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 임플란트 시술 전·후 만족도 변화 비교
Comparison of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Dental Implant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2, 2021년, pp.181 - 187  

김창숙 (울산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  강수경 (한빛치과병원) ,  안분숙 (울산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  유시은 (울산과학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본 연구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 환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시술 후 만족도 향상을 위해 시행된 연구이다. 일개 치과병원에 내원한 임플란트 환자 17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임플란트 시술 전·후의 저작 기능은 1.07점, 사회적 기능 만족도 점수는 0.7점, 심리적 기능 만족도 점수 0.97점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임플란트 시술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장기간 추적관찰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고 환자의 만족도 변화를 분석하고 평가하기 위한 지속적인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임플란트 최종 보철물 장착 후 구강보건교육과 상담 등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undergoing dental implant surgery an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after the procedur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of 178 dental implants patients who visited the dental hospital, regarding changes made befor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플란트 시술 경험이 있는 환자의 만족도 관련 요인으로 임플란트 시술 전·후 저작, 사회적 및 심리적 기능별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임플란트 치료의 만족도를 높이고 심미성 및 수명 연장을 위해서는 환자 스스로가 구강건강 관리에 소홀함이 없어야 하고 임플란트 수술 후 치은 및 보철물 관리를 포함한 구강건강관리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 환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 02점 높게 나타났다. 연구는 임플란트 치료를 목적으로 울산 소재 H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에게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 후진 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임플란트 치료 전·후 만족에 관한 설문문항을 기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환자의 응답을 통한 객관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나, 조사 시점에 따른 환자의 심적 부담이나 답변을 유추할 수 있는 설문 문항 등의 제한점이 있다.
  • 지금까지 임플란트 만족에 관한 연구는 일반적 특성과 임플란트 시술 후 만족을 비교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임플란트 치료 부위와 치아 상실 부위 및 임플란트 고정체 식립 방법 등을 포함한 임플란트 특성과 관련한 만족도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치과 임플란트 치료를 받은 20세 이상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시술과 관련된 만족도 요인을 파악하고, 다양한 임플란트 특성을 고려한 임플란트 치료 전·후의 저작, 사회적, 심리적 기능별 만족도를 비교하여 임플란트 치료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 B. Song, K. S. Jegal, S. H. Jeong & H. J. Jang. (1999). Analysis and survey of dental treatment satisfaction among dental patients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3(2), 127-138. 

  2. S. K. Kim, M. Y. Park, E. H. Byeon, S. H. Yang, S. J. Choi & E. S. Jung. (2018). A study on treatment satisfaction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OHIP-14) among implant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Dental Hygiene, 18(5), 741-750. DOI : 10.13065/jksdh.20180047 

  3. J. W. Kong, J. W. Kim, S. J. Bae, H. J. Lee. (2012).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n implant and dental clinic service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mformatics and Statistics, 37(1), 76-84. 

  4. G. W. Kim & S. M. Choi. (2010). A study on the factors giving effects to patient's satisfaction in the selection onimplant operation. Korea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11), 4354-4359.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Ministry of Health Welfare. (Online). http://www.mohw.go.kr/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Ministry of Health Welfare. (Online). http://www.mohw.go.kr/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Ministry of Health Welfare. (Online). http://www.mohw.go.kr/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Ministry of Health Welfare. (Online). http://www.mohw.go.kr/ 

  9. J. S. Kim, J. Y. Park, J. M. Baek, J. H. Lee. (2013). Treatment satisfaction and oral health behavior of the before and after dental implanting treat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Dental Hygiene, 13(6), 1087-1094. DOI : 10.13065/jksdh.2013.13.03.1087 

  10. J. H. Han & K. E. Kim. (2011). Comparison of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of implant patients in pre-post implant therapy.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1(2), 121-127. 

  11. M. J. Lee, G. S. Han, J. S. Choi. (2008). Patients' functional satisfaction of dental implant treatment.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8(2), 97-101. 

  12. E. J. Kim & J. Y. Kim. (2010). A study on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dental implant tra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4(3), 430-436. 

  13. S. G. Kim, S. Y. Son, S. A. Jeong, M. A. Jeong. (2011). Factors influent on treatment decision for the need of dental implant.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1), 264-273. DOI : 10.5392/JKCA.2011.11.11.264 

  14. North Texas Periodontal Associates. (2007). North Texas Periodontal Associates (Online). http://www.ntxpa.com/ 

  15.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9).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Online). http://www.심평.net/ 

  16. C. H. Shin. (2005). Study upon analyzing patients' satisfactions by the areas of his/her dental losses followed by dental implating.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K. W. Kim, K. S. Lee, P. S. Kang, W. S. Kim & H. K. Lee. (2008). Comparison of chew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the dental implant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47(2), 215-2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