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우리나라 성인의 걷기운동과 삶의 질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exercise and Quality of Life for Korean Adults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5, 2013년, pp.325 - 334  

장영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김소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김유숙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정선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박종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 지역 성인을 대상으로 걷기운동 정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제4기 3차년도(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피조사자들 중, 신체활동 설문과 EQ-5D의 5개차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 답을 하지 않은 723명을 제외한, 도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남자 3,892명, 여자 3,959명을 포함한 총 성인인구 7,8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은 성별,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월평균소득, 스트레스, 만성질환 수, 건강인식 그리고 걷기운동실천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 특히 걷기운동 실천을 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삶의 질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신체 활동을 통한 삶의 질이 비활동군에 비해서 고강도 or 중등도 보다는 걷기운동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걷기운동을 할 경우에 건강에 따른 삶의 질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확인된 내용을 토대로 이들에 필요한 정책적인 지원과 규칙적인 걷기 운동을 통한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is to observe a degree of 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a degree of walking exercise for adult residents of cities of Korea. From data of the 4th round 3rd-year Korea National Health and Examination Survey, 7,851 in which 3,892 were male residents and 3,959 females, were selected a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 지역 성인을 대상으로 걷기운동 정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제4기 3차년도(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피조사자들 중, 신체활동 설문과 EQ-5D의 5개 차원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 답을 하지 않은 723명을 제외한, 도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남자 3,892명, 여자 3,959명을 포함한 총 성인인구 7,8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우리나라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연구에서 신체활동 수준과 삶의 질과의 연관성은 일부 연구되어있지만 걷기운동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형 삶의 질 가중치 모형을 바탕으로 걷기운동과 삶의 질의 관련성을 평가하고 분석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의 개념도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삶의 질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이유는? 사회적 경제적인 환경이 과거에 비해서 많이 개선되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만성질환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단순히 생명을 유지하는 것보다는 어떠한 삶을 영위하느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건강의 개념도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삶의 질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무엇으로 인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게 되었는가? 사회적 경제적인 환경이 과거에 비해서 많이 개선되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만성질환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단순히 생명을 유지하는 것보다는 어떠한 삶을 영위하느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무엇이 증가하는 추세인가? 사회적 경제적인 환경이 과거에 비해서 많이 개선되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만성질환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단순히 생명을 유지하는 것보다는 어떠한 삶을 영위하느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