilgi. 退溪學硏究, 12(1):117-151 

  42. Takeda S, Noji H, Hirose N, Arai Y, Yamamura K, Shimizu K, Homma S, Ebihara S, Takayama M. 1998. Nutritional intake by the oldest elderly Japanese. Tokyo centenarian study 6. Japanese J Nippon Ronen Igakkai Zasshi, 35(7):548-558 

  4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first revision) 

  4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1. CAN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PRO 4.0. D176E8F12 

  45. Yon MY, Lee MS, Oh SI, Park SC, Kwak CS. 2010. Assessment of food consumption, dietary diversity and dietary pattern during the summer in middle aged adults and older sdults living in Gugoksoondam logevity area, Korea. Korean J Nurition Research and Practice, 15(4):536-549 

  46. https://www.damyang.go.kr 

  47. http://www.med.havard.edu. NECS. 2001. New England Centenarian Study 

  48. https://www.sillok.history.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