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장애인분야 웹정보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zing the Disabled-related Information Behavior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0 no.2 = no.88, 2013년, pp.169 - 188  

김민철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이지연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애인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장애인 및 잠재적 이용자층의 정보요구 미 파악, 단일화된 정보제공 채널의 미비, 웹 접근성의 낮은 체감 수준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는 요원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과 유관종사자 등 잠재적 이용자층의 장애인분야 웹정보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현재 국내에서 제공되고 있는 장애인분야 웹정보서비스의 이용성을 평가하였다. 나아가 웹정보서비스의 기능 개선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새로운 정보서비스 모형으로서의 장애인도서관 포털서비스 구축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pite of various efforts to resolve digital divid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t still has a long way to go because there lack of identifying information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otential users including their family and the related, and integrated information channels such as a p...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장애인 및 잠재적 이용자층의 정보요구 미 파악, 단일화된 정보제공 채널의 미비, 웹 접근성의 낮은 체감 수준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는 요원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과 유관종사자 등 잠재적 이용자층의 장애인분야 웹정보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현재 국내에서 제공되고 있는 장애인분야 웹정보서비스의 이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웹정보서비스의 기능 개선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새로운 정보서비스 모형으로써의 장애인도서관 포털서비스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과 유관종사자 등 잠재적 이용자층의 장애인분야 웹정보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현재 국내에서 제공되고 있는 장애인분야 웹정보서비스의 이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웹정보서비스의 기능 개선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새로운 정보서비스 모형으로써의 장애인도서관 포털서비스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분야 웹정보이용자의 정보이용행태를 분석하여 현행 장애인분야 웹정보서비스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장애인도서관 포털서비스의 구축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상을 범위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 마지막으로 이용자들이 장애인분야 웹정보서비스 이용 시 일반적으로 겪는 장애요인과 기능 개선방안에 대해 얼마나 유용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질문은 각각 8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평가항목에 대하여 얼마나 동의하는지를 5점 척도와 9점 척도로 각각 측정하였다 (<표 10>, <표 11> 참조).
  • 도서관 포털은 일반적으로 웹상의 도서관, 즉 포털로서의 도서관을 의미한다. 디지털 도서관이 기존의 서비스를 온라인 환경에서 제공하는 것에 그쳤다면, 도서관 포털은 이용자로 하여 금자관의 소장 자료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정보자원에 대한 통합접근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이수상, 2006). 그렇기 때문에 장애인분야 웹정보서비스가 장애인도서관 포털서비스를 지향하는 것은 공적영역에서 장애인 정책 및 연구 결과물 등 장애인분야 전문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동시에 장애인 요구에 기반한 다양한 자원을 연계하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고유의 정보요구가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장애인과 유관종사자 등 잠재적 이용자층의 장애인분야 웹정보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현재 국내에서 제공되고 있는 장애인분야 웹정보서비스의 이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웹정보서비스의 기능 개선에 대해 어떠한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새로운 정보서비스 모형으로서의 장애인도서관 포털서비스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고유의 정보요구가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장애인과 유관종사자 등 잠재적 이용자층의 장애인분야 웹정보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현재 국내에서 제공되고 있는 장애인분야 웹정보서비스의 이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웹정보서비스의 기능 개선에 대해 어떠한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새로운 정보서비스 모형으로서의 장애인도서관 포털서비스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전체 인구대비 등록장애인의 비율은? 우리나라의 전체 인구대비 등록장애인의 비율은 2000년 이후 장애인정 범위가 확대됨으로써 2000년 2.0%에서 2010년 5.1%로 2.5배 이상 증가하였다(한국장애인개발원, 2011).
정보격차란 무엇인가? 한편, 우리나라는 2002년 이후 꾸준한 컴퓨터 및 인터넷 보급을 통해 장애인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해 노력해왔다. 정보격차란 정보통신기술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회와 정보이용 능력을 기준으로 개인 간, 기업 간, 지역 간, 세대 간 등 다양한 분야에 존재하는 사회․경제적인 격차를 가리킨다(OECD, 2006; 이은철, 심효정, 2008). 하지만 정보통신기술과 정보화의 급속한 진보에 비해 장애인 수의 증가, 장애유형별 특성, 국가의 정보화 추진방법 및 활용환 경의 제약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장애인과 비장애인 국민 간의 정보격차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한국장애인개발원, 2011).
장애인을 위한 전자도서관 서비스의 한계는? 국내외에서는 장애인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해 전자도서관이 점점 일반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 장애인을 위한 전자도서관 서비스의 대부분은 공공도서관 등 공적영역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주 목표이용자와 제공콘텐츠가 시각장애인과 기존 소장자료의 대체자료에 국한되어 있다는 데 그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숙희 (2011).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97-123. 

