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피두개직류자극 적용 시 비활성 전극의 위치가 뇌졸중 환자의 인지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ying tDCS by Inactive Electrode Placement to Cognitive Response o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Electrophysiology, v.11 no.1, 2013년, pp.31 - 38  

황기경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이정우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ognitive reaction following inactive electrode placement when applying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ver the primary motor cortex. Methods : For this study a total of 28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Before applying transcranial 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측 일차운동겉질에 대한 양극 경피두개직류자극 적용 시 어깨세모근과 눈확위부의 비활성 전극이 인지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양극 경피두개직류자극을 일차운동겉질에 적용 시 비활성 전극의 위치에 따른 손 기능과 인지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 대상자를 두 군으로 나누었으며 실험 전 사건관련전위와 인지반응 시간을 측정한 후 두 군을 무작위 배정하였다. 경피두개직류자극의 양극 전극은 Ⅰ, Ⅱ군 모두 손상측의 일차운동겉질에 부착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양극 경피두개직류자극을 일차운동겉질에 적용 시 비활성 전극의 위치가 인지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측 일차운동겉질에 경피두개직류자극 적용 시 어깨세모근과 눈확위부의 비활성 전극 위치에 따라 인지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가 경험하는 장해는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는 대부분 사지의 근력 약화, 근 긴장도의 변화, 감각 저하 등은 심각한 신체 기능의 장해(impairment)를 가지며 이 신체적 장해는 활동 제한(activity limitation)과 참여 제약(participation restriction)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1 또한 이와 더불어 인지기능의 장애는 사회로의 복귀나 가족 구성원으로의 역할 등에 어려움을 갖게 된다.
지남력 검사나 MMSE-K 등의 인지 관련 평가 방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인지와 관련된 평가 방법으로 지남력 검사, MMSE-K 등과 같은 검사들이 주로 이용되었으며, 현재 치매 진단이나 인지 검사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검사 방법들은 간단하고 즉각적으로 결과를 알 수 있는 유용한 평가 방법이지만 인지 손상 정도에 대한 민감도가 낮으며 변화에 대해 객관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11 그러므로 객관적으로 인지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방법이 요구된다.
경피두개직류자극의 임상적 적용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경피두개직류자극의 임상적 적용 방법으로는 뇌 겉질의 흥분성을 조절하기 위해 자극 하고자 하는 부위에 부착하며 뇌 병변 측의 흥분성 증진을 위해 양극 자극,5 비 병변 측 뇌의 흥분성 감소를 위해 음극 자극6 그리고 양극과 음극 자극을 동시에 배치하는 방법이 있다.7 또한 배치방법 외에도 겉질의 흥분성 조절을 위해 전극의 위치, 전극의 크기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harp SA, Brouwer BJ.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7;78(11):1231-6. 

  2. Zinn S, Dudley TK, Bosworth HB et al. The effect of poststroke cognitive impairment on rehabilitation process and functional outcom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4;85(7):1084-90. 

  3. Pomeroy V, Aglioti SM, Mark VW et al. Neurological principles and rehabilitation of action disorders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011;25(5 suppl):33S-43S. 

  4. Schlaug G, Renga V, Nair 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stroke recovery. Archives of Neurology. 2008;65(12):1571. 

  5. Song HS. The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itmulation combined with tast-related training on muscle activity and gait abiltiy in chronic stroke. Donsh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1. 

  6. Boggio PS, Nunes A, Rigonatti SP et al. Repeated sessions of noninvasive brain dc stimulation is associated with motor function improvement in stroke patients.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2007;25(2):123-9. 

  7. Antal A, Nitsche MA, Paulus W.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the visual cortex. Brain Research Bulletin. 2006;68(6):459-63. 

  8. Moliadze V, Antal A, Paulus W. Electrode-distance dependent after-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and random noise stimulation with extracephalic reference electrodes. Clinical Neurophysiology. 2010;121(12):2165-71. 

  9. Bindman LJ, Lippold O, Redfearn J. The action of brief polarizing currents on the cerebral cortex of the rat (1) during current flow and (2) in the production of longlasting after-effects. The Journal of Physiology. 1964;172(3):369-82. 

  10. Alvarez JA, Emory E. Executive function and the frontal lobes: A meta-analytic review. Neuropsychology Review. 2006;16(1):17-42. 

  11. Lee SS. Review Study of Clinical Availability for Screening Test (MMSE, GDS, CDR). Hanyang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7. 

  12. Kang YJ.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based cognitive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its usefulness in patients with stroke. Yonsei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3. 

  13. Van der Hiele K, Vein A, Kramer C et al. Memory activation enhances EEG abnormality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biology of Aging. 2007;28(1):85-90. 

  14. Kok A. On the utility of p3 amplitude as a measure of processing capacity. Psychophysiology. 2001;38(3):557-77. 

  15. Hillyard SA, Hink RF, Schwent VL et al. Electrical signs of selective attention in the human brain. Science. 1973;182(108):177-80. 

  16. Niogi S, Mukherjee P, Ghajar J et al. Extent of microstructural white matter injury in postconcussive syndrome correlates with impaired cognitive reaction time: A 3t diffusion tensor imaging study of mild traumatic brain injury. American Journal of Neuroradiology. 2008;29(5):967-73. 

  17. Segalowitz SJ, Barnes KL. The reliability of erp components in the auditory oddball paradigm. Psychophysiology. 1993;30(5):451-9. 

  18. Sutton S, Braren M, Zubin J et al. Evoked-potential correlates of stimulus uncertainty. Science. 1965;150(3700):1187-8. 

  19. Fregni F, Boggio PS, Nitsche M et al.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f prefrontal cortex enhances working memory. Experimental Brain Research. 2005;166(1):23-30. 

  20. Evers S, Bockermann I, Nyhuis PW. The impact of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n cognitive processing: An event-related potential study. Neuroreport. 2001;12(13):2915-8. 

  21. Boggio PS, Ferrucci R, Rigonatti SP et al.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working memory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2006;249(1):31-8. 

  22. Schlaug G, Renga V.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 noninvasive tool to facilitate stroke recovery. Expert Review of Medical Devices. 2008;5(6):759-68. 

  23. Cicinelli P, Traversa R, Rossini P. Post-stroke reorganization of brain motor output to the hand: A 2?4 month follow-up with focal magnetic transcranial stimulation.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Electromyography and Motor Control. 1997;105(6):438-50. 

  24. Seitz RJ, Hoflich P, Binkofski F et al. Role of the premotor cortex in recovery from middle cerebral artery infarction. Archives of Neurology. 1998;55(8):1081. 

  25. Nair D, Renga V, Hamelin S et al. Improving motor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using simultaneous occupational therapy and tdcs. Stroke. 2008;39(2):542. 

  26. Korpelainen J, Kauhanen M, Tolonen U et al. Auditory p300 event related potential in minor ischemic stroke.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2000;101(3):202-8. 

  27. Gummow LJ, Dustman RE, Keaney RP. Cerebrovascular accident alters p300 event-related potential characteristics.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1986;63(2):128-37. 

  28. Lim YE. Effect of hand function and cerebral motor area activity by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Dongsh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9. 

  29. Dockery CA, Hueckel-Weng R, Birbaumer N et al. Enhancement of planning ability by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009;29(22):7271-7. 

  30. Park RJ, Lee MY, Cho IS et al.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motor performance of visuomotor task. Rehailitation Research. 2008;12(3):39-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