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재발예방을 위한 생활양식조절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The Lifestyle Modification Coaching Program for Secondary Stroke Preven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3, 2013년, pp.331 - 340  

김희정 (백석대학교 간호학과) ,  김옥수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ifestyle modification coaching program on self efficacy, lifestyle and physiologic indexes related to the recurrence of stroke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Sixty-one patients with stroke registered with a stroke center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프로그램은 주 1회씩 총 8주간의 전화 코칭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선행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8주간의 교육 및 지지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혈압, 혈중지질 및 체지방률이 유의하게 감소시킨 연구결과(Bak, 2003) 및 뇌졸중 위험군을 대상으로 8주간의 교육 및 지지 프로그램을 통해 혈압 및 혈중지질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연구 결과(Oak, 2007)를 근거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리적 지표의 변화를 최종 효과로 검증하기 위하여 총 8주간의 코칭 프로그램이 계획되었다.
  • 본 연구는 뇌졸중 재발예방을 위한 생활양식조절 코칭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 뇌졸중 재발관련 생활양식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뇌졸중 재발예방을 위한 생활양식조절 코칭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 음주, 흡연, 신체활동, 체질량지수, 허리-엉덩이 둘레, 혈중 콜레스테롤, 혈압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8주간의 생활양식조절 코칭 프로그램은 신체활동량을 향상시키고, 복부비만 및 혈압을 저하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생활양식조절 코칭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 뇌졸중 재발관련 생활양식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설계이다(Table 1).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재발예방을 위한 생활양식조절 코칭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 뇌졸중 재발관련 생활양식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의 재발예방을 위한 생활양식조절을 목표로 문헌 고찰에 근거하여 뇌졸중 재발 위험요인 및 조절해야 할 생활양식(음주, 흡연, 식이, 신체활동)에 관한 면대면 교육 1회와 생활양식의 긍정적 변화를 위한 8주간의 전화 코칭 프로그램을 위하여 계획되었다.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 관련 자기효능감 도구를 사용하여 자기효능을 측정한 선행 연구에서는 중재 프로그램 실시 후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Bak, 2003). 이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뇌졸중 재발방지를 위한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대한 내용을 기초로 개발한 것으로, 교육내용과 관련된 뇌졸중 관리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중재 후 즉각적으로 향상된 자기효능감을 보고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 재발관련 생활양식 및 생리적 지표를 개선시키기 위해 생활양식조절 코칭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 혈압 및 혈중지질 조절을 위한 식이의 중요성을 교육하였다. 식이는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기록된 내용은 영양평가용 소프트웨어인 CAN pro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절가능한 가역적 위험인자로 무엇이 있는가? 조절가능한 가역적 위험인자로 혈압, 혈중지질 등이 있다. 고혈압은 뇌졸중 환자의 약 77%의 선행 질병으로 뇌졸중 재발에 영향을 주며(Thom et al.
뇌졸중 재발 위험요인은 조절가능성의 여부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뇌졸중 재발 위험요인은 조절가능성의 여부에 따라 비가역적 위험요인과 가역적 위험요인으로 분류된다. 미국뇌졸중협회(NSA, 2005)는 뇌졸중 위험요인 중 가역적 위험요인을 예방하는 것으로 뇌졸중 발병을 80%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어, 뇌졸중의 가역적 위험요인 조절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뇌졸중 환자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이처럼 뇌졸중 환자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험요인의 조절이 필요한데, 이는 대체로 개인의 생활양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경우 약물 복용 뿐 아니라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조절하기 위한 음주, 흡연, 식이 및 신체활동을 포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재발 예방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 K. (2003). The effects of the stroke secondary prevention program on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and the health risk indicators of the inhouse stroke patients. Unpubl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 Byers, A. M., Lamanna, L., & Rosenberg, A. (2010). The effect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after ischemic stroke on patient knowledge and patient satisfaction with care: A pilot study.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42(6), 312-322. 

  3. Cahalan, D., Roizen, R., & Room, R. (1976). Alcohol problems and their prevention: Public attitudes in California. In R. Room & S. Sheffield (Eds.), The prevention of alcohol problems: Report of a conference (pp. 354-404). Sacramento, CA: California State Office of Alcoholism. 

  4.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5. Friedewald, W. T., Levy, R. I., & Fredrickson, D. 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ical Chemistry, 18(6), 499-502. 

