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파엽약침이 고지방식이 유발 비만 생쥐의 국소부위지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icacy of Eriobotryae Folium Pharmacopuncture on Local Fat of High Fat Diet Induced Obesity Mice 원문보기

The acupuncture = 대한침구의학회지, v.30 no.3, 2013년, pp.15 - 25  

노성수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약리학교실) ,  김재수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의학교실) ,  임성철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s in local area adipose tissue using by pharmacopuncture of Eriobotryae Folium on mice fed high fat diet. Methods : Male ICR mous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diet group (N), High-fat diet(HFD) group, HFD+E(pharm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 국소비만에 미치는 비파엽약침에 대한 연구보고가 없어, 이에 본 연구자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생쥐에서 비파엽을 이용하여 약침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 생쥐를 이용하여 in vivo 약리효능을 연구하여 국소부위 항비만 효과를 연구하여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현재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식습관 개선, 운동요법, 약물치료, 약침요법, 지방흡입술, 위 절제술과 같은 수술요법이 있으나 주로 행해지는 약물치료법은 현재 사용 가능한 비만치료 약물이 fluoxetine, orlistat, sibutramine, rimonabant 등 소수에 불과하고 장기 사용에 따른 약물의 부작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부작용이 없고 효과적이면서 안전한 천연 한약재로 비만치료법 중 하나인 약침요법을 통해 국소부위 지방 조직을 유의성 있게 경감시킬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7-9)
  • 이중 약물요법은 빠른 시간 내에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약물 부작용이란 추가적인 고통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비만 약물요법으로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 한약재를 이용하여 치료법 중 하나인 약침요법을 통해 국소부위 지방 조직을 유의성 있게 경감시킬 수 있는 항비만 효과를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의 주된 원인은? 비만은 건강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비정상적인 또는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것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이는 에너지 섭취와 에너지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한 체지방 축적이 주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경제수준의 향상, 서구적인 식습관, 과도한 스트레스, 운동 부족, 음주등으로 인해 비만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비만이란? 비만은 섭취에너지가 소비에너지보다 많아 체내의 지방 조직이 과도하게 축적된 에너지 대사의 불균형 상태를 의미하며 WHO1)가 정의한 body mass index(이하 BMI) 지수가 25 이상이면 과체중,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한다. 비만은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고지혈증, 지방간, 근골격계 장애와 같은 대사성 질병과 같은 개인적인 건강장애는 물론이고 사회 ‧ 경제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유발한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현재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식습관 개선, 운동요법, 약물치료, 약침요법, 지방흡입술, 위 절제술과 같은 수술요법이 있으나 주로 행해지는 약물치료법은 현재 사용 가능한 비만치료 약물이 fluoxetine, orlistat, sibutramine, rimonabant 등 소수에 불과하고 장기 사용에 따른 약물의 부작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부작용이 없고 효과적이면서 안전한 천연 한약재로 비만치료법 중 하나인 약침요법을 통해 국소부위 지방 조직을 유의성 있게 경감시킬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Son Y, Nam JS, Jang MK, Jung IA, Cho SI, Jung MH. Antiobesity Activity of Vigna nakashimae Extract i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Biosci Biotechnol Biochem. 2013 ; 77(2) : 332-8. 

  2. WHO.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 fs311/en 

  3. Parsi MA. Obesity and cholangiocarcinoma. World J Gastroenterol. 2013 ; 19(4) : 457-62. 

  4. Rtveladze K, Marsh T, Barquera S et al. Obesity prevalence in Mexico: impact on health and economic burden. Public Health Nutr. 2013 ; Feb 1 : 1-7. 

  5. Fantasia HC. New developments in the pharmacologic treatment of obesity. Nurs Womens Health. 2013 ; 17(1) : 53-62.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besity rate of South Korea. 2012. 

  7. Padwal RS, Majumdar SR. Drug treatments for obesity: orlistat, sibutramine, and rimonabant. Lancet. 2007 ; 369(9555) : 71-7. 

  8. Filippatos TD, Derdemezis CS, Gazi IF, Nakou ES, Mikhailidis DP, Elisaf MS. Orlistat- associated adverse effects and drug interactions : a critical review. Drug Saf. 2008 ; 31(1) : 53-65. 

  9. Feng XM, Xiong J, Qin H et al. Fluoxetine induces hepatic lipid accumulation via both promotion of the SREBP1c-related lipogenesis and reduction of lipolysis in primary mouse hepatocytes. CNS Neurosci Ther. 2012 ; 18(12) : 974-80. 

