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단백질성 항균물질을 생산하는 김치발효용 내산성 Hetero 발효형 유산균주 선발
Selection of Acid-tolerant and 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Producing Non-proteinaceous Anti-bacterial Substances for Kimchi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1 no.1, 2013년, pp.119 - 127  

김혜림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이종훈 (경기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행연구에서 김치발효 후기의 우점종으로 알려진 Lactobacillus sakei의 생육을 저해하는 Leuconostoc 속 23균주와 Weissella 속 45 균주를 김치로부터 분리, 동정하였다. 발효 후기까지 생존할 수 있는 김치발효용 hetero 발효형 종균 선발을 위하여 이들 균주에 대한 내산성을 평가한 결과, Lc. mesenteroides CK0128, W. cibaria CK0633, W. cibaria KK0797 균주가 acetic acid와 lactic acid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pH를 4.3으로 조정한 MRS broth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다량의 세포 외 다당류를 생산하였다. 세균주가 생산하는 항균물질의 분자량은 3,000 Da 이하로 추정되며 Staphylococcus aureus와 Lb. sakei에 대한 생육저해를 나타내었다. 분획한 3,000 Da 이하의 조항균물질 모두가 $121^{\circ}C$, 15분의 열처리에도 항균활성을 유지함으로써 항균물질의 열에 대한 높은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pH의 감소에 따른 항균활성의 증가가 pH 5 이하의 산성조건에서 확인되어, 이들 항균물질은 pH 5 이하의 산성조건에서 활성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alpha}$-amylase, lipase, pepsin, proteinase K 처리가 항균활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들 균주가 생산하는 항균물질은 탄수화물, 지질을 포함하지 않으며, 비단백질성 물질로 추정된다. 또한, 선발균주가 생산하는 비단백질성 항균물질은 식중독균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enty-three strains of Leuconostoc species and 45 strains of Weissella species inhibiting the growth of Lactobacillus sakei, one of the most populous lactic acid bacteria in over-ripened kimchi, were isolated from kimchi in our previous study. Among these hetero-fermentative 68 strains, Leuconost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들이 발효 후기까지 우점하면서 종균으로써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발효의 진행에 따라 증가하는 산에 대한 저항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선행연구[29]에서 분리한 Leuconostoc 및 Weissella 속 68균주 중, 상대적으로 내산성이 높은 3균주를 선발하고, 이들이 생산하는 항균물질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란 무엇인가? 김치는 소금에 절인 배추와 무 등에 다양한 부재료를 혼합하고 일정기간 발효, 숙성시킨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이다.원·부재료 내의 토착미생물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김치발효는 소금 농도, 발효 온도 등이 동일한 조건에서도 발효 미생물의 생육 양상이 달라 균일한 품질의 김치 생산은 쉽지 않다[5].
균일한 품질의 김치 생산이 쉽지 않은 이유는? 김치는 소금에 절인 배추와 무 등에 다양한 부재료를 혼합하고 일정기간 발효, 숙성시킨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이다.원·부재료 내의 토착미생물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김치발효는 소금 농도, 발효 온도 등이 동일한 조건에서도 발효 미생물의 생육 양상이 달라 균일한 품질의 김치 생산은 쉽지 않다[5].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김치발효 초기 및 적숙기에는 hetero 발효형 Leuconostoc 및 Weissella 속 유산균의우점에 의해 만들어 지는 lactic acid, acetic acid, alcohol, dextran, CO2 등에 의해 특유의 상쾌한 맛과 물성을 가지게되지만, 발효 진행에 따른 환경변화와 homo 발효형 유산균Lactobacillus 속이 주를 이루게 되면서 산도가 증가하고 연부현상이 일어나 풍미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 15, 27, 28, 32, 34, 41].
김치 발효과정에서 hetero 발효형 유산균의 한계는 무엇인가? sakei의 생육을 억제하는 특성은 산 생성 지연에 따른 가식기간 연장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hetero 발효형유산균은 homo 발효형 Lactobacillus 속에 비해 내산성이 약해 발효 후기에는 비중이 줄어들고, Lactobacillus 속이 우점한다는 사실은 다수의 연구를 통해 보고되었다[17, 25]. 따라서, 이들이 발효 후기까지 우점하면서 종균으로써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발효의 진행에 따라 증가하는 산에 대한 저항성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lp, G. and B. Aslim. 2010.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stance to bile salts and low pH with exopolysaccharide (EPS) production of Bifidobacterium spp. isolated from infants feces and breast milk. Anaerobe 16: 101-105. 

