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PME를 이용한 참외와인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Changes 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Oriental Melon Wine Using SPM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2, 2013년, pp.207 - 214  

조용준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김옥미 (대경대학교 호텔조리계열) ,  정용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SPME를 이용하여 참외 알코올 발효과정 중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참외 원과의 향기성분은 주로 melon 및 풋내향이 주로 나타났으며 풋내성분은 nonanal, 1-butanol, 1-octen-3-ol 및 benzene으로 동정되었고 상대적 농도는 16.66%로 나타났다. 머스트에서는 풋내성분 중 nonanal은 농도는 감소하였으나 나머지 성분들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주로 sweet향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benzene의 상대적 함량이 25.58% 증가하여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알코올 발효 후 1-butanol을 제외한 풋내유발 성분들의 함량이 매우 감소하였으며 숙성 중 모두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취의 원인이 되는 풋내유발 물질들은 발효 및 숙성과정을 통해 모두 소멸되었으나 acid류의 휘발성 향기성분들은 알코올 발효과정에서 생성되었으며 특히 불쾌취를 유발하는 octanoic acid는 상대적 농도가 숙성과정 중 60.99%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숙성 중에 자극적인 신냄새의 acetic acid가 생성되는 경향으로 나타나 향후 참외 와인 제조에 있어 향기 개선을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main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oriental melon during the process of alcohol fermentation via SPME (solid phase micro extraction). The flavor components of oriental melon were shown to have mainly included melon and green flavors. The green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외를 이용한 과실주 개발 방안으로 SPME법을 이용하여 참외 와인 제조 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참외를 이용한 와인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SPME를 이용하여 참외 알코올 발효과정 중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참외 원과의 향기성분은 주로 melon 및 풋내향이 주로 나타났으며 풋내성분은 nonanal, 1-butanol, 1-octen-3-ol 및 benzene으로 동정되었고 상대적 농도는 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의 향이란 어떤 요소인가? 식품의 향은 맛, 색 및 조직감 등과 함께 원재료에서 제품까지 품질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식품 내 각 성분, 특히 휘발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다양한 관능적 특성이 나타난다. 휘발성 성분은 원료, 가공방법, 저장조건 및 이용되는 미생물 등에 따라 각기 여러 가지 향을 생성하며 threshold level이 낮은 경우 미량으로도 식품의 기호도에 영향을 주어 이들을 분석하고 관리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1-3).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향기성분의 포집방법 중에서 SPME 방법은 무엇을 분석하는 데 이용되는가? 일반 headspace법은 강한 휘발성 물질에 선택적인 반면, SPME를 이용한 headspace법은 휘발성이 약한 물질에 대해 더욱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4-6). 또한 SPME 방법은 용매 추출이나 정제단계 및 복잡한 purge and trap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서 최근 coffee, vegetable oil에 있는 butter향(7), 과일 음료의 향기성분(8), hop 중의 정유성분(9), 식품 model계의 pyrazine (10), vodka의 휘발성 성분(11) 등과 같은 식품소재의 향기성분 분석에 널리 이용 되고 있다.
기기분석 방법의 장점은? 현재 휘발성 성분의 분석은 주관적인 방법인 관능검사법과 GC/MS 등에 의한 기기분석 방법이 있으며 그 중 기기분석 방법은 향에 관여하는 여러 성분의 종류와 농도를 밝힐수 있어 화학적으로 의미 있는 절대값을 얻을 수 있으며 관능검사법에 비하여 주위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3).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향기성분의 포집방법으로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SDE)법, liquid liquid continous extraction (LLCE) 및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법 등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포집한 다음 GC/MS를 이용하여 분석을 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Lee JG, Kwon YJ, Chang HJ, Kwag JJ, Kim OC, Choi YH (1997) Volatile components of green tea(Camellia sinesis L. var. Yabukita) by purge and trap headspace sampl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10, 25-30 

  2. Seo JH, Park NY, Jeong YJ (2001) Volatile components in perimmon vinegars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53-156 

  3. Noh BS (2005)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using electronic nose and its application in food industry.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048-1064 

  4. Arthur CL, Pawliszyn J (1990) Solid-phase microextraction with thermal desorption using fused silica optical fibers. Anal Chem, 62, 2145-2148 

