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ECEDE 모형을 이용한 구강건강의 영향요인에 대한 진단적 연구
Influencing factors of oral health by PRECEDE model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3 no.3, 2013년, pp.525 - 534  

조민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mprove school health program by investigation of several variables through educational diagnostic factors which influence the level of subjective oral health perception and DMFT of students on the basis of PRECEDE model. Methods : A total of 286 high school stud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PRECEDE 모형을 근간으로 일부 지역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지도와 우식경험영구치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PRECEDE 모형을 근간으로 고등학생들의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지도와 우식경험영구치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변수를 교육적 진단요인을 통하여 진단하여 고등학생의 학교보건교육 프로그램 개선 및 운영 결과를 극대화시키고자 일부지역 고등학생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적 진단요인을 통하여 고등학생의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지도와 우식경험영구치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변수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PRECEDE 모형을 근간으로 고등학생들의 구강건강에 영향요인을 규명한 진단적 연구결과는 학교보건교육 프로그램 개선 및 운영결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agne이 정의한 행동발달은? Gagne는 행동발달을 개인이 특정한 사물, 인물 또는 사건에 대해 행위를 선택할 때 영향을 미치는 학습된 내재적 발달상태라 하였다4). 그러므로 청소년기의 구강건강과 관련하여 무엇을 배웠는지, 어떤 습관을 가졌는지가 성인기의 구강건강문제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시기의 구강건강관리 및 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은 간과할 수 없다.
청소년 학생들이 간식섭취횟수의 빈번함을 갖는 이유는?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중. 고등학생은 성장과정에 있기에 여러 가지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의 보충과 정서적 긴장을 해소하기 위하여 간식섭취횟수의 빈번함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강건강에 있어서는 특별한 문제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구강건강에 무관심해지기 쉬운 시기이기도 하다.
청소년기의 구강건강과 관련한 연구는? 그러므로 청소년기의 구강건강과 관련하여 무엇을 배웠는지, 어떤 습관을 가졌는지가 성인기의 구강건강문제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시기의 구강건강관리 및 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은 간과할 수 없다. 하지만 박 등5)의 연구에서 학생들의 구강보건교육의 제공은 학교교육과정에서 불규칙하게 시행되거나 아예 교육의 기회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정 등6)의 연구에서는 일부 중.고등학교에 국한되어 교수되고 있는 ‘보건’교과 내용이 우리나라 국민의 중대구강질환인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바 있다. 실제로 김 등7)의 연구에서 고등학생의 구강보건교육경험 인지율이 치아우식증 40.5%, 치주질환 10.8%로 나타나 50%미만의 인지율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National oral health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15-103. 

  2. Won SY, Sin SC, Kim SY.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and the oral status for freshmen students. J Korean Acad Dent Health 1997; 21(3): 491-503.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National oral health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51-80. 

  4. Lee SM, Lee SW, Kim MS. Youth nursing. Seou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ress; 2002: 25-80. 

  5. Park US, Park YJ, Yoo HS, Han GS, Hwang RI, Lim YJ, et al. Nationwide schools health education survey research.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6; 36(2): 381-8. 

  6. Jeong HG, Kim CY, Cho BY, Choi MK. Middle school health. Seoul: Genius Education Press; 2010: 10-68. 

  7. Kim SJ, Han GS.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al symptoms and smoking, drinking of high school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3): 553-62. 

  8. Lyu JS, Park MS, Kim JH. A study of oral health fact of high school students in certain district. J Korean Soc School Health Edu 2007; 8(1): 49-59. 

  9. Yu SM, An GS. A study on dental health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J Dent Hyg Sci 2003; 3(1): 23-31. 

  10. Green, LW, Kreuter MW. CDC's planned approach to community health as an application of PRECEDE and an inspiration for PROCEED. J Health Edu 1992; 23: 140-7. 

  11. Yoo JS. Factors influencing health risk behaviors in early adolesc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9; 20(3): 297-306. 

  12. Yoo JS, Hong YS, A diagnostic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health and quality of life.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1997; 3: 78-98. 

  13. Broadbent JM, Thomson WM, Poulton R. Oral health beliefs in adolescence and oral health in young adulthood. J Dent Res 2006; 85(4): 339-43. 

  14. Jang GA. Research on the management of oral disease and the status of oral health education. J Korean Dent Hyg Sci 2008; 14(1): 71-9. 

  15. Lee SM, Kim EJ, Lee DH. Relationship between oral-related knowledge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some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0; 10(5): 877-85. 

  16. Park EO. Effects of employment and marital status on health status of women and men.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1995; 6(1): 84-97. 

  17. Kim YN, Kwuan HG, Jung WG, Cho YS, Choi YH. The association of perceived oral health with oral epidemiological indicators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5; 29(3): 250-60. 

  18. Chung YH, Seo NS, Moon SH. Related factors in health promotion by gender amoong. J Korean Soc School Health Edu 2011; 12(2): 29-42. 

  19. Jang YJ, Kim NS.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to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DMFT index in Korean adults. J Korean Dent Hyg Sci 2011; 11(4): 499-509. 

  20.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3rd ed.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7: 157-77. 

  21. Kim HY, Lee SW.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ral symptoms, oral health behaviors on dental caries. Korean Asso for Survey Res 2003; 4(1): 73-94. 

  22. Vanessa R, Hamish R. Social cognitive theory in technological innovations. J of Innovation Management 2007; 10(1): 90-108. 

  23. Lim KO, Woo SH, Kwak JS. Impact of eating behavior on dietary habits and subjective oral health evaluation. J Korean Soc Dent Hyg 2011; 11(4): 441-51. 

  24. Ji YJ, Choi YH. Analysis of difference in oral health management by snack recognition level.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3): 453-63. 

  25. Choi HS, Hwang SH, Ahn SY, Sim SH, Choi BG, Gong YM, et al.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behavior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need for oral health education. J Korean Soc Dent Hyg 2011; 11(4): 533-46. 

  26. Kim DO, Lee JY, Lee GH, Cho JH. Knowledge and attitude of mothers who have infants about baby bottle tooth decay and dental caries prevention. J Korean Acad of Pediatric Dent 1997; 24(1): 220-34. 

  27. Cho GS, Yu BC, Cho MJ. A study on preschooler mother's responsibility based on experiences of oral health education.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3): 585-95. 

  28. Choi MS, Park HS, Lee BH, Jeong SG, Park J.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and dental services utilization in Korean adolesc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0; 10(5): 851-6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