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18 no.2, 2013년, pp.81 - 103
문승권 (다산경영정보연구원) , 이윤석 (남서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This study is to research cost accounting practice and to analyze propriety of patients' medical payment in artificiality kidney center. The researched cost datum of the year 2012 are as follows. - Hemodialysis medical treatment was reimbursed as much as 158,001 won in case of health insured patien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우리나라의 의료기관 진료비 지불방식은 무엇인가? | 우리나라의 국민건강보험제도 하에서 의료기관 진료비 지불방식은 행위별수가제(Fee for Service)의 수가계약제로서 의료행위에 대한 상대가치와 환산지수를 곱하여 산정되는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1977년에 전국민건강보험제도가 실시된 이후 1999년까지는 수가고시제에 의한 행위별수가가 점수 또는 금액으로 정부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2000년 이후에는 국민건강보험업의 규정에 따라 의료공급자 단체의 대표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이 환산지수의 값을 협의, 계약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 |
혈액투석수가의 구성은 무엇인가? | 건강보험에서의 혈액투석수가의 요소는 기본행위료, 필수 사용재료, 약제료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행위료는 보건복지부 고시에 의한 건강보험 행위 급여ᆞ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의 분류번호 자-702에서 1회당 상대가치점수로 표시된다. | |
혈액투석수가에 대한 문제점은 무엇인가? | 첫째, 기본투석 원가 140,522원(투석액, 약제비, 검사료, 조혈자극제인 Epo 투여비는 제외)에 비해 혈액투석관련 의료수가는 1회당 인공신장투석이 56,800원, 투석시 사용된 재료비 33,900원(투석액, 약제비, 검사료, 조혈자극제인 Epo 투여비는 제외)으로 상대적으로 너무 낮은 편이다. 둘째, 각 의료기관에서 실제 지급 받은 진료비는 45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회당 평균 144,025원으로 산출되어 투석 1회당 136,000원의 가격은 기본 투석원가보다 낮아 실질적인 수가 인하의 결과가 된다. 셋째, 2000년 말 기준으로 혈액투석 환자 중 의료급여환자는 45%를 차지하고 있다. 지역별로 편차는 있지만 각 의료기관별 의료급여환자 비율은 1차 의료기관의 경우 약 65% 수준이다. 하지만 지방의 경우 약 90%가 의료급여 환자이며, 종합병원은 20~30% 수준이다. |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