  5. Arthur C, Killam LM, Buchholz KD, Pawliszyn J (1992) Automation and optimization of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al Chem, 64, 1960-1966 

  6. Zhang Z, Pawliszyn J (1993)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al Chem, 65, 1843-1852 

  7. Yang X, Peppard T (1994) Solid-Phase microextraction for flavor analysis. J Agric Food Chem, 42, 1925-1930 

  8. Penton, Z (1996) Flavor volatiles in a fruit beverage with automated SPME. Food Test Anal, 2, 16-18 

  9. Field JA, Nickerson G, James DD, Heider C (1996) Determination of essential oils in hops by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J Agric Food Chem, 44, 1768-1772 

  10. Ibanez E, Bernhard RA (1996)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of pyrazines in model reaction systems. J Sci Food Agric, 72, 91-96 

  11. Ng LK, Hupe M, Harnois J, Moccia D (1996)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vodkas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alysis. J Sci Food Agric, 70, 380-388 

  12. Jung GT, Ju IO, Ryu J, Choi JS, Choi YG (2003) Studies on manufacture of wine using apricot. Korean J Food Preserv, 10, 493-497 

  13. Lee JM, Kim SK, Lee GD (2003) Monitoring on alcoho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679-683 

  14. Cho KM, Lee JB, Kahng GG, Seo WT (2006) A study on the making of sweet persimmon (Diospyros kaki, T)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85-792 

  15. Jeong MR, Cha JD, Yun SI, Han JH, Lee YE (2005) Manufacturing of wine with korean figs(Ficus carica L.) and quality improvement by adding fig lea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112-118 

  16. Kim YS, Jeong DY, Shin DH (2008)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alba)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3-69 

  17. Jo YJ, Jang SY, Kim OM, Park CW, Jeong YJ (2010) Effects of sugar addition in alcohol fermentation of oriental mel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59-1365 

  18. Jo YJ, Park CW, Jang SY, Kim OM, Jeong YJ (2011)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in oriental melon by yeast kind. Korean J Food Preserv, 18, 779-785 

  19. Kwon YJ, Lee JG, Deng KY, Lee GH, Oh MJ (1999) The odor discriminents analysis and the comparison of flavor components in korean and chinese sesame oil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200-205 

  20. Choi HS, Kang EJ, Kim KH (2006) Analyses of essential oil and headspace compositions of 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 by SDE and SPME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3, 108-114 

  21. Cho MG, Kim H, Chae YA (2003)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leaves and fruit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et zucc. & Zanthoxylum piperitum DC. by headspace SPM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40-45 

  22. Park ER, Choi JH, Kim KS (2002)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traditional cultivars of pear(Pyrus pyrifolia 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80-185 

  23. Suwanagul A, Richardson DG (1998) Identification of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from different pear(Pyrus communis L.) varieties. Acta Horticulture, 475, 605-623 

  24. Schreiber P, Ofner S, Grosch W (1990) Evaluation of potent odorants in cucumbers(Cucumis sativus) and muskmelon(Cucumis melo) by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J Food Sci, 55, 193-195 

  25. Schreiber P (1982) Chromatographic studies of biogenesis of plant volatiles. Huethig Verlag, Heidelberg. p 149-158 

  26. Kim KS, Lee HJ, Kim SM (1999)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watermelon (Citrullus vulgaris S.) and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J Korean Food Sci Technol, 31, 322-328 

  27. Buttery RG, Seifert RM, Ling LC, Soderstrom EL, Ogawa JM, Tumbaugh JG (1982) Additional aroma components of honeydew melon. J Agric Food Chem, 30, 1208-1211 

  28. Robert PA (1995) Identification of essential oil component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 Allured Publishing Co., p121-129 

  29. Park NY (2000) Dynamic changes in flavor-related component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 as affected by steaming and roasting. Ph 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30. Yuda J (1976) Volatile compounds from beer fermentation. J Soc Brew Japan, 71, 818-830 

  31. Chung MS, Lee MS (1998)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Pleurospermum kamtschaticum. Korean J Soc Food Sci, 14, 541-5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