  10. http://www.kfda.go.kr/herbmed/index.do?nMenu Code7&codeKHP-050&includeUrl/herbmed/ view.jsp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tergrated services of Herb medicine/ Information of Herb medicine/DB searching of Herb medicine] 

  11. Herbal Pharmacology Text Compilation Committee. Herbal Pharmacology. Shin-il Books. 2010 : 295-6. 

  12. Lee SI. Herbal medicine. Seoul : Su-seo-won. 1981 : 340-1, 513-4. 

  13. Yook CS, Kim SM, Jung JM, Jung MS, Kim JH, Kim SB. Pharmacological action . Component . Clinical Application of Herbal Medicine. Seoul : Gye-Chuk company. 1992 : 885-6. 

  14. Chen J, Li WJ, Wu JL, Ren BR, Zhang HQ. Hypoglycemic effects of a sesquiterpene glycoside isolated freom leave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THUNB.) indl.). Phytomedicine. 2008 ; 15(1-2) : 98-102. 

  15. Hong Y, Lin S, Jing Y, Ashraf M. Variation in contents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the leaves of 11 Eriobotrya species. Plant Foods Hum Nutr. 2008 ; 63(4) : 200-4. 

  16. Ito H, Kobayashi E, Li SH et al. Antitumor activity of compounds isolated from leaves of Eriobotrya japonica. J Agric Food Chem. 2002 ; 50(8) : 2400-3. 

  17. Banno N, Akihisa T, Tokuda H et al. Antiinflammatiory and antitumor-promoting effect of the triterpene acid from the leaves of Eriobotrya japonica. Biol Pharm Bull. 2005 ; 28(10) : 1995-9. 

  18. Park CG, Bang KH, Lee SE. Antibacterial Activity from Medicinal plant extracts on the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our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01 ; 9(4) : 251-8. 

  19. Bae YI, Chung YC, Shim KH.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act from different parts of loquat(Eriobotrya japonica Lindl.). Korean J Food Preservation. 2002 ; 9(1) : 97-101. 

  20. Jeong YS, Jung HK, Youn KS, Kim MS, Hong JS. 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Hot Water Extract from Eriobotrya japonica Lind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 38(8) : 977-82. 

  21. Kim AR, Hwang YK, Lee JJ, Jung HO, Lee MR.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oquat) Leaf Ethanol Extract on Cholesterol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Rats Fed a High-Fat/ High-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1 ; 40(5) : 673-81. 

  22. Kim MK, Han K, Kwon HS et al. Normal-weight obesity in Korean adults. Clin Endocrinol Oxf. 2013 ; 10.1111/cen.12162. 

  23. Mi Jung Park. Recent Advances in Regulating Energy Homeostasis and Obesity.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5 ; 48(2) : 126-37. 

  24. Kim HC. Studies on the effects eriobotrya japonica on the pancreatic endocrine cells in the diabetic rats[dissertation]. Seoul: Dongkuk University. 1993. Korean. 

  25. Park HS. Effects of Eriobotryae Folium(EF) on Gene Expression in Human HaCaT keratinocyte. 2009 : 1, 40. 

  26. Shih CC, Lin CH, Wu JB. Eriobotrya japonica improves hyperlipidemia and reverses insulin resistance in high-fat-fed mice. Phytotherapy Research. 2010 ; 24(12) : 1769-80. 

  27. Oh J, Min OJ, Kim HA, Kim YJ, Baek HY, Rhyu DY.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on Adipogenesis and Body Weigh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11 ; 54(3) : 382-7. 

  28. Herbal medicene compilation committee of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Herbal medicine. Seoul : Yong-lim company. 2004 : 509-10. 

  29. Cha JT. Anti-asthmatic acivities of leaces of Eribotrya japonica lindley in a mouse model of allergic asthma. 2012 : 37-8. 

  30. Bjorntorp P. The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adipose tissue distribution and disease. Acta Med Scand. 1988 ; 723 : 121-34. 

  31. Plaa GL, Charbonneau M. Detec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ly induced liver injury. In Principles and Methods of Toxicology. New York : Hayes AW ed, Raven Press. 1994 ; 839-70. 

  32. Park BS. Effect of the Feeding Belly Fat on Plasma Lipids Levels in Ra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004 ; 24(2) : 189-97. 

  33. Rosenfeld L. Lipoprotein analysis. Arch pathol Lab. 1989 ; 113 : 1101-10. 

  34. Schulze MB, Rimm EB, Shai I, Rifai N, Hu FB. Relationship Between Adiponectin and Glycemic Control, Blood Lipids, and Inflammatory Markers in Men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4 ; 27(7) : 1680-7. 

  35. Schulze MB, Shai I, Rimm EB, Li T, Rifai N, Hu FB. Adiponectin and Future Coronary Heart Disease Events Among Men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Februrary. 2005 ; 54(2) : 534-9. 

  36. David J Mela. Food, diet and abecity. Hanmi medicine. 2007 : 13-25. 

  37. Jiyoung Park, Jae Bum Kim. Molecular Insights into Fat Cell Differentiation and Functional Roles of Adipocytokines. Jourmal of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2002 ; 17(1) : 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