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밀을 이용한 밀메주와 콩알메주를 이용하여 밀된장을 제조하였으며, 우리밀 메주의 배합 비율에 따른 된장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25^{\circ}C$에서 70일간 발효 숙성된 밀된장의 수분, pH, 염도와 같은 이화학적 특성은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기간에 따라 유사한 경향으로 감소하였으며, 큰 차이는 볼 수 없었다. 시료의 pH는 숙성 과정을 거치면서 전반적으로 낮아져서 4.95~5.11 수준으로 나타났고, 수분 함량은 54.5~57.5%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숙성기간에 큰 변화 없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염도의 변화는 시료간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발효 70일째 376.27~600.91 mg%으로 초기 아미노태 질소 함량보다 3배 가량 크게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시료간의 큰 차이를 보였으며 숙성 과정에서는 비슷한 양상으로 증감을 반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콩알메주의 함량이 많은 밀된장 시료 A구가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관능적 특성은 밀된장 시료 A구가 색,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밀메주와 콩알메주의 혼합비율이 1:1로 밀된장을 제조하는 것이 가장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밀을 활용한 밀메주 및 된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면 우리밀의 소비촉진뿐만 아니라 장류의 고급화와 기능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heat doenjang was manufactured using Korean wheat meju and soybean meju, and its quality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meju.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moisture contents, pH and salinity of wheat doenjang, which is fermented and aged at $25^{\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된 밀을 원료로 밀메주를 제조하고 이들의 배합비를 달리하여 밀된장 4종을 제조한 후 70일 동안 발효숙성 시키면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된장의 제품 다양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된 밀을 원료로 밀메주를 제조하고 이들의 배합비를 달리하여 밀된장 4종을 제조한 후 70일 동안 발효숙성 시키면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된장의 제품 다양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6에 나타내었다. 측정 원리는 DPPH라는 산화제로 산화를 개시 시킨후 실험하고자 하는 시료에 의해서 라디칼에 대한 소거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DPPH는 보라색을 띠고 있는데 이것이 시료와 반응하면 옅은 노랑색을 띠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분도 밀, 5분도 밀, 콩으로 제조된 3종 메주의 배합비를 달리한 4종의 밀된장에서 70일 간 발효숙성 과정동안 pH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1에 나타내었다. 밀된장의 발효 초기 pH는 5.40~5.74으로 나타났고 숙성 과정을 거치면서 전반적으로 감소하여 4.95~5.11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시료간의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균주를 접종하여 제조한 콩알메주 된장(32)과 citric 및 phytic acid를 첨가한 된장(13)의 숙성과정에서도 pH가 전반적으로 낮아진다고 보고된 바 있어 본 실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2분도 밀, 5분도 밀, 콩으로 제조한 3종 메주의 배합비를 달리한 4종의 밀된장에서 70일 간 발효숙성 과정동안 수분함량을 비교해 볼 때, 수분함량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5%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숙성 기간에 큰 변화 없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4종의 밀된장의 수분함량을 비교해 볼 때 수분함량의 차이는 된장의 원료로 사용된 메주의 수분함량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숙성과정 중 밀된장의 시료의 염도의 변화는 Fig.
개량식 된장의 제조 과정은? 전통적인 된장은 콩만으로 메주를 쑤고 Bacillus sp. 등 세균과 곰팡이가 발효과정에 관여하여 밀이나 보리, 쌀을 원료로 하고Aspergillus oryzae 등 국균을 접종하여 제조되는 개량식 된장과는 맛과 생리활성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6). 최근에는 생활양식의 변화와 핵가족화로 편리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 때문에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수요가 점점 증가되고, 개량식 된장도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전통식 방법을 혼용하여 변형시키려는 노력과 여러 가지 부재료를 첨가하여 그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Kim SH (1998) New trends of studying on potential activities of doenjang. Korea Soybean Digest, 15, 8-15 

  2. Kwon SH, Shon MY (2004) Antioxidant and anticarcinogenis effects of traditional doenjang during maturation periods. Korean J Food Preserv, 11, 461-467 

  3. Kim HJ, Sohn KH, Chae SH, Kwak TK, Yim SK (2002) Brown color characteristics and antioxidizing activity of doenjang extrac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44-654 

  4. Lee IK, Kim JG (2002)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Korean soybean paste (doenjang)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 fed a high fat and /or a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8, 282-305 

  5. Kim DH, Lim DW, Bai S, Chun SB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meju model system inoculated with s Bacillus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006-1015 

  6. Lee KI, Moon RJ, Lee SJ, Park KY (2001) The quality assessment of doenjang added with Japanese apricot, garlic and ginger, and samjang.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472-477 

  7. Jung BM, Roh SB (2004) Physicochemical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doenjang and traditional green tea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32-139 

  8. Kim SJ, Moon JS, Park JW, Park IB, Kim JM, Rhim JW, Jung ST, Kang SK (2004) Quality of soybean paste(doenjang) prepared with sweet tangle, sea mustard and anchovy pow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875-879 

