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감염 예방을 위한 인공신장실 의료 환경에 대한 고찰 - 근거 기반의 디자인 중심으로
A Review of Renal Dialysis Unit Environment for Infection Prevention - Focused on Evidence Based Design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4 no.3, 2018년, pp.49 - 57  

한수하 (Department of Nursing, Soon Chun Hyang University) ,  윤형진 (Department of Architecture, Dong Seou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increase in patients requiring hemodialysis has resulted in an increase dialysis-associated infections risk. but there are no Renal Dialysis unit design standard meet specified safety and quality standards. Therefore, appropriate Establish standards and legal regulation is important fo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러한 경험은 인공신장실 내 감염 예방과 전파 위험 차단을 위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교훈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감염예방을 위한 인공신장실의 의료환경 조성 시 고려해야 할 시설 기준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신장실 내 감염예방과 전파 위험 차단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신장기능의 감소가 진행하여 말기 신부전에 이르게 되면 더 이상 보존적인 치료만으로는 환자의 생명유지가 어렵게 되어 혈액투석, 복막투석, 또는 신장 이식의 신대체 요법이 필요하며(Lee & Oh, 2014), 인공신장실에서 투석(dialysis)을 받게 된다.보통 주 3회, 1회당 최소 4시간 이상 인공신장실에 머물러 유지 혈액투석치료(maintenance hemodialysis treatment)를 받아야 하는데(Lacson & Brunelli, 2011), 말기 신부전 환자의 경우 면역력의 감소로 감염에 이환되기 쉽기 때문에 인공신장실 내 감염예방과 전파 위험 차단은 매우 중요하다(Lee,2015).
투석실내 감염자 발생 시 대량의 밀접접촉자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투석환자의 경우 MERS와 같은 호흡기 감염질환이 유행할 경우에도 유지 혈액투석치료가 시행되어야 하므로 자택격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현행 의료법 시행규칙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현재 의료법 시행규칙은 의원·병원·종합병원 등 의료기관의 종별에 따라 입원실·중환자실·수술실·응급실 등의 시설기준을 정하고 있지만 인공신장실에 대한 기준은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SSOCIATION FOR PROFESSIONALS IN INFECTION CONTROL AND EPIDEMIOLOGY, 2010, Guide to the Elimination of Infections in Hemodialysis [Internet]. [cited 2018 July15]. Available from: https://apic.org/Resource_/EliminationGuideForm/7966d850-0c5a-48ae-9090-a1da00bcf988/File/APIC-Hemodialysis.pdf 

  2. Assiri A; McGeer A. et al, Hospital Outbreak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Engl J Med. 2013 August 1; 369(5): 407-416.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ialysis-Related Outbreaks [Internet]. [cited 2018 July15].Available from: https://www.cdc.gov/dialysis/reports-news/outbreaks.html 

  4. Marcelli D ; Marelli C ; Richards N, Influenza A(H1N1)v pandemic in the dialysis population: first wave results from an international survey. Nephrol Dial Transplant. 2009; 24: 3566-3572. 

  5. ESRD Registry Committe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18, Current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cited 2018 July15]. Available from: http://www.ksn.or.kr 

  6. Eleftheriadis T, Liakopoulos V, Leivaditis K, Antoniadi G, Stefanidis I. Infections in hemodialysis: a concise review - Part 1: bacteremia and respiratory infections. Hippokratia. 2011;15(1):12-17. 

  7. Eleftheriadis T, Liakopoulos V, Leivaditis K, Antoniadi G, Stefanidis I. Infections in hemodialysis: a concise review. Part II: blood transmitted viral infections. Hippokratia. 2011;15(2):120-126. 

  8. Eom, Joong Sik, Facilities and construction in hospitals for infection control. J Korean Med Assoc. 2018 Jan;61(1):36-42. 

  9.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Schemes for reform of infectious disease preparedness and response in Korea. [place unknown]: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2015. 