  2. Boke, H., B. Aslim, and G. Alp. 2010. The role of resistance to bile salts and acid tolerance of exopolysaccharides (EPSS) produced by yogurt starter bacteria. Arch. Biol. Sci. 62: 323-328. 

  3. Byun, M. W., B. S. Cha, J. H. Kwon, H. O. Cho, and W. J. Kim. 1989. The combined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irradiation on the inactivation of major lactic aicd bacteria associated with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109-119 

  4. Chang, J. Y., H. J. Lee, and H. C. Chang. 2007. Identification of the agent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KFRI464 that enhances bacteriocin production by Leuconostoc citreum GJ7. J. Appl. Microbiol. 103: 2504-2515. 

  5. Chang, J. Y., I. C. Kim, and H. C. Chang. 2011. Effect of solar salt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8: 256-265. 

  6. Cho, J., D. Lee, C. Yang, J. Jeon, J. Kim, and H. Han. 2006. Microbial population dynamics of kimchi, a fermented cabbage product. FEMS Microbiol. Lett. 257: 262-267. 

  7. Cho, S. J. and H. D. Yun. 2005. Identifica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ree isoforms of iturin produced by endophytic Bacillus sp. CY22. J. Life Sci. 15: 1005-1012. 

  8. Cho, Y. and H. Rhee. 1991.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II). Korean J. Soc. Food Sci. 7: 89-95. 

  9. Cleveland, J., T. J. Montville, I. F. Nes, and M. L. Chikindas. 2001. Bacteriocins: safe, natural antimicrobials for food preservation. Int. J. Food Microbiol. 71: 1-20. 

  10. Eom, H. J., D. M. Seo, and N. S. Han. 2007. Selection of psychrotrophic Leuconostoc spp. producing highly active dextransucrase from lactate fermented vegetables. Int. J. Food Microbiol. 117: 61-67. 

  11. Ganzle, M. G., A. Holtzel, J. Walter, G. Jung, and W. P. Hammes. 2000. Characterization of reutericyclin produced by Lactobacillus reuteri LTH2584. Appl. Environ. Microbiol. 66: 4325-4333. 

  12. Grill, J. P., C. Manginot-Durr, F. Schneider, and J. Ballongue. 1995. Bifidobacteria and probiotic effects: action of Bifidobacterium species on conjugated bile salts. Curr. Microbiol. 31: 23-27. 

  13. Ha, D. and D. Cha. 1994. Novel starter culture for kimchi, using bacteriocin-producing Enterococcus faecium strain.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 550-556. 

  14. Jin, H. S., J. B. Kim, Y. J. Yun, and K. J. Lee. 2008. Selection of kimchi starters based on the microbial composition of kimchi and their effe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71-675. 

  15. Jung, J. Y., S. H. Lee, J. M. Kim, M. S. Park, J. W. Bae, Y. Hahn, E. L. Madsen, and C. O. Jeon. 2011. Metagenomic analysis of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Appl. Environ. Mcrobiol. 77: 2264-2274. 

  16. Kandler, O. 1983. Carbohydrate metabolism in lactic acid bacteria. Antonie Van Leeuwenhoek 49: 209-224. 

  17. Kang, S., W. Yang, Y. Kim, E. Joung, and Y. Han. 1995. Strain improvement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for Kimchi fermentation and effect of starter.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461-471. 

  18. Kim, D. H., K. R. Kang, H. W. Kim, S. Y. Yoon, C. G. Kim, T. Yamaguchi, J. K. Sohng, and J. S. Kang. 2010. Structure determination of macrolactin compounds with antibacterial activities isolated from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 J. Life Sci. 20: 1792-1800. 

  19. Kim, D.-H. and Y. S. Hahn. 2003. Effect of addition of ethanol and organic acids on the quality of Mul-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305-312. 

  20. Kim, D. J. and S. Y. Lee. 2001. Isolation of the exopolysaccharide producing Enterobacter sp.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is strain. Korean J. Biotechnol. Bioeng. 16: 370-375. 

