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토리텔링을 접목한 상주향토음식 개발 - '정기룡장군 밥상'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in Sangju by Storytelling-combined - A Case of 'General Jeong's Table' -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5, 2015년, pp.562 - 575  

문혜경 (경북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  이영자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식품외식산업학과) ,  박모라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식품외식산업학과) ,  김귀영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식품외식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s to discover stories and sensibilities connected with characteristics and symbols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Sangju to develop contents about the native foods of Sangju. 'General Jeong's Table', which supplied the energy and nutrition necessary for soldiers during war, is set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스토리텔링으로 재현 연출한 상차림 음식을 조리과학적으로 조리법을 설정하였다. 또한 동의보감 탕액편 식재료의 효능성에 비추어 재구성한 상차림 음식의 건강 효능성을 추가적으로 기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상주 명품 향토음식의 개발을 위하여 상주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특성과 상징성이 연계된 감성이 담긴 스토리를 발굴하여 상주 향토음식의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중기 임진왜란 시 국난극복의 인물인 정기룡장군에 대하여 스토리텔링화 한 스토리를 통하여 상주의 역사적 지리적 특성과 상징성이 연계된 향토 음식 콘텐츠를 재구성하여 상주의 명품 향토음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과정은 임진왜란 당시 상주의 역사적 문화적 실상을 잘 나타내주는 문헌인매헌실기, 조정임진란기록, 「Geomganseonsaengmunjip (검간선생문집, 黔澗先生文集)」 (Jo SH 2008) 등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당시 상주의 음식문화를 살펴보았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 상산지, 조선왕조실록중 선조실록과 세종실록지리지 중 태백산사고본 경상도 상주목조의 토산의 내용을 분석하여 식재료로 삼았다.

가설 설정

  • 콩가루주먹밥은 전쟁 시 영양이 풍부하고 간편한 음식이며, 상주는 감의 주산지로 감장아찌는 밥과 죽을 먹을 때 좋은 반찬이 될 수 있다. 또한 신증동국여지승람, 세종실록지리지, 상 산지에 상주의 토산으로 수록된 오디, 곶감, 호두, 밤, 콩을 쌀가루와 함께 섞어 시루에 찐 설기떡인 오디곶감모듬박이 떡은 먹으면 든든하고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이 용이하여 전시음식으로 좋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omo narrans은 무슨 뜻인가? ‘Homo narrans’(Han 2010) 즉 인간은 이야기하는 존재이다. 최근 몇 년 사이 스토리텔링 기법 활용이 다양해지면서 식품산업과 마케팅뿐만 아니라 지역홍보에도 확대 적용되어지고 있다.
스토리텔링 마케팅은 어떤 활동인가? 최근 몇 년 사이 스토리텔링 기법 활용이 다양해지면서 식품산업과 마케팅뿐만 아니라 지역홍보에도 확대 적용되어지고 있다. 스토리텔링 마케팅은 상품에 얽힌 이야기를 가공 포장하여 광고와 판촉 등에 활용하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활동이다. 스토리텔링은 이야기에 참여하는 현재성과 장소성을 더욱 강조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스토리텔링 방식을 통해 전달할 수 있는 메시지가 수없이 많고 메시지 전달 방식이 강한 설득력을 갖는다(Kim & Chung 2010a).
지역 역사와 문화를 스토리텔링화하여 향토음식 콘텐츠를 개발하는 연구의 예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에 근자에 국내 학계에서도 지역 역사와 문화를 스토리텔링화하여 향토음식 콘텐츠를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일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대표적으로 Kim & Chung(2010a)은 충남 지역의 역사성, 독창성과 연계된 문화적 감성을 담은 스토리를 발굴하여 ‘무령왕 수라상’과 ‘몽유도원 밥상’, 또 Kim & Chung(2010b)은 충무공 ‘현충밥상’, 김정희 ‘추사 밥상’의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또 Kim & Chung(2013)은 전북 진안과 전남 구례 지역 내에 존재하는 문화유산과 음식 관련 일화의 텍스트를 발췌하여 ‘호남지역 장수밥상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Kim & Chung(2010a, b)은 스토리텔링을 통한 향토음식 개발과 명품화 방안이 지역 이미지의 명품화와 함께 향토음식의 사회적 관광자원으로서 효과적인 마케팅 역할을 감당하기를 기대하면서 지역의 식생활 교육의 장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adong-gun. 2008. General Jeong Ki-ryong Port light project for research report. 

  2. Han KH. 2010. The research of Korea's culutral heritage and story-telling. J. Study's Korean Lang. Lit., 36(0) 614-615 

  3. Heo J (허준, 許浚). Donguibogam (동의보감, 東醫寶鑑). In: Yun SH, Kim HJ editors. 2006. Publisher donguibogam., Gyeongsangdo, Korea, pp 1965-2270 

  4. Hong YH. 1794. Haedongmyeongjangjeon (해동명장전, 海東名將傳) 

  5. Jo J. 1597. Jojeongimnanginok (조정임진란기록, 趙靖壬辰亂記錄) April 23-June 16. Korea 

  6. Jo SH. 2008. Geomganseonsaengmunjib (검간선생문집, 黔澗先生文集). Daebosa, Gyeongbuk 

  7. Joseonwangjosinnok (朝鮮王朝實錄). (1413-1865). Sejongsillokjiriji (世宗實錄地理志)(1544) 'Taebaeksansagobon (太白山史庫本)' Gyeongsangdo sangjumokjo. Korea, volume 5, pp 645-648 

  8. Kim MH, Chung HK. 2010a.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in Chungcheongnam-do by Storytelling. J. Korean Soc. Food Cult., 25(3):270-284 

  9. Kim MH, Chung HK. 2010b. Development on native local food contents through literatur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5):639-654 

  10. Kim MH, Chung HK. 2013. Development of Local Food Content in Jinan-Gun and Gurye-Gun through Storytelling. J. Korean Soc. Food Cult., 28(2):145-157 

  11. Lee H, Hong EP. 1530. Sinjeungdonggugyeojiseunglam (新增東國輿地勝覽) 55 book 22 volumn Gyeongsangdo, Sangjumok, Tosanjo 

  12. Lee J, Kim JS. 2003. Sangsanji. Sangju Cultural Center, Gyeongbuk, Korea 

  13. Lee YJ. 2006. Analysis of current use of local food of adults in Gyeongju classified by age. J. Korean Soc. Food Cult., 21(6):577-588 

  14. Sangju Institute of Culture. 2007. Sangju of Cultural Property. Sangju-si, Gyeongbuk 

  15. Sangju-si, Yeungnam University national culture research center. 1999. Gukyeok Maeheonsilgi (국역매헌실기). Hanilsa, Gyeongbuk, Korea 

  16. Seonjosillok (宣祖實錄). (1567-1608). Sunso 46 book 'Taebaeksansagobon (太白山史庫本)' 'Yeonginbon (影印本)'. Korea, volume 22 pp 19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