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투자효과분석
Economic Impact Analysis of Disaster Mitigation Projects in Hazardous Areas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6 no.3, 2013년, pp.247 - 256  

허보영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복합재난연구실) ,  유순영 (국가수리과학연구소 계산수학연구부) ,  김성욱 (주식회사 지아이 부설 지반정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질적 수준제고를 위하여 재해위험지구 정비 사업을 대상으로 비용 대비 편익을 분석하였다. 최근의 재해이력을 고려하여 8개의 분석대상 지구를 선정하였고, 비용편익비(B/C)를 사용하여 투자효과를 분석하였다. 편익 산정은 해당지역의 과거재해이력을 활용하였으며, 비용은 총사업비로 평가하였다. 8개의 분석대상 지구에 대한 분석결과는 영향범위, 할인율 등의 인자에 따라 다른 범위에서 1보다 큰 B/C를 보여주고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4% 할인율과 5 km 영향거리 조건에서 8개 대상 지구에 대한 평균 B/C는 4.1로 1이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재해위험지구 정비 사업은 비용 대비 효율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assurance of the disaster mitigation projects, the economic effect of these projects in the hazardous areas was analysed. Eight project sites were selected for analyses based on the disaster data during the previous 10 years, and the investment effect was evaluated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NEMA(2012)의 자연재해위험지구 관리지침에서 경제성 분석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비용·편익비(B/C)를 사용하여 투자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대표적인 재해예방사업의 하나인 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을 대상으로 비용편익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미 완료되었거나 수행중인 정비 사업을 대상으로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여 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는 이미 진행된 사업의 타당성을 점검함은 물론, 앞으로 정비 사업을 계획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 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간접편익의 경우, 개별 사업에 대해서 유형별·지역별로 각각 다른 평가 항목들이 나타나기 때문에 물질적 피해로 산정되지 않는 간접편익을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기존의 비용편익분석에서는 간접편익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나, 본 연구는 재해리스크의 거대성과 집합성을 고려하는 최근의 연구동향을 반영하여 간접편익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간접편익 산정방법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일본의 공공사업 평가의 비용편익분석에 관한 기술지침(MLTT, 2004)에서 제시한 간접편익산정 방법을 활용하기로 하였다.

가설 설정

  • 그러나 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경제적 효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분석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사업지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잠재적 편익을 예측하여 비용편익을 분석한 연구로 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이 피해를 감소시킬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향후 정비사업의 실제 편익으로 B/C를 평가하고 사전 평가와 비교 평가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유지관리비 등의 비용도 추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즉, 영향범위에서 발생하는 피해액을 정비사업에 따른 직접편익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지방공기업법 시행규칙에 의한 시설물 내용연수 30년을 적용하여 산정된 편익은 각 사업이 완료되는 다음해부터 30년 동안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했다.
  • 그러나 연구 대상 지역이 대부분 현재 진행 중인 사업임을 고려하여 모든 대상지구에 대하여 계획된 사업비를 총비용(C)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총사업비를 사업기간으로 나누어 매년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 외에 NEMA (2012)는 총사업비의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재해위험지구란? 자연재해위험지구란 태풍·홍수·호우·폭풍·해일·폭설 등 불가항력적인 자연현상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지역과 자연 재해 저감시설을 포함한 주변지역으로서「자연재해대책법」제12조에 따라 지정된 지구를 말한다. 재해위험지구는 재해원인과 피해대상에 따라 침수위험 지구, 유실위험지구, 고립위험지구, 붕괴위험지구, 취약 방재시설지구, 해일위험지구의 6개 유형으로 구분되고, 각 유형은 다시 Table 1의 기준에 따라 ‘‘가’’, ‘‘나’’, ‘‘다’’, ‘‘라’’등급으로 분류된다(NEMA, 2012).
재해위험지구 정비 사업은 비용 대비 효율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근거는? 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질적 수준제고를 위하여 재해위험지구 정비 사업을 대상으로 비용 대비 편익을 분석하였다. 최근의 재해이력을 고려하여 8개의 분석대상 지구를 선정하였고, 비용편익비(B/C)를 사용하여 투자효과를 분석하였다. 편익 산정은 해당지역의 과거재해이력을 활용하였으며, 비용은 총사업비로 평가하였다. 8개의 분석대상 지구에 대한 분석결과는 영향범위, 할인율 등의 인자에 따라 다른 범위에서 1보다 큰 B/C를 보여주고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4% 할인율과 5 km 영향거리 조건에서 8개 대상 지구에 대한 평균 B/C는 4.1로 1이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재해위험지구 정비 사업은 비용 대비 효율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재해의 세가지 요인은? 근래에 들어 자연재해는 유형이 다양해지고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규모도 날로 증대되고 있다. ADRC(2005)에 따르면, 재해는 재난(hazard), 노출 (exposure), 재해 취약 요인(vulnerability)의 세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하게 되며(Fig. 1), 이에 재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재난 자체를 경감시키거나, 피해목적물이 재난에 노출되는 정도를 줄이고, 취약 인자를 강화 또는 제거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sian Disaster Reduction Center (ADRC) (2005) Total Disaster Risk Management-Good Practices. 

  2. Twigg, J. (1998) Development at Risk? Natural Disasters and the Third World. Oxford. 

  3. Dedeurwaerdere, A. (1998) Cost-benefit Analysis for Natural Disaster Management-A Case-study in the Phillipines. Brussels, Belgium, CRED. 

  4.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2006) FY 2006 PRE-DISASTER MITIGATION PROGRAM-GUIDANCE. 

  5.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ed Cross (IFRC) (2002) World Disasters Report 2002. Geneva. 

  6. Kopp, R. J., A. Krupnick, and M. Toman. (1997) Cost-Benefit Analysis and Regulatory Reform: An Assessment of the Science and the Art. Discussion Paper 97-19. Washington, D.C.: Resources for the Future. 

  7.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2008) Improvement Direction on Preliminary Feasibility Analysis and Feasibility Analysis of Water Resources Project. 

  8. Lee, Sang-Won (2009) Economic Implications of 4 Great River Revitalization Project,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9. Mechler, R. (2004a) Piura case study. Interim report for GTZ. 

  10. Mechler, R. (2004b) Semarang case study. Interim report for GTZ. 

  11. Mechler, R (2005) Cost-benefit Analysis of Natural Disaster Risk Management in Developing and Emerging Countries. Long Study. Interim report for GTZ. 

  12. Minister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01) A study on economic analyses of flood control projects. 

  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MLTT) (2004) Guideline for cost-benefit analysis of public projects. 

  14.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NDMI) (2012) Effect analysis and project development to improve vulnerable areas to natural disasters. 

  15.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2006) A study on the research for the method to strengthen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and to increase the investments. 

  16.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2010a) Annual disaster statistical review 2011. 

  17.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2010b) Guideline for Management of Vulnerable Areas to Natural Disaster. 

  18.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2012) Guideline for Management of Vulnerable Areas to Natural Disasters. 

  19. US 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US NIBS) (2005) Natural hazard mitigation saves: An independent study to assess the future savings from mitigation activities, multihazard mitigation council, Washington D.C. 

  20. Venton, C. and Venton, P. (2004) Disaster preparedness programmes in India. A cost benefit analysis. Humanitarian Practice Network, London. 

  21. World Bank (1996) Staff Appraisal report: Argentina Flood Project. Washington DC, World Ban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