  21. Kim, H. J. and H. C. Chang.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exopolysaccharid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4: 196-203. 

  22. Kim, S. 2001. Difficulty in Korean kimchi industry for modernization. Food Indus. Nutr. 6: 34-37. 

  23. Kim, Y. C., E. Y. Jung, E. H. Kim, D. H. Jung, T. B. Choe, T. J. Kwon, and S. M. Kang. 1998. Acid tolerance of the acid resistant mutant of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improved for kimchi starter.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6: 275-282. 

  24. Kim, Y. C., E. Y. Jung, H. J. Kim, D. H. Jung, S. G. Hong, T. J. Kwon, and S. M. Kang. 1999. Improvement of kimchi fermentation by using acid-tolerant mutant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aromatic yeast Saccharomyces fermentati as starters. J. Microbiol. Biotechnol. 9: 22-31. 

  25. Kim, Y. H., H. Z. Kim, J. Y. Kim, T. B. Choi, and S. M. Kang. 2005. Strain improvement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s a acid-resistant mutant and effect on Kimchi fermentation as a starter.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33: 41-50. 

  26. Kumar, C. G. and S. K. Anand. 1998. Significance of microbial biofilms in food industry: a review. Int. J. Food Microbiol. 42: 9-27. 

  27. Lee, C., C. Ko, and D. Ha. 1992. Microflor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02-109. 

  28. Lee, J. H. 2009. Current studies on the community of lactic acid bacteria in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Milk Sci. 58: 153-159. 

  29. Lee, K. and J. H. Lee. 2011. Isolation of Leuconostoc and Weissella species inhibiting the growth of Lactobacillus sakei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175-181. 

  30. Lee, K. and Y. Lee. 2010.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as a starter on the food quality and microbiota of kimchi. Food Sci. Biotechnol. 19: 641-646. 

  31. Lee, M. and J. H. Lee. 2009. Detection of pediococci in kimchi using pediococci selective medium.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238-242. 

  32. Lee, M., K. H. Cho, and J. H. Lee. 2010. Application of 16S rDNA PCR-RFLP analysis for the rapid identification of Weissella specie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8: 455-460. 

  33. Looijesteijn, P. J., L. Trapet, E. de Vries, T. Abee, and J. Hugenholtz. 2001. Physiological function of exopolysaccharides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Int. J. Food Microbiol. 64: 71-80. 

  34. Mheen, T. I. and T. W. Kwon.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35. Moon, G. S., C. H. Kang, Y. R. Pyun, and W. J. Kim. 2004.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ocin-producing Enterococcus sp. from kimchi and its application to kimchi fermentation. J. Microbiol. Biotechnol. 14: 924-931. 

  36. Niku-Paavola, M. L., A. Laitila, T. Mattila-Sandholm, and A. Haikara. 1999. New types of antimicrobial compounds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J. Appl. Microbiol. 86: 29-35. 

  37. Park, H., Y. Kim, and S. Yoon. 1994. The effect of blanching and lactic acid bacterial inocula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9: 61-66. 

  38. Park, I. K., S. H. Kim, and S. D. Kim. 1996. Effect of organic acids addition during salting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6: 195-204. 

  39. Park, K. J. and S. J. Woo. 1988. Effect of Na-acetate, Namalate and K-sorbate on the pH, acidity and sourness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40-44. 

  40. Ruas-Madiedo, P., J. Hugenholtz, and P. Zoon. 2002. An overview of the functionality of exopolysaccharide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Int. Dairy J. 12: 163-171. 

  41. Shim, S. and J. H. Lee. 2008. Evaluation of lactic acid bacterial community in kimchi using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247-259. 

  42. So, M., M. Shin, and Y. Kim. 1996. Effects of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l starter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806-813. 

  43. Talarico, T., I. Casas, T. C. Chung, and W. Dobrogosz. 1988. Production and isolation of reuterin, a growth inhibitor produced by Lactobacillus reuteri.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2: 1854-1858. 

  44. Yang, E. J. and H. C. Chang. 2008. Antifung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276-284. 

  45. Yang, E. J. and H. C. Chang. 2010. Purification of a new antifungal compound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F1 isolated from kimchi. Int. J. Food Microbiol. 139: 56-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