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인지도 및 만족도
Awareness and satisfaction on dental implant treatment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3 no.3, 2013년, pp.395 - 401  

김수경 (신흥대학교 치위생학과) ,  김선이 (신흥대학교 치위생학과) ,  전희영 (신흥대학교 치위생학과) ,  이경희 (신흥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an adult on implants and the relevant factors which affect the satisfaction of a patient after an implant treatment.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407 adult subjects in Seoul and Gyeonggi. A total of 384 data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환자와 치과의사의 관점에 따라 적절한 치료 대안 선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의 효율성을 평가할 때는 환자의 의견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치료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데 반드시 필요하다1). 그러나 임플란트 치료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생의학 및 임상 치의학 연구에 편중되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임플란트에 대한 인식도와 관리태도, 임플란트 시술 후 환자의 치료 만족도에 미치는 관련요인들을 규명하여 임플란트 시술 환자들의 구강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성인의 임플란트 인지도 및 관리 태도에 관해 조사하여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동기를 부여함과 동시에 임플란트 시술 후 환자의 치료 만족도에 미치는 관련요인들을 규명하고자 시행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4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응답이 부실하거나 오류가 있는 설문지를 제외한 384부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인지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의 임플란트 인지도와 계속구강건강관리에 대한 태도를 알고 임플란트 만족도에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여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환자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도에 성인인구의 치아상실률은 어느정도인가? 그러나 보철치료가 수행되지 않은 상실치는 저작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영양장애 및 언어기능 저하로 구강건강뿐만 아니라 전신건강에 영향을 미쳐 나아가 사회적 활동에 불편을 일으킨다. 2010년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2)에서는 성인인구의 치아상실률이 45-54세에서 27.98%, 55-64세에서 45.50%, 65-74세에서 57.87%, 75세 이상에서 74.66%이었으며, 2006년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3)와 비교하여 성인인구의 치아상실율이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중요한 구강 문제의 한 가지로 나타나고 있다4). 이러한 상실치아를 개선하는 고전적인 방법으로는 고정성 가공의치와 가철성 가공의치가 있으나 다양한 부작용과 불편들이 상존하기에 최근에는 임플란트 치료가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다5).
임플란트 시술대상은 어떻게 달라졌는가?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으로 만든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기술로 임플란트 시술은 삶의 질과 관련된 구강건강의 질적 개선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6). 처음에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 국한되어 시술되었으나, 지금은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도 보편적인 치료로 자리를 잡고 높은 성공률을 보이고 있다7,8). 임플란트의 발전은 부분 무치악은 물론 단일치 수복에서도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를 우선적인 방법으로 선택하게 하였고, 더 나아가 임플란트 매식 후 치유기간을 기다리지 않고 수술 당일 임시 보철물을 만들어 주는 즉시 부하 임플란트도 보편화 되고 있다9-11).
보철치료가 수행되지 않은 상실치는 어떤 불편을 일으키는가?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또는 외상 등에 의해 상실된 치아의 경우 기능적 또는 심미적 이유로 대개의 경우 보철적 수복을 필요로 한다1). 그러나 보철치료가 수행되지 않은 상실치는 저작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영양장애 및 언어기능 저하로 구강건강뿐만 아니라 전신건강에 영향을 미쳐 나아가 사회적 활동에 불편을 일으킨다. 2010년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2)에서는 성인인구의 치아상실률이 45-54세에서 2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ung SY, Cho JH, Cho CH, Choi YH, Song KB. Factors associated with patient satisfaction and decision to get implant surgery J Korean Acad of Oral Health 2011 ;35(2): 179-86.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47.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7: 101-2. 

  4. Kang BW, Lee SM. Awareness of periodontal diseases and implant management among implant wearers. J Korean Soc Dent Hygiene 2012; 12(4): 759-70. 

  5. Park JH, Urm SH, Kwun HS, Cho GS, Heo SJ, Lee SY, et al. Relation between oral health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J Korean Soc Dent Hygiene 2011; 11(5): 717-27. 

  6. Heydecke G, Locker D, Awad MA, Lund JP, Feine JS. Oral and gene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ith conventional and implant dentures.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003; 31(3): 161-8. 

  7. Lekholm U. Survival of the Branemark implant in partially edentulous jaws: a 10 year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9; 14: 639-45. 

  8. Lindh T, Gunne J, Tillberg A, Molin M. A meta-analysis of implants in partial edentulism. Clin Oral Implants Res 1998; 9:80-90. 

  9. Ericsson I, Nilson H, Lindh T, Nilner K, Randow K. Immediate functional loading of Branemark single tooth implants: An 18 months' clinical poilot follow-up study. Clin Oral Imlants Res 2000; 11: 26-33. 

  10. Henry PH, Laney W.R, Jemt T, Harris D, Krogh PHJ, Polizzi G, et al. Osseointegrated implants for single tooth replacement:a prospective 5 years multicenter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6; 11: 450-5. 

  11. Schnitman PA, Woehrle PS, Rubenstein JE, Dasilva JD, Wang NH. Ten-year results for Branemark implants immediately loaded with fixed prostheses implant placemen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7; 12(4): 495-503. 

  12. Park JE, Yun JH, Jung UW, Kim CS, Cho GS Chae JG, et al. The Distribution of Implant Patients and the Type of Implant Site.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2004; 34(4): 819-36. 

  13. Choi HS, Jung HJ, Kim OS, Kim YJ. The study on the survival rates and crystal bone changes around the implants. J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2004; 34(2): 303-15. 

  14. Lee SY. A study on the measures establishing global competitive power of dental implant industry : focusing on the Asia-Pacific Area[Master's thesis]. Seoul: Univ. of Hanyang, 2009. 

  15. Choi HS, Ku IY, Yoo IM. A study on implant awareness and attitude to oral hygiene care : The case of dental consum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J Korean Dent Hyg 2010; 12(1):37-45. 

  16. Lyoo YJ. A questionnaire on awareness about the dental implant[Master's thesis]. Seoul: Univ. of Dankook, 2004. 

  17. Misch CE. Contemporary Implant dentistry. Missouri: Mosby Co; 1993: 1-779. 

  18. Choi SY. A study on patients' perception on and expectation about dental implant. J Korean Acad Dent Hyg 2005; 7(1):99-112. 

  19. Tepper G, Haas R, Mailath G, Teller C, Bernhart T, Monov G, et al. Representative marketing oriented study on implants in the Austrian population. Clinical oral implants research 2003; 14(5): 621-42. 

  20. Lee MJ, Han GS, Choi JS. Patients' functional satisfaction of dental implant Treatment. J Dent Hyg Sci 2008; 8(2): 97-101. 

  21. Kim JW, Kwon HM, Kim EH, Kim JS, Song JJ, Choi SS. Prosthodontics for the dental hygienist. Seoul: DaehanNarae Publishing Inc; 2008: 1-424. 

  22. Lindquist LW, Carlsson GE, Jemt T. Association between marginal bone loss around osseointegrated mandibular implant and smoking habit: a 10-year follow up study. Journal of Dental Reserch 1977; 76(10): 1667-74. 

  23. Hilgers KK, Kinane DF. Smoking, periodontal disease and the role of the dental profession. Int J Dental Hygiene 2004; 2(2):56-63. 

  24. Lee RR. Patients' perception on dental implant therapy[Master's thesis]. Seoul: Univ. of Hanyang,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