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대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수준과 그의 관련요인
Self-Perceived Psychosocial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6, 2013년, pp.2828 - 2838  

이명준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수준을 파악하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5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2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를 사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독립변수로 학생들의 개인 및 가정생활특성, 학교생활 특성 및 건강관련행위 특성을 조사하였고, 종속변수로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수준, 불안수준 및 우울수준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대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고위험 스트레스는 22.7%, 불안은 15.6%, 우울은 22.1%로 나타났으며, 이들에 관련된 요인으로는 성별, 가정의 경제상태, 가정생활의 만족도, 학교성적, 교우관계,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 주관적인 수면의질 및 주관적인 건강상태 등을 지적할 수 있었다. 특히,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는 개인 및 가정생활 특성 변수가, 불안 및 우울에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개인 및 가정생활 특성이나 학교생활 특성 외에도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요인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psychosocial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reveal its related factors. The survey was filled out by 551 students from Daejon City from April 1, 2012 to July 30, 2012.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qu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가정생활 특성, 학교생활 특성 및 건강관련행위 특성에 따른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수준을 평가하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해 보고, 개인의 속성 및 가정생활 특성, 학교생활 특성 및 건강관련행위 특성 등의 제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PWI), 불안 (SAS) 및 우울(SDS)수준의 측정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높은 신뢰도 값을 보여 연구결과의 신뢰성에서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의 시기에 겪는 다양한 스트레스의 원인은? 대학생의 시기는 독립적인 가치관의 확립,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응, 학업문제, 진로 및 취업에 관한 선택과 책임, 대인관계, 경제적 능력의 불균형 등으로 인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문제들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적응을 요구하게 되어 이로 인해 신체적으로 심리적으로 부정적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심신의 부조화 및 부정호소를 유발하는 현 시대 대학생들에게 놓인 상황은? 최근 경제 불황으로 등록금 문제나 대졸자의 취업난이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한 상황에서 대학생들에게 경제적인 문제, 진로 문제는 더욱 절실하고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반값 등록금을 외쳐야 하고 학업 외 경제활동 참여, 신용불량자, 취업대란, 확신할 수 없는 미래 등은 현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사회 대학생들의 현실이다[1]. 이 같은 어려운 대학생활에 효과적으로 적응하지 못한데 기인한 심신의 부조화 및 부정호소 등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그들의 정신적 건강상태를 측정 평가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스트레스가 쌓인 사람이 겪는 어려움은? 스트레스는 외부의 위협적인 상황에 처한 경우, 개인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반응능력의 수준을 넘어서거나, 각 개인들의 안정된 자원에 위협을 가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심리적․상황적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개인의 사회 심리적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2]. 스트레스가 쌓인 사람은 자아기능이 저하되고 적응능력에 제한을 받아 자연히 자아방어 능력이 소실, 감소되어 평상시에 갈등이 더욱 강렬해져서 그 결과 불안, 분노, 무력감 및 수치심이 따르게 되고 공상이나 허담증이 늘어 점차로 퇴행현상을 초래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im MK. Relationship of depression and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effects of negative emotion and social adapta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12):101-129, 2011. 

  2. Lee JH. The validity evaluation about the mental health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service and measured stress variables. Korea Productivity Center, 137-141, 1993. 

  3. Lee JG. The third Pacific Rim College of Psychiatrists Scientific Meeting. Korean Academy of Psychiatry, 174-190, 1984. 

  4. Kwag EJ. A study about depression and anxiety in high school students in urban area.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3. 

  5. You BG. An effect of stress, self-esteem on college students' anxiet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 Psychotherapy, 1(1):33-34, 2010. 

  6. Eisenberg L. A research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promotion of mental health and prevention of mental illness. Public Health Report, 96:3-19, 1981. 

  7. Lim MH, Jo SC, Back GC, Lee GG, Kim HW, Hong K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ospitalized affective disorder in children. Kore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1(2):209-220, 2000. 

  8. Kim EJ, Oh GJ.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epressive symptoms viewed from development perspective. Kore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1)117-128, 1992. 

  9. Choi MK. The relation between subjective symptoms, depression and coping skill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3):433-439, 2003. 

  10. Kim SK. Stress in freshman adjusting to colleg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0(2):215-237, 2003. 

  11. Lee SJ, You JH.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and career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22(3):589-607, 2008. 

  12. Suh KH, Oh KH. The moderate effect of stress on life expectancy, health, and satisfaction on life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4(3):633-648, 2009. 

  13. Kim SH. The relationship of student's career-related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maturity), Graduate Schoo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1. 

  14. Song KS.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nxiety and ego-identity on career decision. Graduate School of Kunkuk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3. 

  15. Joo MJ, Kim JN. The effects of anxiety and career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on preparation for the future.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27:157-174, 2011. 

  16. Park SO, Kwon JI. Irrational beliefs and depressed youth. Journal of Student Life Research, 3:73-87, 2000. 

  17. Kim SJ.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lbeing,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4. 

  18. Hong JY. How the university students' stress affects their depression. Graduate School of Yeungnam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5. 

  19. WHO.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Australia,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td, 2000 

  20. Goldberg D. Manual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Nfer-Nelson, 1978. 

  21. Chang SJ. Health Statistics data collection and standardization research of measured stress. 92-143, 2000. 

  22. Zung WWK. A rating instrument for anxiety disorders. Psychosomatics, 12:371-379, 1971. 

  23. Song IS. Influence of life style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statu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2. 

  24. Zung WWK.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 Gen Psychiatry, 12: 63-70, 1965. DOI: http://dx.doi.org/10.1001/archpsyc.1965.01720310065008 

  25. Lee HJ. The effects of snacks and drinking on the stress level of college studen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ngj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0. 

  26. Lee HJ.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elf esteem, and self control of high school students in an urban c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6. 

  27. Lee JY. The evaluation of subjective symptoms depending on the routine daily life on the stress and fatigue of most high-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3. 

  28. Chang SJ, Koh SB, Kang MG, et al. Epidemiology of psychosocial distress in Korean employees. Korean J Prev Med, 38(1):25-37, 2005. 

  29. Wie H.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tress o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4(2):129-138, 2005. 

  30. Gu J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focus on self-efficacy and solutions. Graduate School of Jung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0. 

  31. Joo JP, Min BI, Park SG. Stress and solutions for most college students. Korean Stress Research, 9(2):41-49, 2001. 

  32. Lee HS. The checklist production research of diagnosing and solving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Student Life Research, Ewha Woman University, 25:42-103, 1989. 

  33. Yoon BS, Jung BG. A study about causes of stress, level and symptoms of Yeungnam University students. The Yeungnam University Student Life Research Center, Journal of Student Research, 30(1):27-57,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