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과대학 임상실습의 변화: 학생인턴제도의 가능성에 대한 전망
Changes in the Clerkship in Korean Medical Schools: The Prospect of a Student Internship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15 no.2, 2013년, pp.75 - 81  

윤태영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이종근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오인환 (경희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binternship (student internship), a subtype of bedside and clinical training was first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Currently, some medical schools conduct a student internship and many other universities are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of a student internship in Korea. If the intern s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의학교육적 측면에서 볼 때 인턴제 폐지라는 큰 변화에 있어 학생인턴제가 미국과는 의료환경이 다른 우리나라에서 인턴제의 공백을 메꾸는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이를 실시하기 위하여 우리가 알아야 할 것과 준비할 내용들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Kim (2002)은 1999년부터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작한 서울 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임상실습(subintern제도)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8개로 두었다. 1) 환자진료에 필요한 병력을 청취할 수 있어야 한다, 2) 진찰기술을 제대로 갖추어야 한다, 3) 환자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4) 환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5) 의무기록지를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 6) 증례 환자에 대하여 제대로 발표할 수 있어야 한다, 7) 환자 진료에 필요한 수기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8) 환자-의사와의 관계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구체적 목표를 Table 2와 같이 정하였다.
  • Kim (2002)은 1999년부터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작한 서울 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임상실습(subintern제도)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8개로 두었다. 1) 환자진료에 필요한 병력을 청취할 수 있어야 한다, 2) 진찰기술을 제대로 갖추어야 한다, 3) 환자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4) 환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5) 의무기록지를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 6) 증례 환자에 대하여 제대로 발표할 수 있어야 한다, 7) 환자 진료에 필요한 수기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8) 환자-의사와의 관계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구체적 목표를 Table 2와 같이 정하였다.
  • Kim (2002)은 1999년부터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작한 서울 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임상실습(subintern제도)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8개로 두었다. 1) 환자진료에 필요한 병력을 청취할 수 있어야 한다, 2) 진찰기술을 제대로 갖추어야 한다, 3) 환자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4) 환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5) 의무기록지를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 6) 증례 환자에 대하여 제대로 발표할 수 있어야 한다, 7) 환자 진료에 필요한 수기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8) 환자-의사와의 관계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구체적 목표를 Table 2와 같이 정하였다.
  • Kim (2002)은 1999년부터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작한 서울 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임상실습(subintern제도)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8개로 두었다. 1) 환자진료에 필요한 병력을 청취할 수 있어야 한다, 2) 진찰기술을 제대로 갖추어야 한다, 3) 환자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4) 환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5) 의무기록지를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 6) 증례 환자에 대하여 제대로 발표할 수 있어야 한다, 7) 환자 진료에 필요한 수기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8) 환자-의사와의 관계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구체적 목표를 Table 2와 같이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턴제 폐지가 의료계에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 계기는 무엇인가? 2011년 한국의학교육협의회에서는 수련기간 단축의 일환으로 인턴제도 폐지를 정부에 건의하기로 의결하였고, 이어서 보건복지부에 전문의제도 전담팀을 구성하고 보건의료미래위원회에서 인턴제폐지를 추진할 것을 제안함으로써 인턴제 폐지는 의료계에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2012).
학생인턴제가 임상실습의 개념과 명확하게 구분이 어렵고 잘 정리되어 있지 않은 이유는? 미국에서의학과 3학년 임상실습은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의 William Osler 등의노력으로명 확하게 정의되어있는데 비해학 생인턴제는 임상실습의 개념과 명확하게 구분이 어렵고 잘 정리되어 있지 않은데, 학생인턴제가 학문적 배경이 없이 미국의 시대적 상황에 의해 나타났기 때문이다. 즉,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 의사가 부족하던 많은 병원들에서 학생들에게 전공의 역할의 일부를 시켰는데, 전쟁으로 교육병원 의사들이 대거 군병원에서 근무하게 되어 전공의 부족이 심화되면서 인턴 역할을 의대생들이 많이 하게 되었고 이상황이전후에는널리제도화된것이다(Fagan et al.
학생인턴제도의 가능성에 대해 전망한 연구의 결론은 무엇인가? 미국에서 발달한 임상실습교육과정의 한 유형인 학생인턴제는 이미 우리나라 일부 대학에서 시행 중이며 많은 대학에서 시행을 고려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미국에서처럼 인턴제가 폐지된다면 학생인턴제는 우리나라 임상실습의 중요한 교육방안으로 정착될 것이다. 학생인턴제가 역량 있는 우리나라 의사들을 양성하는역할을하려면 대학병원의 역할에대한 대학과 병원관계자들의 각성과 노력, 표준 교육과정의 개발과 시행을 위한 의료계의 협력과 함께 관련법의 개정과 국민들의 대학병원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위한 홍보 등 정부와 사회의 관심과 협조를 이끌어내는 의료계의 지혜가절실한시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iyer, Meenakshy K., Vu, T. Robert, Ledford, Cynthia, Fischer, Melissa, Durning, Steven J.. The Subinternship Curriculum in Internal Medicine: A National Survey of Clerkship Directors.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vol.20, no.2, 151-156.

