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과 수입산 석류의 화학적 성분과 기능적 특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imported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3, 2013년, pp.342 - 347  

김미숙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  윤설희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  나환식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  박학재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  최경철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  양수인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  이지헌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약품분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흥산과 수입산 석류의 화학적 성분분석 및 생리활성 기능을 분석하여 기능성 물질의 소재 개발과 착즙 후 버려지는 부산물 활용 방안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석류 과즙 중 주요 유기산citric acid, mal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주요 유리당으로는 fructose, glucose가 확인되었다. 석류의 폴리페놀 함량은 고흥산 과피에서 149.91 mg/g으로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함량을 보인 과즙보다는 약 100배 정도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석류의 부위별 ellagic acid 함량을 분석한 결과 고흥산 과피에서 14.22 mg/g으로 미국산에 비해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고흥산과 미국산 모두 과즙이나 씨 보다는 과피에서 ellagic acid 함량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석류 부위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고흥산과 미국산 모두 과피, 씨, 과즙 순으로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다. 고흥산과 미국산 부위별 추출물의 전립선암 세포증식 억제능을 분석한 결과 산지에 관계없이 과피, 과즙, 씨 순으로 암세포 성장억제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과즙과 씨에서는 고흥산이 미국산에 비해서 암세포 성장억제능이 더 우수하였으며 과피 추출물에서는 미국산이 더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polyphenol-rich herbs, fruits and processed foods, which are made of plant origin,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due to their potential health benefits.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is an important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and has been used to treat diseases because of i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석류 주스의 항산화성 또한 과피에 함유되어져 있는 폴리페놀로부터 유래되어진 것으로 보고(15,16) 되고 있고, 특히 석류 과피에서 생리활성 물질은 재배종간의 차이가 있으며, 그에 따른 생리활성능도 다른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흥산과 미국산 석류의 부위별 생리활성 및 기능성 성분 비교에 대한 연구와 그 결과 석류 착즙 후 버려지는 부산물의 활용방안을 찾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석류 부위별 추출물의 PC-3 전립선암 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MTT assay를 시행하였다. 세포 배양액에 0, 0.
  • 본 연구는 고흥산과 수입산 석류의 화학적 성분분석 및 생리활성 기능을 분석하여 기능성 물질의 소재 개발과 착즙 후 버려지는 부산물 활용 방안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석류 과즙 중 주요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주요 유리당으로는 fructose, glucose가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류의 재배 품종은 맛에 따라 어떻게 구분하는가? 우리나라의 경우 2008년까지 수입량의 80% 이상이 이란산이었으나 최근 5년간은 수입량의 95% 이상이 미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7). 국내 생산은 2002년부터 전라남도 고흥에서 본격적으로 석류를 재배해 현재 국내 생산량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재배 품종은 그 맛에 따라 신석류, 단석류로만 구분되어 있다(8).
석류의 자생지는 어디인가? 석류(Punica grantum L.)는 석류과에 속한 낙엽소목으로서 아시아 서남부와 인도 북서부가 자생지이며 특히 이란은 석류 생산 및 세계적 수출국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8년까지 수입량의 80% 이상이 이란산이었으나 최근 5년간은 수입량의 95% 이상이 미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7).
석류가 폐기율이 높은 과일인 이유는? 석류에는 estrone, estradiol, estrogenic compounds와 같은 여성호르몬 유사물질 등의 기능성 성분이 주목받으면서(9-11) 석류 주스의 섭취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착즙 시 나오는 껍질이나 씨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식부 비율은 20~30% 밖에 되지 않아 폐기율이 높은 과일이다. 석류의 부위별 기능성 성분을 비교한 결과 과즙보다 과피와 씨 부분에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식물성 에스트로겐 함량과 그에 따른 항산화능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12-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ampe JW (1999) Health effects of vegetables and fruits: assessing mechanism of action in human experimental studies. Am J Clin Nutr, 70, 475-490 

  2. Abdel-Hameed ESS (2009) Total phenolic cont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ertain Egyptian ficus species leaf samples. Food Chem, 114, 1271-1277 

  3. Cai Y, Luo Q, Sun M, Corke H (2004)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112 Chinese medicinal plants associated with anticancer. Life Sci, 74, 2157-2184 

  4. Hazra B, Sarkar R, Biswas S, Mandal N (2010) Comparative study of the antioxidant and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properties in the extracts of the fruits of Terminalia chebula, Terminalia belerica and Emblica officinalis. BMC Complement Altern Med, 10, 20 

  5. Hazra B, Biswas S, Mandal N (2008)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pondias pinnata. BMC Complement Altern Med, 8, 63-72 

  6. Opara UL, Al-Ani MR (2010) Antioxidant contents of pre-packed fresh-cut versus whole fruit and vegetables. Br Food J, 112, 797-810 

  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Statistics of imported food products (http://www.foodnara.go.kr/ importfood/src/statistics/item_list.jsp). 

