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산 꽃소금과 천일염의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분석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Analysis of Korean Solar Salt and Flower of Sal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7, 2013년, pp.1115 - 1124  

이혜미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우경 (대상주식회사 중앙연구소 식품연구실) ,  진중현 (대상주식회사 중앙연구소 식품연구실) ,  김인철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꽃소금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에서 생산된 꽃소금 3종과 천일염 1종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분함량은 $10.54{\pm}0.10{\sim}13.82{\pm}0.12%$, 나머지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NaCl은 신의도산 꽃소금이 $78.81{\pm}0.28%$, 비금산 꽃소금이 $81.67{\pm}0.34%$, 도초산 꽃소금 $84.61{\pm}0.21%$, 도초산 천일염이 $80.82{\pm}0.17%$로 나타났다. 불용분, 사분은 각각 0.01~0.05%, 0.01~0.03%로 낮게 검출되었다. 미네랄 분석은 도초산 꽃소금에서 K과 Mg 함량이 2,975.23 mg/kg, 9,886.72 mg/kg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Ca은 도초산 소금 2종이 945.53 mg/kg, 942.43 mg/kg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중금속 As, Cd, Pb, Hg은 모두 규격 이하로 검출되었다. 소금결정을 관찰한 결과로 천일염과 꽃소금 모두 핵이 중복되어 겹으로 적층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크기는 비금산 꽃소금이 $0.067{\times}0.067mm$로 가장 작고 도초산 천일염이 $0.112{\times}0.124mm$로 꽃소금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소금의 색도는 꽃소금의 L값이 천일염에 비해 높아 밝게 확인되었다. 관능검사 결과로 짠맛은 NaCl 함량과 유사하며, 쓴맛은 K과 Mg 함량이 적은 도초산 꽃소금이 낮게 나타났다. 천일염에 비해 꽃소금의 단맛과 기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호염균 동정 결과 19종 모두 Firmicutes로 꽃소금에서 Marinibacillus, Paenibacillus, Bacillus 속이 12종으로 확인되며, 천일염은 Planococcus, Staphylococcus, Bacillus 속 3종으로 검출되었다. DGGE 실험 결과로 도초산 꽃소금에서 16개의 band와 도초산 천일염에서 15개의 band를 확인하였다. 동정 결과 도초산 꽃소금에서 Cupriavidus sp. ATHA3(14.43%), Cupriavidus sp. TSA5(10.41%), Maritimibacter sp. YCSD61-2(8.13%), uncultured bacteria(68%)로 확인되었고, 도초산 천일염에서는 Dunaliella salina(4.76%), Cupriavidus sp. ATHA3(15.80%), uncultured Mycoplasmataceae bacteria(51.72%), uncultured bacteria(27%)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nsure the diversity of domestic solar salt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lar salt (from Docho island: DS) and the flower of salt produced in different Korean salt flats (Sinui island: SF, Bigum island: BF, and Docho island: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2008년 3월부터 천일염이 광물에서 식품으로 분류된 이후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 염전에서 생산되는 꽃소금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꽃소금과 천일염의 이화학적 분석과 무기물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한국 발효식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천일염에 함유된 미생물의 분포 및 종류에 대하여 기존의 미생물학적 배양 방법 및 DGGE 분석 기술을 적용하여 꽃소금과 천일염의 미생물 분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한국산 꽃소금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에서 생산된 꽃소금 3종과 천일염 1종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분함량은 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표적인 꽃소금인 fleur de sel의 품질관리에 관한 특징은 무엇인가? 대표적 꽃소금으로는 요리에 사용하였을 때 가장 좋은 맛을 낸다고 알려진 프랑스 게랑드(Gué-rande) 지방의 fleur de sel이 있다. 이 소금은 프랑스 농림수산성에서 최우수식품에만 부여하는 적색라벨(Label Rouge) 인정을 받았으며, 중금속이나 불용성분, 미생물 등을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4). 국내 염전에서도 꽃소금은 천일염이 결정화되는 초기에 염전의 결정지 표면에 발생하지만 생산량이 적어 상품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양질의 값싼 소금을 얻을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 남해안을 포함한 서해안의 풍부한 갯벌로 인해 염전이 많아 양질의 값싼 소금을 얻을 수 있다. 소금은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인 김치, 장류, 젓갈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조미료로 제조방법에 따라 천일염, 암염, 기계염, 재제염 등 크게 4종류가 있으며, 그 소금의 종류에 따라 미네랄 함량에 차이가 있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고 맛과 풍미 및 품질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1).
소금은 제조 방법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 남해안을 포함한 서해안의 풍부한 갯벌로 인해 염전이 많아 양질의 값싼 소금을 얻을 수 있다. 소금은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인 김치, 장류, 젓갈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조미료로 제조방법에 따라 천일염, 암염, 기계염, 재제염 등 크게 4종류가 있으며, 그 소금의 종류에 따라 미네랄 함량에 차이가 있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고 맛과 풍미 및 품질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1). 또한 사람 혈액의 약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orea food service news. 2012. The diary of food service& solar salt in 2012. Seoul, Korea. p 24-31. 

  2. Kang JH. 2006. Salt and health. Korea Forum 6, Korea Forum Corporation, Seoul, Korea. p 200-203. 

  3. KFDA. 201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standards codex I.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200-203. 

  4. Choi JH. 2011. Korean solar salt story for safe luxury salts. Sigmabooks, Seoul, Korea. p 75-76. 

  5. Shin TS, Park CK, Lee SH, Han KH. 2005. Effects of age on chemical composition in sun-dried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312-317. 