  2. Azizzadeh, Ali, McCollum, Charles H, Miller III, Charles C, Holliday III, Kelly M, Shilstone III, Holly C, Lucci Jr, Anthony. Factors influencing career choice among medical students interested in surgery. Current surgery, vol.60, no.2, 210-213.

  3. Coates, Wendy C., Gendy, Mary S., Gill, Andrew M.. Emergency Medicine Subinternship: Can We Provide a Standard Clinical Experience?. Academic emergency medicine :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Academic Emergency Medicine, vol.10, no.10, 1138-1141.

  4. Experiences and views of a pilot emergency medicine subinternship program: a focus group study of learners and teachers Choi 882 2012 

  5. The evolving role of the acting internship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Fagan 409 1998 

  6. Green, Eric H, Fagan, Mark J, Reddy, Shalini, Sidlow, Robert, Mechaber, Alex J. Advances in the internal medicine subinternship.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vol.113, no.9, 769-773.

  7. Green, Eric H., Hershman, Warren, Sarfaty, Suzanne. The Value of the Subinternship: A Survey of Fourth Year Medical Students. Medical education online, vol.9, 4349-.

  8. A suggested four-th-year curriculum for medical students planning on entering family medicine Hueston 118 2004 

  9. Kim, Kun Sang. A Debate on the Subinternship. 대한의사협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48, no.11, 1038-.

  10. Kim, Yong Il. Medical Practice by Medical Students. 한국의학교육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4, no.2, 34-38.

  11. Kim, Yong Il, Lee, Young Don, Oh, Je-Hwan, Choi, In Suck, Chah, Hann, Lee, Eui Don, Han, Bong Jin, Lee, Keun, Lee, Byung Kook, Im, Yoon-Myung, Park, Gwi Hwa.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Baseline Module for Clinical Clerkship: Gachon Medical School Experience. 한국의학교육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5, no.2, 131-139.

  12. Subinternship: the experienc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28 2002 

  13. Subinternship in the US medical school Kook 24 2002 

  14. 2012 

  15. Lampe, Christopher J., Coates, Wendy C., Gill, Andrew M.. Emergency Medicine Subinternship: Does a Standard Clinical Experience Improve Performance Outcomes?. Academic emergency medicine :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Academic Emergency Medicine, vol.15, no.1, 82-85.

  16. Lee 2013, Janu 

  17. What is subinternship? Lee 12 2002 

  18. Lindeman, B.M., Lipsett, P.A., Alseidi, A., Lidor, A.O.. Medical student subinternships in surgery: characterization and needs assessment. The American journal of surgery, vol.205, no.2, 175-181.

  19. Lyss-Lerman, Pamela, Teherani, Arianne, Aagaard, Eva, Loeser, Helen, Cooke, Molly, Harper, G Michael. What Training Is Needed in the Fourth Year of Medical School? Views of Residency Program Directors :. Academic medicine :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vol.84, no.7, 823-829.

  20. Marracino, Richelle K., Orr, Robert D.. Entitling the student doctor : Defining the student’s role in patient car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Research and Education in Primary Care Internal Medicine, vol.13, no.4, 266-270.

  21. Park, Gwi Hwa, Lee, Young Don, Oh, Jae Hwan, Choi, In Suck, Lim, Yoon Myung, Kim, Yong Il. Program Development of Student Internship (Subinternship) in Gachon Medical School. 한국의학교육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5, no.2, 113-130.

  22. Roh, Hye Rin, Chae, Gibong, Yang, Jeong Hee. Implementation of Student Internship with Intern-Level Responsibility. 한국의학교육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9, no.1, 47-57.

  23. Sidlow, Robert.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medical subinternship : A national survey.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Research and Education in Primary Care Internal Medicine, vol.16, no.8, 550-553.

  24. Sidlow, Robert, Mechaber, Alex J., Reddy, Shalini, Fagan, Mark, Marantz, Paul R.. The Internal Medicine Subinternship : A Curriculum Needs Assessment.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 official journal of the Society for Research and Education in Primary Care Internal Medicine, vol.17, no.7, 561-564.

  25. Woodland, Jay H., Tudor, Gregory J., Hafner, John W., Getz, Marjorie A., Aldag, Jean C.. Core Practical Objectives: A Means to Standardize the 4th-Year Emergency Medicine Clerkship.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vol.23, no.2, 161-166.

  26. Pre-registration house officer in the United Kingdom Yoo 26 2002 

  27. Yoon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