  8. Moon SK (2009) A study on fruit characteristic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and Iranian pomegranate (Punica granatum).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Korea 

  9. Heftmann E, Ko ST, Bennett RD (1966) Identification of estrone in pomegranate seeds. Phytochemistry, 5, 1337-1339 

  10. Martınez JJ, Melgarejo P, Hernandez F, Salazar DM, Martinez R (2006) Seed characterization of five new pomegranate varieties. Sci Hor, 110, 241-246 

  11. Jaiswal V, DerMarderosian A, Porter JR (2010) Anthocyanins and polyphenol oxidase from dried arils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Food Chem, 118, 11-16 

  12. Li Y, Guo C, Yang J, Wei J, Xu J, Cheng S (2006) Evaluation of antioxidant properties of pomegranate peel extract in comparison with pomegranate pulp extract. Food Chem, 96, 254-260 

  13. Hajimahmoodi M, Oveisi MR, Sadeghi N, Jannat B, Hajibabi M, Farahani E, Akrami MR, Namdar (2008) Antioxidant properties of peel and pulp hydroextract in ten Persian pomegranate cultivars. Pak J Biol Sci, 11, 1600-1604 

  14. Gil MI, Tomas-Berberan A, Hess-Pierce B, Holcroft DM, Kader A (2000) Antioxidant activity of pomegranate juice and its relationship with phenolic composition and processing. J Agric Food Chem, 48, 4581-4589 

  15. Tzulker R, Glazer I, Bar-Ilan I, Holland D, Aviram M, Amir R (2007) Antioxidant activity, polyphenol content, and related compounds in different fruit juices and homogenates prepared from 29 different pomegranate accessions. J Agric Food Chem, 55, 9559-9570 

  16. Gozlekci S, Saraco?lu O, Onursal E, Ozgen M (2011) Total phenolic distribution of juice, peel, and seed extracts of four pomegranate cultivars, Phcog Mag, 7, 161-164 

  17. Holland D, Hatib K, Bar-Ya'akov I (2009) Pomegranate: botany, horticulture, breeding. Horticultural Reviews, 35, 127-191 

  18.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 Singleton VL, Rossi JL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20. Blois MA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1.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ogical Methods, 65, 55-63 

  22. Pablo M, Domingo MS, Artes F (2000) Organic acids and sugars composition of harvested pomegranate fruits. Eur Food Res Technol, 211, 185-190 

  23. Aarabi A, Barzegar, Azizi MH (2008) Effect of cultivar and cold storage of pomegranate(Punica granatum L.) juices on organic acid composition. Asean Food J, 15, 45-55 

  24. Vahid A, Khodayar H, Mehdi S (2009)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fruit in maturation stage. Am-Euras J Agric Environ Sci, 6, 411-416 

  25. Narayanan BA, Geoffrey O, Willingham MC, Re GG, Nixon DW (1999) p53/p21 (WAF1/CIP1) expression and its possible role in G1 arrest and apoptosis in ellagic acid treated cancer cells. Cancer Lett, 136, 215-21 

  26. Khanduja KL, Gandhi RK, Pathania V, Syanl N (1999) Prevention of N-nitrosodiethylamine-induced lung tumorigenesis by ellagic acid and quercetin in mice. Food Chem Toxicol, 37, 313-318 

  27. Madrigal-Carballob S, Rodriguezb G, Kruegera CG, Dreherc M, Reeda JD (2009) Pomegranate (Punica granatum) supplements: authenticity, antioxidant and polyphenol composition. J Functional Foods, 1, 324-329 

  28. Panichayupakaranant P, Tewtrakul S, Yuenyongsawad S (2010) Antibacterial,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activities of standardized pomegranate rind extract. Food Chem, 123, 400-403 

  29. Chung YC, Chen SJ, Hsu CK, Chang CT, Chou ST (2005)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Graptopetalum paraguayense E. Walther. Food Chem, 91, 419-424 

  30. Kim H, Choi HK, Moon JY, Kim YS, Mosaddik A, Cho SK (2011) Comparative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red and white pitayas and their correlation with flavonoid and polyphenol content. J Food Sci, 76, 38-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