  10. Government of DUBAI. Standards for Renal Dialysis Services. 2016. [cited 2018 July15]. Available from: https://www.dhcr.gov.ae/Documents/LawsAndRegulations/PoliciesAndStandards/Standards%20for%20Renal%20Dialysis.pdf 

  11. Government of U.S. U.S. Code of Federal Regulations. Part 494 -CONDITIONS FOR COVERAGE FOR END-STAGE RENAL DISEASE FACILITIES. [cited 2018 July15]. 2016. 

  12. Hong Kong College of Physicians & Central Renal Committee, Accreditation of Renal Dialysis Unit.. 2002. 

  13. Karkar A ; Bouhaha BM ; Dammang ML, Infection control in hemodialysis units: a quick access to essential elements. Saudi J Kidney Dis Transpl. 2014 May;25(3):496-519. 

  14.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Accreditation of Renal dialysis unit,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cited 2018 July15]. Available from: https://ksn.nephline.com:446 

  15. Kobayashi Hiromi ; Koyanagi Kotaro et al. Outbreak of extensively drug-resistant pulmonary tuberculosis in a hemodialysis facility. Kekkaku. 2013 May;88(5):477-84. 

  16. The Facility Guidelines Institute(FGI), Guideline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Healthcare Facilities, 2018. 

  17. Park, Hayne Cho ; Lee, Young-Ki ; Yoo Kyung Don et al,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infections in hemodialysis facilities.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018;37(1):8-19. 

  18. Lee, Young-Ki ; Oh, Jieun, Hemodialysis, Korean J Med 2014;86:131-137. 

  19. Lee, Young-Ki, 2015, 투석실 감염관리 및 격리 운영 방안. [cited 2018 July15]. Available from: http://www.ekjm.org/upload/42852291.pdf 

  20. Lee, Young-Ki ; Kim, Kiwon ; Kim, Dae Joong, Current status and standards for establishment of hemodialysis units in Korea, Korean J Intern Med 2013;28:274-284. 

  21. Lee, Young-Ki ; Kim, So Yoon, The Accreditation System of Renal Dialysis Unit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cited 2018 July15]. Available from: http://www.ksn.or.kr/file/journal/701525349/2010/588-593.pdf 

  22. Lacson E Jr; Brunelli SM., Hemodialysis Treatment Time: A Fresh Perspective, Clin J Am Soc Nephrol. 2011 Oct;6(10):2522-30. 

  23. Ministray of health singapore. Guidelines for private healthcare institutions providing renal dialysis : - Regulation 4 of the private hospitals and medical clinics regulations[CAP 248, Rg1]. 2004. 

  24. Noh, Hyunjin. Peritoneal Dialysis. Korean J Med 2014;86:138-141. 

  25. Rao TM ; Ram R ; Swarnalatha G, et al. Tuberculosis in haemodialysis patients: A single centre experience. Indian Journal of Nephrology. 2013;23(5):340-345. 

  26. See I; Bagchi S; Booth S; Scholz D; Geller AI; Anderson L; Moulton-Meissner H; Finks JL; Kelley K; Gould CV; Patel PR., Outbreak of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s at an Outpatient Hemodialysis Facility-Michigan, 2012-2013.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15 Aug;36(8):972-4. 

  27. Jin, Dong Chan, Current status of dialysis therapy for ESRD patient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3 July; 56(7): 562-568. 

  2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 3부, 2015년 5차 혈액투석 적정성평가결과 보고, 2017.7. 

  29.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 3부, 2018년(6차) 혈액투석 적정성평가 및 가감지급사업 세부추진계획, 2017.12. 

  30. 대한신장학회, 인공신장실 감염관리지침, 서울, 2017.12 

  31. 질병관리본부, 메르스 대응 지침 제5판, 충북, 2017.7. 

  32. 질병관리본부,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 충북, 2017. 

  33. 질병관리본부, 제2차 감염병 예방관리 기본계획, 충북, 2018.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