  6. Furie, K. L., Kasner, S. E., Adams, R. J., Albers, G. W., Bush, R. L., Fagan, S. C., et al. (2011).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stroke in patients with stroke or transient ischemic attack: A guideline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42(1), 227-276. http://dx.doi.org/10.1161/STR.0b013e3181f7d043 

  7. Holmes-Rovner, M., Stommel, M., Corser, W. D., Olomu, A., Holtrop, J. S., Siddiqi, A., et al. (2008). Does outpatient telephone coaching add to hospital quality improvement following hospitalization for acute coronary syndrom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3(9), 1464-1470. http://dx.doi.org/10.1007/s11606-008-0710-1 

  8. Jeon, H. O., & Kim, O. S. (2011). The effects of an internet based coaching program for obesity management in hypertensive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2), 146-159. 

  9. Kim, C. G., & Park, H. A.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web based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econdary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1), 47-60. http://dx.doi.org/10.4040/jkan.2011.41.1.47 

  10. Ko, Y. C., Park, J. H., Kim, W. J., Yang, M. H., Kwon, O. K., Oh, C. W., et al. (2009). The long-term incidence of recurrent stroke: Single hospitalbased cohort study.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7(2), 110-115. 

  11. Kono, Y., Yamada, S., Kamisaka, K., Araki, A., Fujioka, Y., Yasui, K., et al. (2011). Recurrence risk after noncardioembolic mild ischemic stroke in a Japanese population. Cerebrovascular Diseases, 31(4), 365-372. http://dx.doi.org/10.1159/000323233 

  12.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Author. 

  13. Korean Stroke Society. (2005). Patient education brochure. Retrieved July 24, 2010, from http://www.stroke.or.kr 

  14. Lawes, C. M., Bennett, D. A., Feigin, V. L., & Rodgers, A. (2004). Blood pressure and stroke: An overview of published reviews. Stroke, 35(3), 776-785. http://dx.doi.org/10.1161/01.str.0000116869.64771.5a 

  15. Lindner, H., Menzies, D., Kelly, J., Taylor, S., & Shearer, M. (2003). Coaching for behaviour change in chronic diseas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 implications for coaching as a self-management intervention. Australian Journal of Primary Health, 9(3), 177-185. http://dx.doi.org/10.10 71/PY03044 

  16.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2002).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Circulation, 106(25), 3143-3421. 

  17. National Stroke Association. (2005). Stroke risk scorecard. Retrieved July 25, 2010, from http://www.stroke.org 

  18. National Stroke Association. (2007). Hope: The stroke recovery guide. Retrieved July 25, 2010, from http://www.stroke.org 

  19. National Stroke Association. (2009). Secondary stroke fact sheet. Retrieved July 25, 2010, from http://www.stroke.org 

  20. Oak, J. W. (2007). Effects of prim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on self-efficacy, self-care compliance and risk indicators of the stroke high risk group. Unpubl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1. Oh, J. Y., Yang, Y. J., Kim, B. S., & Kang, J. H. (2007).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short form.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8(7), 532-541. 

  22. Plutzky, J., & Ridker, P. M. (2001). Statins for stroke: The second story? Circulation, 103(3), 348-350. 

  23. Rahilly-Tierney, C. R., Lawler, E. V., Scranton, R. E., & Gaziano, J. M. (2009). Cardiovascular benefit of magnitude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reduction: A comparison of subgroups by age. Circulation, 120(15), 1491-1497.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8.846931 

  24.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 663-671. http://dx.doi.org/10.2466/pr0.1982.51.2.663 

  25. Sit, J. W., Yip, V. Y., Ko, S. K., Gun, A. P., & Lee, J. S. (2007). A quasi-experimental study on a community-based stroke prevention programme for clients with minor strok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2), 272-281.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5.01522.x 

  26. Statistics Korea. (2011). 2010 social indicators in Korea: Death rate by chronic diseases. Daejeon: Author. 

  27. Thom, T., Haase, N., Rosamond, W., Howard, V. J., Rumsfeld, J., Manolio, T., et al. (2006).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06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Statistics Committee and Stroke Statistics Subcommittee. Circulation, 113(6), e85-e151.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5.171600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0).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00. Washington, DC: Author. 

  29. Vale, M. J., Jelinek, M. V., Best, J. D., Dart, A. M., Grigg, L. E., Hare, D. L., et al. (2003). Coaching patients on achieving cardiovascular health (COACH): A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3(22), 2775-2783. http://dx.doi.org/10.1001/archinte.163.22.2775 

  30. Vale, M. J., Jelinek, M. V., Best, J. D., & Santamaria, J. D. (2002). Coaching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to achieve the target cholesterol: A method to bridge the gap between evidence-based medicine and the "real world"-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5(3), 245-252. 

  31. Yatsuya, H., Folsom, A. R., Yamagishi, K., North, K. E., Brancati, F. L., & Stevens, J. (2010). Race-and sex-specific associations of obesity measures with ischemic stroke incidence in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ARIC) study. Stroke, 41(3), 417-425. http://dx.doi.org/10.1161/strokeaha.109.5662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