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linical clerkship focuses students on developing their ability to perform comprehensiv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ommon undifferentiated problems by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clinical reasoning. Therefore, the clerkship evaluation system should assess their actual prob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매주 전과를 임상 실습하게끔 일정을 계획하여 멘토와 함께 1년 내내 지속하는 것이다. 개별 임상과의 단편적인 단기간의 임상경험이 아닌 최소한 1년간 그 임상과의 환자를 만나면서 환자-학생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고 질병에 대한 통합적인 시각을 갖도록 하는 게 목적이다 (Ogur et al., 2007). 가정의학과 임상실습 학생을 대상으로 6주간의 전통순환실습(rotation-based clerkship, RBC) 학생과 32주간의 장기통합실습(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 LIC) 학생의 실습만족도를 실습 전후에 비교한 연구에 의하면 LIC 학생의 만족도가 RBC 학생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Myhre et al.
  • 혹은 학생마다 외래 환자를 배정하여 진료순서 이전에 초진부터 지금까지의 의무기록을 면밀히 검토한 후 그 환자의 진료 차례가 되면 함께 진료실로 들어와 참관하도록 하여 비록 짧은 진료의 한 단편일지라도 맥락을 이해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진료를 마친 후에는 학생들과 함께 오늘 진료한 환자에 대해 질의응답을 하면서 학생들의 임상추론능력을 간접적으로라도 평가하기를 권한다. 또한 환자나 간호사도 그 학생을 평가할 수 있도록 360도 평가(360 degree assessment) 같은 다면평가를 활용할 수도 있다.
  • 특히 의학에 있어 임상실습의 평가는 지금까지 그 타당성과 신뢰성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어 온 바 있다. 따라서 본 종설에서는 의학교육과정의 임상실습평가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고 개선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 둘째, 구성주의 교육이론에 근거하여 학생들이 임상실습에서 새롭게 배우게 되는 지식과 기술들을 사전에 통합교육과정에서 학습한 기초 및 임상의학지식과 연합하여 새로이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매 실습에서 배우게 되는 지식들이 다음 실습과 어떻게 통합되고 구성되어 갈 수 있을지 인지하도록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려면 교수가 학생에게 순간순간 피드백과 코칭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가는 어떤 단계라고 볼 수 있는가? 교육목표를 바탕으로 개발된 교육과정에 따라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나면, 교육평가를 통해 교육목표에 도달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평가는 교육과정의 마지막 단계이며 동시에 평가결과를 다시금 교육목표에 반영하게 되는 시작단계라고도 할 수 있다. 최근에 대두되는 성과나 역량중심의 교육과정에서는 성과나 역량을 무엇으로,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가 실제적인 핵심이기때문에 평가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성과나 역량중심의 교육과정에서 교육평가의 핵심은? 평가는 교육과정의 마지막 단계이며 동시에 평가결과를 다시금 교육목표에 반영하게 되는 시작단계라고도 할 수 있다. 최근에 대두되는 성과나 역량중심의 교육과정에서는 성과나 역량을 무엇으로,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가 실제적인 핵심이기때문에 평가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히 의학에 있어 임상실습의 평가는 지금까지 그 타당성과 신뢰성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어 온 바 있다.
교육과정에 따라 교수-학습이 모두 진행되면 무엇을 통해 교육목표 달성을 확인해야 하는가? 교육목표를 바탕으로 개발된 교육과정에 따라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나면, 교육평가를 통해 교육목표에 도달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평가는 교육과정의 마지막 단계이며 동시에 평가결과를 다시금 교육목표에 반영하게 되는 시작단계라고도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exander, Erik K., Osman, Nora Y., Walling, Jessica L., Mitchell, Vivian G.. Variation and Imprecision of Clerkship Grading in U.S. Medical Schools :. Academic medicine :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vol.87, no.8, 1070-1076.

  2. Bates, Joanna, Konkin, Jill, Suddards, Carol, Dobson, Sarah, Pratt, Dan. Student perceptions of assessment and feedback in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Medical education, vol.47, no.4, 362-374.

  3. Han, Jae Jin. Challenges and progress of clinical education in Korea. JKMA :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 대한의사협회지, vol.55, no.10, 926-.

  4. 허정원, 한재진, 임현정. 자기주도학습을 도입한 임상실습에서 의과대학생이 설정한 학습목표, 방법 및 의견과 자기평가 점수의 분석. 한국의학교육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20, no.2, 123-132.