  2. 국립중앙도서관 (2008). 청각장애인 지식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중장기적 발전계획.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국립중앙도서관 (2010). 장애인도서관서비스 평가지표 및 기준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4. 국립중앙도서관 (2013, June 12). 국립장애인도서관. Retrieved from http://nlid.nl.go.kr 

  5. 변용찬 (2006). 생애주기별 장애인의 복지욕구 분석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변용찬 (2009). 2008 장애인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보건복지부 (2012, April 5). 복지로. Retrieved from http://www.bokjiro.go.kr 

  8. 오선경 (2010). 시각장애인의 정보요구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립수성도서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정보관리연구, 41(1), 97-126. http://dx.doi.org/10.1633/JIM.2010.41.1.097 

  9. 오선경, 이지연 (2011). 시각장애인의 공공도서관 비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141-162. http://dx.doi.org/10.4275/KSLIS.2011.45.3.141 

  10. 오세나, 이지연 (2011).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포털 서비스 이용 현황에 관한 연구. 제18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23-130. 

  11. 이수상 (2006). 디지털도서관의 통합포털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4), 257-275. http://dx.doi.org/10.3743/KOSIM.2006.23.4.257 

  12. 이은철, 심효정 (2008).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격차해소 기여도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309-325. http://dx.doi.org/10.4275/KSLIS.2008.42.2.309 

  13.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2, April 5). IT 통계포털. Retrieved from http://www.itstat.go.kr/main.htm 

  14. 정재영, 정혜미 (2010). 장애인 이용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189-207. 

  15. 한국장애인개발원 (2011). 2010 장애인백서.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 

  16.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2, April 5). 워크투게더. Retrieved from http://www.worktogether.or.kr 

  1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2011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18. Childers, T., & Post, J. A. (1975). The information-poor in America. NJ: The Scarecrow Press, Inc. 

  19. CNIB (2012, April 5). CNIB library. Retrieved from http://www.cnib.ca/en/services/library 

  20. Davies, R. (2004). Library portal's today and tomorrow. Online Information 2004 Proceedings, 237-241. 

  21. Direcgov (2012, April 5). Disabled people. Retrieved from http://www.direct.gov.uk/en/index.htm 

  22. Disability.gov (2012, April 5). Disability.gov. Retrieved from https://www.disability.gov 

  23. LG상남도서관 (2012, April 5). 책 읽어주는 도서관. Retrieved from http://voice.lg.or.kr/usn/user?pgmidHU13000 

  24. LISU (2012, April 5). LibPortal project: Access to library provided resources - A survey and review of library-oriented portals in higher and further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lboro.ac.uk/departments/dis/lisu/downloads/libportal_final_report.pdf 

  25. National Disability Services (2012, April 5). NDS. Retrieved from http://www.nds.org.au 

  26. Nota (2012, April 5). Nota Library. Retrieved from http://www.nota.nu 

  27. OECD (2006). Factbook: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tatistics-population and migration-international migration trends in migrations. OECD. 

  28. Persons with Disabilities Online (2012, April 5). Persons with disabilities online. Retrieved from http://www.pwd-online.gc.ca/p.6dh.4m.2@.jsp?langeng 

  29. The Disability Information and Resource Centre (2012, April 5). DIRC. Retrieved from http://www.dircsa.org.au 

  30.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2012, April 5). Wisconsin talking book and braille library. Retrieved from http://dpi.wi.gov/rll/wrlbph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