  9. Lee WJ, Cho DH (1970) Microbiological studies of Korean native soy-sauce fermentation- A study on the microflora changes during Korean native soy-sauce fermentation. J Korean Agricul Chem Soc, 13, 35-42 

  10. Yoon IS, Kim HO, Yoon SE, Lee KS (1997) Studies on the changes of N-compounds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of the Korean daen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9, 131-137 

  11. Park JS, Lee MY, Kim KS, Lee TS (1994)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ybean paste (doenjang ) prepared from different types of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55-260 

  12. Lee JS, Choi YJ, Kwon SJ, Yoo JY, Chung DH (1996)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osmotolerant and gas producing yeasts from traditional doenjang and kochujang. Food Sci Biotechnol, 5, 54-58 

  13. Kwak EJ, Park WS, Lim SI (2003) Color and quality properties of doenjang added with citric acid phytic acid.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55-460 

  14. Lee DH, Kim JH, Yoon BH, Lee GS, Choi SY, Lee JS (2003) Changes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medicinal herbs doenjang. Korean J Food Preserv, 10, 213-218 

  15. Lee JS, Kown SJ, Yoo JY, Chung DH (1996) Changes of microorganisms, enzyme activities and major components during the fermentation of Korean traditional deonjang and kochujang.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4, 247-253 

  16. Lee JM, Kim YS, Hong YM, Yu JH (1972) Studies on the substitution of raw material for so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 182-186 

  17. Choi UK, Kim YJ, Ji WD, Son DH, Choi DH, Jeong MS and Chung YG (1999) The flavor components of traditional sigumgand m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87-893 

  18. Chung YG, Son DH, Ji WD, Choi UK, Kim YJ (1999)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igumjang m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231-237 

  19. Kim HJ (2003) Studies on the manufacturing and characterization of soy sauce with whole grain soybean Meju. Ph D.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20. Lee CJ, Koh HS (1976) Standardization of Korean soy sauce Part I. studies on the changes of components in the process of the conventional soy sauce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8, 247-252 

  21. Kim SS (1978) Effect of meju shapes and strains on the quality of so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63-72 

  22. Kang HJ, Park ES, Yoon S (1984) Interaction of phytic acid with minerals during meju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03-407 

  23. Park CK, Nam JH, Song HI, Park HY (1989) Studies on the shelf-life of the grain shape improved m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876-883 

  24. Suh JS, Lee SG, Ryu MK (1982) Effect of Bacillus strains on the chungkook-jang process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309-314 

  25. Ju HK, Ro SK, Im MH (1982) Studies on the fermentation of soy sauce by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4, 276-284 

  26. Kim JK, Kim CJ (1997) Composition of amino acids, sugars and minerals of domestic wheat varieties. Korean J Soc Food Sci Nutr, 26, 229-235 

  27. Kim IJ, Lee JK, Park MH, Shon DH (2002) Preparation method of meju by three step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36-539 

  28. Kum JS, Han O (1997)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and doenjang prepared with extrudated wheat flour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601-605 

  29.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 

  30. Kilani S, Ammar RB, Bouhlel I, Hayder N, Mahmoud A, Ghedira K, Chekir-Ghedira L (2005) Investigation of extracts from (Tunisian) cyperus rotundus as antimutagens and radical scavengers. Environ Toxicol Phar, 20, 478-484 

  31.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ant power". The FRAO assay, Anal Biochem, 230, 70-79 

  32. No JD, Lee DH, Choi SY, Kim NM, Lee JS (2006) Changes of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during the fermentation of doenjangs made by isolated nuruk mold and commercial nuruk mol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025-1030 

  33. Seo JS, Han EM, Lee TS (1986) Effect of meju shapes and strain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15, 1-9 

  34. Joo HK, Oh KT, Kim DH (1992) Effects of mixture of improved meju, Korean traditional meju and natto on soybean paste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5, 286-293 

  35. Rho JD, Choi SY, Lee S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pastes (doenjang) prepared using different types of microorganisms and mixing ratio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243-250 

  36. Kim MJ, Rhee HS (1990) Studies on the changes of taste compounds during soy paste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6, 1-8 

  37. Kim JG (2004)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J Food Hyg Safety, 19, 31-37 

  38. Oh KT (1989) The standard of soy source, quality and hygiene. Food Sci Indus, 22, 18-27 

  39. Yoo SK, Kang SM, Noh YS (2000) Quality properties on soy bean pastes made with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raditional soy bean pas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266-1270 

  40. Choi KS, Rhee HS (1994) Characteristics of doenjang made from different material and ratio of Koji. J Korean Soc Food Sci, 10, 39-44 

  41. Lee KH, Cho SH (2003) Effect of the combined fermentation with Aspergillus oryzae and Bacillus natto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doenjang meju. J Agri Life Sci, 37, 9-21 

  42. Wang JH, Zhao MM, Zhao QZ, Jiang YM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papain hydrolysates of wheat gluten in different oxidation systems. Food Chem, 101, 1658-16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