  6. Jin YX, Je JH, Lee YH, Kim JH, Cho YS, Kim SY. 2011. Comparison of the mineral contents of sun-dried salt depending on wet digestion and dissolution. Korean J Food Preserv 18: 993-997. 

  7. Park JW, Kim SJ, Kim SH, Kim BH, Kang SG, Nam SH, Jung ST. 2000.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various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442-1445. 

  8. Chang JY, Kim IC, Chang HC. 2011. Effect of solar salt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8: 256-265. 

  9. Lee KD, Choi CR, Cho JY, Kim HL, Ham KS.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alt-fermented shrimp prepared with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3-59. 

  10. Chang M, Kim IC, Chang HC. 2010. Effect of solar sal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16-124. 

  11. Kim HL, Yoo YJ, Lee IS, Ko GH, Kim IC. 2012.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in mudflat solar salt, salt water, and sea water in the nationwide salt p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014-1019. 

  12. Na BJ, Ha SD. 2009. Effectiveness and safety of salt. Food Science and Industry 42(2): 60-73. 

  13. Baati H, Guermazi S, Gharsallah N, Sghir A, Ammar E. 2010. Microbial community of salt crystals processed from Mediterranean seawater based on 16s rRNA analysis. Can J Microbial 56: 44-51. 

  14. Oren A. 2008. Microbial life at high salt concentrations: phylogenetic and metabolic diversity. Saline Systems 4: 2. doi: 10.1186/1746-1448-4-2. 

  15. Birbir M, Calli B, Mertoglu B, Bardavid RE, Oren A, Ogmen MN, Ogan A. 2007. Extremely halophilic archaea from Tuz Lake, Turkey, and the adjacent Kaldirim and Kayacik salterns.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3: 309-316. 

  16. KFDA. 201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standards codex II.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3-33. 

  17.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Vol 11, p 31. 

  18. Lee KD, Park JW, Choi CR, Song HW, Yun SK, Yang HC, Ham KS. 2007. Salinity and heavy metal contents of solar salts produced in Jeollanamdo province of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753-758. 

  19. Ha JO, Park KY. 1998.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and external structure of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13-418. 

  20. Na JM, Kang MS, Kim JH, Jin YX, Je JH, Kim JB, Cho YS, Kim JH, Kim SY. 2011. Distribution and identification of halophilic bacteria in solar salts produced during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133-139. 

  21. Yoon JH, Kim IG, Schumann P, Oh TK, Park YH. 2004. Marinibacillus campisalis sp. nov., a moderate halophile isolated from a marine solar saltern in Korea, with emended description of the genus Marinibacillus. Int J Syst Evol Microbiol 54: 1317-1321. 

  22. SubhoshChandra M, Roy N, Lee YS, Park IH, Zhou Y, Kim KK, Choi YL. 2008. Produ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ermostable ${\beta}$ -mannanase from Paenibacillus xylanilyticus DZ3. 2008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Busan, Korea. p 208. 

  23. Kocur M, Zdena P, Hodgkiss W, Martinec T. 1970. The taxonomic status of the genus Planococcus migula 1894. Int J Syst Evol Microbiol 20: 241-248. 

  24. Yoon JH, Kang SJ, Lee SY, Oh KH, Oh TK. 2010. Planococcus salinarum sp. nov., isolated from a marine solar saltern, and emended description of the genus Planococcus. Int J Syst Evol Microbial 60: 754-758. 

  25. Lee MJ, Cho KH, Han ES, Lee JH. 2010. Bacterial diversity in the initial fermentation stage of Korean and Chinese kimchi.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207-215. 

  26. Yoon JH, Kim IG, Kang KH, Oh TK, Park YH. 2003. Bacillus marisflavi sp. nov. and Bacillus aquimaris sp. nov., isolated from sea water of a tidal flat of the Yellow Sea in Korea. Int J Syst Evol Microbial 53: 1297-1303. 

  27. Shivaji S, Chaturvedi P, Begum Z, Pindi PK, Manorama R, Padmanaban DA, Shouche YS, Pawar S, Vaishampayan P, Dutt CB, Datta GN, Manchanda RK, Rao UR, Bhargava PM, Narlikar JV. 2009. Janibacter hoylei sp. nov., Bacillus isronensis sp. nov. and Bacillus aryabhattai sp. nov., isolated from cryotubes used for collecting air from the upper atmosphere. Int J Syst Evol Microbial 59: 2977-2986. 

  28. Shon MY, Seo KI, Park SK, Cho YS, Sung NJ. 2001. Some biological activities and isoflavone content of Chungkugjang prepared with black beans and Bacillus st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62-667. 

  29. Hwang JS, Kim JY, Sung DI, Yi YS, Kim HB. 2012. Fermentation of black-soybean Chungkookjang using Bacillus licheniformis B1. Korean J Microbiol 48: 216-219. 

  30. Muyzer G, de Waal EC, Uitterlinden AG. 1993. Profiling of complex microbial populations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amplified genes coding for 16S rRNA. Appl Environ Microbiol 59: 659-700. 

  31. Park JA, Heo GY, Lee JS, Oh YJ, Kim BY, Min TI, Kim CK, Ahn JS. 2003. Change of microbial communities in Kimchi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Korean J Microbiol 39: 45-50. 

  32. Lee JS, Heo GY, Lee JW, Oh YJ, Park JA, Park YH, Pyun YR, Ahn JS. 2005. Analysis of kimchi microflora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102: 143-150. 

  33. Kim TW, Lee JH, Park MH, Kim HY. 2009. Analysis of bacterial and fungal communities in Japanese- and Chinesefermented soybean pastes using nested PCR-DGGE. Curr Microbiol 60: 315-3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