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류유래 Exopolysaccharide 생성 유산균의 잠재적 Probiotic 특성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Soybean Produ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5, 2014년, pp.749 - 755  

안유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최혜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 장류에서 유산균 성상을 보이는 균주를 분리하여, TLC와 PCR을 통하여 HoPS를 우수하게 생성하는 균주 HSB15, JSA22, JSA57, JSB22, JSB66 및 JSB89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6균주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HSB15는 L. alimentarius, JSA22는 L. plantarum, JSA57은 L. pentosus, JSB22는 L. brevis, JSB66는 L. alimentarius, JSB89는 L. parabrevis로 동정되었다. 항균 활성은 6균주 중에서 JSA22가 4개의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을 나타내어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 인공위액 저항성은 HSB15, JSA22와 JSA57 균주가 70% 이상의 높은 인공위액 저항성으로 가장 우수했으며, 인공담즙 저항성은 HSB15를 제외한 5균주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며 담즙액 저항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probiotic 특성을 지닌 분리 균주의 prebiotics로써 AOS를 이용한 성장율을 관찰한 결과, 모든 분리 균주가 AOS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며 성장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특히 JSB22가 AOS 이용 성장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장류유래 probiotics를 선발하였고 AOS의 새로운 prebiotics로 활용을 검토한 바, synbiotics로 이용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opolysaccharides (EPS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food industry as viscofying, stabilizing, and emulsifying agents as well as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for their immunomodulatory, anti-tumo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 total of 458 lactic acid bacteria (LAB) strains isolated from s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6균주 모두 AOS를 첨가하지 않은 MRS 액체배지에서보다 AOS를 첨가한 MRS 액체배지에서 선택적으로 높은 성장율을 나타내었다(data not shown). 따라서 probiotic 특성을 나타내는 분리 균주가 prebiotics로써 AOS를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AOS의 새로운 prebiotics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장류에서 분리한 식물성 유산균 중 EPS 생산 유산균을 선발하여 항균 활성, 인공위액 및 인공 담즙 저항성 시험을 통하여 선발 유산균의 probiotics로써 특성 분석과 synbiotics 관점의 prebiotics로써 arabinooligosaccharides(AOS)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robiotics란? Probiotics는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안전한 미생물이고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짐으로써 위장관에서 정착하여 숙주에게 건강적 효능을 주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유산균이 대표적이다(1). 유산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탄수화물을 혐기적으로 이용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미생물로서 유제품, 육류, 채소 등 다양한 발효식품가공에 종균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식품의 보존성 향상뿐만 아니라 관능적 특성 및 영양적 가치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Exopolysaccharides는 어떤 면역학적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는가? Exopolysaccharides (EPS)는 미생물 세포벽의 일부로서 세포벽 주위에 협막을 형성하거나 세포벽 외부에 점질 형태로서 발효 중에 축적되는 미생물 다당류로 1차 또는 2차 대사산물이다(3). 최근에 EPS가 물성 증진 효과와 함께 항암(4), cholesterol 저하, 항궤양(5) 등 면역학적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면서 생리기능성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EPS가 prebiotics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6).
Prebiotics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또한 EPS가 prebiotics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6). Prebiotics는 장내 유해 균총의 증식을 억제하고 유용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시켜 장내 환경을 개선시키는데 장관 내 미생물들의 탄소원으로 사용되는 복합 당류로서 oligosaccharides, lactulose, lactosucrose, palatinose, raffinose, stachyose 및 inulin 등이 있다(7). 식품원료로 사용 가능한 prebiotics는 그 종류가 다양하지 못한 실정이며, 최근 arabino-oligosaccharide (AOS)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Otero MC, Ocana VS, Elena Nader-Macias M. 2004. Bacterial surface characteristics applied to selection of probiotic microganisms. Methods Mol Biol 268: 435-440. 

  2. Ruas-Madiedo P, Hugenholts J, Zoon P. 2002. An overview of the functionality of exopolysaccharide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Int Dairy J 12: 163-171. 

  3. Kim DJ, Lee SY. 2001. Isolation of the exopolysaccharide producing Enterobacter sp.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olysaccharide produced by this strain. Korean J Biotechnol Bioeng 16: 370-375. 

  4. Kimmel SA, Roberts RF, Ziegler GR. 1998. Optim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by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RR grown in a semidefined medium. Appl Environ Microbiol 64: 659-664. 

  5. Cerning J, Bouilanne C, Desmazeaud MJ, Landon M. 1998. Exo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tion by Streptococcus thermophilus. Biotechnol Lett 10: 255-260. 

  6. Welman AD, Maddox IS. 2003. Exopolysaccharides from lactic acid bacteria: perspectives and challenges. Trends Biotechnol 21: 269-274. 

  7. Modler H, Mckellar R, Yaguchi M. 1990. Bifidobacteria and bifidogenic factors. Can Inst Food Sci Tech J 23: 29-41. 

  8. Westphal Y, Kuhnel S, de Waard P, Hinz SW, Schols HA, Voragen AG, Gruppen H. 2010. Branched arabino-oligosaccharides isolated from sugar beet arabinan. Carbohydr Res 345: 1180-1189. 

  9. Saarela M, Mogensen G, Fonden R, Matto J, Mattila-Sandholm T. 2000. Probiotic bacteria: safety, functional and technological properties. J Biotechnol 84: 197-251. 

  10. Cho YH, Park SN, Jeong SW. 2009.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y and industrial prospects of plant-origin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Dairy Sci Technol 27: 53-57. 

  11. Gibbs BF, Zougman A, Masse R, Mulligan C. 2004.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active peptides from soy hydrolysate and soy-fermented food. Food Res Int 37: 123-131. 

  12. Ahn YS, Kim YS, Shin DH. 2006.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p. with high protease activity from traditional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82-87. 

  13. Saitou N,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s: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14. Hechard Y, Dherbomez M, Cenatiempo Y, Lettllier F. 1990. Antagonism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goats' milk against pathogenic strains assessed by the sandwich method. Lett Appl Microbiol 11: 185-188. 

  15. Kobayashi Y, Tohyama K, Terashima T. 1974.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II. Tolerance of a multiple antibiotic resistant strain, Lactobacillus casei PSR 3002, to artificial digestive fluids. Nihon Saikingaku Zasshi 29: 691-697. 

  16. Paik HD, Jung MY, Jung HY, Kim WS, Kim KT. 2002.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for oral bacteriotherapy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3-78. 

  17. Messens W, De VL. 2002. Inhibitory substances produced by Lactobacilli isolated from sourdoughs-a review. Int J Food Microbiol 72: 31-43. 

  18. Lim YS, Kim SY, Lee SK. 2008.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efir made of goat mil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82-90. 

  19. Chung WB, Seo WS, Cha JY, Cho YS. 200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sp. FF-3 for probiotics production from Korean dongchimi. Korean J Food Preserv 10: 406-410. 

  20. Kim HJ, Chang HC. 200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 196-2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