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성과바탕의학교육에 대한 비판적 논의: 역량의 개념을 중심으로
The Role of the Concept of Competence in Korean Outcome-based Medical Education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15 no.3, 2013년, pp.144 - 150  

이요바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교육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fore Outcome-based curriculum reform, medical graduate school and medical schools of korea need to understand limit or threshold of outcome-based education's point of view. This article examines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of competence suggested by Stoof and colleagues and discusses about imp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업 특성을 강조하는 역량 접근은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수행수준을 규명하며, 직원의 능력을 진단하고, 자격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관점에서는 ‘수행되어야 하는 과업의 기본적인 요소들은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춘다.
  • 개인역량에 대한 관점은 수행을 위해 개개인의 역량 개발과 그것의 측정에 초점을 둔다. 그러므로 이 관점에서는 특정 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이나 지식, 기술 등을 개인의 내부에 축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개인은 외부에서 해결해야할 문제를 만났을 때, 개인 내부에 축적된 역량을 동원하여 문제를 해결한다는 가정을 가지고 있다.
  • 역량의 개인 특성을 강조하는 측면은 특정 직무에서 우수한 수행자의 ‘어떤 개인적인 특성이 탁월한 수행을 이끄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성과 향상을 위해 우수한 수행을 보이는 자들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특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측면에서 역량은 개인이 처한 환경이나 맥락, 직업이 가지는 특수한 성격 등에 의하여 개인이 효과적이고 탁월한 수행을 나타낼 수 있는 바탕이 되는 행동이나 특성을 의미한다.
  • 그렇기 때문에 역량의 다양한 측면 가운데서 역량바탕교육과정으로서의 국내의 성과바탕의학교육이 어떤 관점을 포함하고 간과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본 연구는 Stoof et al. (2002)이 제시한 다차원적인 역량의 개념을 살펴보고 국내 의학교육 분야의 성과바탕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toof et al.
  • (2002)은 이렇게 역량 개념의 inside-out 접근방법과 outside-in 접근방법을 통해 전반적인 역량의 개념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드러내고자 했다. 이 연구는 국내 의학교육에서 역량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기 위한 것이기보다는 국내 성과바탕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역량의 개념과 교육과정이 어떤 관점을 포함하거나 또는 간과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에 역량의 다양한 측면을 드러내기 위한 도구로 Stoof et al.
  • 이번 글은 Stoof et al. (2002)이 제시한 역량의 5가지 차원이 국내 성과바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Stoof et al.
  • 이런 상황을 볼 때, 국내 의학교육 분야에서는 성과바탕교육 도입을 추진하는 힘은 강하지만, 그 힘을 조절하는 비판적인 논의는 아직 부족해 보인다. 이번 연구는 역량(competent)의 개념을 중심으로 국내 성과바탕교육에 대한 비판적인 논의를 시도하고자 한다. 성과바탕교육은 사전에 설정된 학습성과의 달성을 위해 학습경험 및 평가를 설계하는 교육과정의 방식을 말한다(Harden, 1999).

가설 설정

  • 그러므로 이 관점에서는 특정 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이나 지식, 기술 등을 개인의 내부에 축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개인은 외부에서 해결해야할 문제를 만났을 때, 개인 내부에 축적된 역량을 동원하여 문제를 해결한다는 가정을 가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과바탕교육이란? 성과바탕교육은 사전에 설정된 학습성과의 달성을 위해 학습경험 및 평가를 설계하는 교육과정의 방식을 말한다(Harden, 1999). 성과바탕교육은 학생들이 달성해야 할 학습성과를 의사가 갖추어야할 역량을 바탕으로 설정하고 있는 일종의 역량바탕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국내의 성과바탕교육이 가지고 있는 역량의 개념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역량의 개인 특성을 강조하는 측면에서의 목적은? 역량의 개인 특성을 강조하는 측면은 특정 직무에서 우수한 수행자의 ‘어떤 개인적인 특성이 탁월한 수행을 이끄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성과 향상을 위해 우수한 수행을 보이는 자들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특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측면에서 역량은 개인이 처한 환경이나 맥락, 직업이 가지는 특수한 성격 등에 의하여 개인이 효과적이고 탁월한 수행을 나타낼 수 있는 바탕이 되는 행동이나 특성을 의미한다.
역량의 개념은? Stoof et al. (2002)은 역량의 개념을 5가지 차원으로 제시했는데, 그것은 ‘개인특성 대 과업특성,’ ‘개인 대 집단역량,’ ‘특수 대 일반역량,’ ‘역량의 수준 대 수준으로서의 역량,’ ‘가르칠 수 있는 역량 대가르칠 수 없는 역량’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이 각 차원에서 역량의 어떤 특성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역량의 개념 및 접근방법이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 outcome-based approach in medical curriculum development Ahn 9 2013 

  2. An investigation on curriculum design in outcome based curriculum Chae 3 2009 

  3. Dornan 2012 

  4. Davis, Margery H., Amin, Zubair, Grande, Joseph P., O'Neill, Angela E., Pawlina, Wojciech, Viggiano, Thomas R., Zuberi, Rukhsana. Case studies in outcome-based education. Medical teacher, vol.29, no.7, 717-722.

  5. Eisner 1985 

  6. Frank, Jason R., Snell, Linda S., Cate, Olle Ten, Holmboe, Eric S., Carraccio, Carol, Swing, Susan R., Harris, Peter, Glasgow, Nicholas J., Campbell, Craig, Dath, Deepak, Harden, Ronald M., Iobst, William, Long, Donlin M., Mungroo, Rani, Richardson, Denyse L., Sherbino, Jonathan, Silver, Ivan, Taber, Sarah, Talbot, Martin, Harris, Kenneth A..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heory to practice. Medical teacher, vol.32, no.8, 638-645.

  7. The development of outcome-based curriculum in medical schools outside Korea Han 19 2013 

  8. Harden, J.R. Crosby, M.H. Davis, M. Friedman, R.M.. AMEE Guide No. 14: Outcome-based education: Part 5-From competency to meta-competency: a model for the specification of learning outcomes. Medical teacher, vol.21, no.6, 546-552.

  9. HARDEN, R. M.. AMEE Guide No. 14: Outcome-based education: Part 1-An introduction to outcome-based education. Medical teacher, vol.21, no.1, 7-14.

  10. Outcome based education Harden 625 2007 

  11. Assessment in outcome-based education Im 25 2013 

  12. The mismatch and future direction of medical reality, pol-icy and education Jeon 2013 

  13. 2013 

  14. Medical education: re-flection and reform KAMC 2011 

  15. Outcome based medical education KAMC 2012 

  16. 김선. 학습성과의 개념과 필요성.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 KJME, vol.24, no.2, 89-92.

  17. Development of an out-come-based medical curriculum: a case report from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chool of Medicine Kim 39 2013 

  18. 2011, Octo 

  19. Outcome-based curriculum management competency-based education at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Lee 2011 

  20. Outcome-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t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Lee 31 2013 

  21. Park 2007 

  22. Pinar 1993 

  23. Shon 2005 

  24. The possibility and limits of competence based curriculum Shon 101 2011 

  25. The concept of competence: its use and misuse in education Short 2 1985 

  26. Spencer 1993 

  27. Stoof, Angela, Martens, Rob L., van Merriënboer, Jeroen J. G., Bastiaens, Theo J.. The Boundary Approach of Competence: A Constructivist Aid for Understanding and Using the Concept of Competen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 HRD review, vol.1, no.3, 345-365.

  28. Swing, Susan R.. The ACGME outcome project: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Medical teacher, vol.29, no.7, 648-65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