  5. Im, Sun Ju. Strategies for Effective Teaching in Clinical Clerkship. Hanyang medical reviews, vol.32, no.1, 51-.

  6. Kim, Kyung Han. Is The Assessmen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Anesthesiology Clerkships Balanced?. 한국의학교육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5, no.3, 213-219.

  7. Koh, Suk Bong, Park, Hye J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Written Examination, the Clinical Clerkship Examination, the Clinical Skill Assessment, and the Graduation Examination of the Medical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 KJME, vol.21, no.4, 347-352.

  8. Kim, Sang Hyun, Yang, Eun Bae, Ahn, Duck Sun, Jeon, Woo Tack, Lyu, Chuhl Joo. The Present Conditions of Clinical Clerkship Management i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 KJME, vol.21, no.4, 373-383.

  9. Kim, Young Chang. The RIME Model as an Evaluation Method in the Clinical Clerkship. 한국의학교육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6, no.3, 239-245.

  10. Lee, Young Mee, So, Yeon Hee, Ahn, Duck Sun, Park, Seung Ha. Evaluating Clinical Teaching in Medicine. 한국의학교육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4, no.2, 293-300.

  11. Lurie, Stephen J, Mooney, Christopher J.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assessment and examination scores in determining clerkship grade. Medical education, vol.44, no.2, 177-183.

  12. Miller, Alice, Archer, Julian. Impact of workplace based assessment on doctors’ education and performance: a systematic review. BMJ : British medical journal, vol.341, c5064-.

  13. Myhre 2013 

  14. The Harvard Medical School-Cambridge: an innovative model of clinical education Ogur 397 2007 

  15. Pangaro, L. A new vocabulary and other innovations for improving descriptive in-training evaluations :. Academic medicine :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vol.74, no.11, 1203-7.

  16. Pangaro, Louis N.. Investing in descriptive evaluation: a vision for the future of assessment. Medical teacher, vol.22, no.5, 478-481.

  17. Park, Hoon-Ki. The impact of introducing the Korean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clinical skills assessment on medical education. JKMA :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 대한의사협회지, vol.55, no.2, 116-.

  18. Park, Jong, Kang, Myung Geun, Ryu, So Yeon, You, Jae Won, Moon, Kyung Rye. Predictors of Failure in Medical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 KJME, vol.21, no.2, 143-151.

  19. Park, Joo Hyun, Kim, Sun. Evaluating Clinical Clerkship in Medical School. 한국의학교육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6, no.2, 157-167.

  20. Park, Seok Gun. Result of Mid-Term Evaluation in Internal Medicine Clinical Clerkship in One Medical School. 한국의학교육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6, no.2, 147-155.

  21. Plymale, Margaret A., French, Judith, Donnelly, Michael B., Iocono, Joseph, Pulito, Andrew R.. Variation in Faculty Evaluations of Clerkship Students Attributable to Surgical Service. Journal of surgical education, vol.67, no.3, 179-183.

  22. Ramchandani, D.. Grading Medical Students in a Psychiatry Clerkship: Correlation With the NBME Subject Examination Scores and Its Implications. Academic psychiatry : the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directors of psychiatric residency training and the association for academic psychiatry, vol.35, no.5, 322-324.

  23. Wang, P.-W., Cheng, C.-C., Chou, F. H.-C., Tsang, H.-Y., Chang, Y.-S., Huang, M.-F., Yen, C.-F.. Using Multiple Assessments to Evaluate Medical Students' Clinical Ability in Psychiatric Clerkships. Academic psychiatry : the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directors of psychiatric residency training and the association for academic psychiatry, vol.35, no.5, 307-311.

  24. Yang, Eunbae, Suh, Duk-Joon, Lee, Yunseong, Lee, Sookon, Kim, Seokhwa, Lee, Eunil, Chae, Guetae, Jo, Yeonju, Ahn, Ducksun. Status of Clerkship Education and Its Evaluation in Korean Medical Schools. 한국의학교육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9, no.2, 111-121.

  25. Yu, Seung Hum, Nam, Chung Mo, Kim, Suk Il, Oh, Hyohn Joo. Cohort analysis on academic achievement of medical students. 한국의학교육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6, no.1, 20-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