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상황 대처경험
Exposure to Workplace Violence and Coping in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4 no.4, 2018년, pp.233 - 240  

김현수 (한국사이버진흥원) ,  윤희장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곽은미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대처하고 있는 폭력상황에 대해 간호사의 관점에서 깊이 있게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폭력상황 대처방법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의미와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간호사 1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성별은 여성이 7명, 남성이 7명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은 질적연구방법인 현상학적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폭력상황으로부터의 분리, 도움 요청하기, 폭력상황의 회피, 맞서 대응하기, 참고 견디기로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폭력적인 상황을 경험하고 있는 간호사에게 대처방안을 제공하고 폭력적인 상황에 노출되기 쉬운 간호사의 환경을 개선하여 폭력상황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ssence and meaning of coping strategies of nurses by deeply understanding the violence situations coped by nurses from the viewpoint of nurses. Fourteen nurses who understood and agreed on the meaning and purpose of the stud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대처하고 있는 폭력상황에 대해 간호사의 관점에서 깊이 있게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폭력상황 대처방법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그간 여자간호사위주로 연구된 간호사의 폭력경험과 대처방식을 넘어 남자간호사와 여자간호사의 대처경험을 통합하여 이어져 오는 폭력 상황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을 폭넓게 밝혀내는데 중점을 두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간호사의 직장 내에서 발생하는 폭력상황의 대처경험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폭력상황 대처방법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밝히고 폭력 예방과 제도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폭력상황 대처방법을 밝히기 위하여 참여자의 경험이 의미하는 본질을 파악하는데 가치를 두는 Colaizzi[14]의 분석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대처하고 있는 폭력상황에 대해 간호사의 관점에서 깊이 있게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폭력상황 대처방법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그간 여자간호사위주로 연구된 간호사의 폭력경험과 대처방식을 넘어 남자간호사와 여자간호사의 대처경험을 통합하여 이어져 오는 폭력 상황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을 폭넓게 밝혀내는데 중점을 두었다.
  • 본 연구의 결과는 폭력적인 상황을 경험하고 있는 간호사에게 대처방안을 제공하고 폭력적인 상황에 노출되기 쉬운 간호사의 환경을 개선하여 폭력상황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제한된 지역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편의표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기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간호사의 직장 내에서 발생하는 폭력상황의 대처경험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폭력상황 대처방법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밝히고 폭력 예방과 제도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폭력에 노출되어 그 상황을 대처해 본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장 내 폭력경험의 대처방안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보면서 폭력발생에 기여한 부분이 있는가 살피고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이전의 폭력경험을 돌이켜 보면서 자신에게 폭력을 행한 가해자처럼 되지 않기 위해 점검하고 다짐하였다.
  • 참여 대상자들은 폭력적인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주변의 남자간호사 등의 동료들에게 즉시 도움을 요청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들이 겪는 문제는 무엇인가?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들은 불안, 우울, 분노와 같은 부정적 감정을 느끼게 되는 동시에 대인관계의 변화, 사소한 일에도 깜짝 놀람, 악몽을 꾸는 등 사회적, 정서적, 신체 생리적 후유증을 겪고 있다[6]. 이러한 문제는 환자 건강 및 조직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간호사 개인의 문제로 치부하기 어려우며 정확한조사와 관리가 필요하다.
직장 내 폭력은 무엇인가? 직장 내 폭력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직장 내 폭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1]. 직장 내 폭력은 개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이며 조직의 효율성과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므로[2]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폭력은 의료기관 내 널리 퍼져 있으며 그 중 주 피해자는 간호사로 나타나고 있다[3].
의료인들 간의 폭력에 대한 간호사의 대처방식은? 1%는 보호자나 환자에게서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11]. 이러한 폭력에 대한 대처방식은 매우 소극적이거나 피해상황을 보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12,13]. 그러나 폭력상황을 겪은 간호사의 대처에 대한 본질을 파악할 수 있는 질적 연구는 부족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Wolfgang, S. (2010). Violence society. (H.W.Lee, Trans). Seoul: Purunsoop.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2. Roche, M., Diers, D., Duffield, C., & Catling-Paull, C. (2010). Violence toward nurses, the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outcom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2(1), 13-22. 

  3. Hoff, L. A., & Slatin, C. (2006). Workplace health and safety: Report of PHASE/MNA focus groups. Massachusetts Nurse, 77(8), 6. 

  4. Choi, S. H., & Lee, H. (2017). Workplace violence against nurses in Korea and its impact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5(7), 508-518. 

  5. Kwok, R. P. W., Law, Y. K., Li, K. E., Ng, Y. C., Cheung, M. H., Fung, V. K. P., Kwok, K. T. T., Tong, J. M. K., Yen, P. F., & Leung, W. C. (2006). Prevalence of workplace violence against nurses in Hong Kong. Hong Kong Medical Journal. 12(1), 6-9. 

  6. Needham, I., Abderhalden, C., Halfens, R. J., Fischer, J. E., & Dassen, T. (2005). Non-somatic effects of patient aggression on nurs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9(3), 283-296. 

  7. Yang, J. H., & Jung, H. Y. (2009).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response, coping, and burnout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103-111. 

  8. Cho, J. Y., Lee, Y. W., Kim, H. S., & Kim, S. H. (2011). Relationships among response for violence experience, hardin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5), 494-502. 

  9. Park, H. J., Kang, H. S., Kim, K. H., & Kwon, H. J. (2011). Exposure to workplace violence and coping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3), 291-301. 

  10. Roh, Y. H., & Yoo, Y. S. (2012). Workplace violence,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perioperative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5), 489-498. 

  11. Kim, S. Y., Eom, M., Oh, H. Y., & Ahn, H. Y. (2007). Violence episodes and responses of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4), 446-456. 

  12. Lanza, M. L. (1992). Nurses as patient assault victims: An update, synthesis, and recommendations.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6(3), 163-171. 

  13. Jung, H. J., & Lee, Y. S. (2011). Nurses's experiences of verbal abuse in hospital setting. Korea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6(2), 118-126. 

  14.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5. Kim, Y. M., & Kim, S. N. (2016). The convergence study of Experience of Turnover in new graduate nurses within one yea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4), 97-106. 

  16. Park, H. J., Kang, H. S., Kim, K. H., & Kwon, H. J. (2011). Exposure to workplace violence and coping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3), 291-301. 

  17. Hong, M, J. (2009). A Study on Nurses' Experiences of Viol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18. Kwon, H. J., Kim, H. S., Choe, K. S., Lee, K. S., & Sung, Y. H. (2007).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d at medical cent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2), 113-124. 

  19. Kang, M. J., & Park, I. S. (2015). Types of Violence and Coping Methods Experienced by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92-104. 

  20. Cho, Y. H., Hong, Y. R., Lee, A. M., Kim, M. K., Lee, H. J., Han, A. K., & Kim, E. J. (2011). Experience of verbal abuse, emotional response, and ways to deal with verbal abuse against nurses in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 ational Health Nursing, 20(3), 270-2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