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외과수술환자의 회복실 체류시간 분석
Length of stay in PACU among surgical patients using data mining techniqu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7, 2013년, pp.3400 - 3411  

유제복 (삼성서울병원) ,  장희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회복실 환자의 평균 체류시간을 알아보고, 체류시간에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회복실 체류 시간 예측을 위한 분석을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상급 종합병원에 입원한 전신 마취 하에 일반외과 수술을 받은 18세 이상 성인 남녀 환자 중 회복실로 입실한 환자를 1,5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중 1,293건을 분석하였다.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32항목을 측정하였다. 평균 회복실 체류시간은 72.02분이었다. 수술주기별 관련요인과 회복실 체류시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나이, 수술종류, 수술시간, 진통제사용회수가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회복실 체류시간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변수는 수술종류이며 그 다음 EKG 이상여부, 나이, 마취제, 수술시간으로 나타났다. 범주 I(30분~60분)은 2개의 경우, 범주 II(61분~90분)도 2개의 경우, 범주 III(91분~120분)은 4개의 경우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ata mining is a new approach to extract useful information through effective analysis of huge data in numerous fields. This study was analyzed by decision making tree model using Clementine C&RT(Classification & Regression Tree, CART) as data mining technique. We utilized this data mining tech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 1,500명을 확보하면서 회 복실 체류시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회복실 체류시간을 예측하여 환자에게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이며, 수술 후 적절한 회복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이 분석을 통해 계획적이고 객관적인 회복간호를 평가하고 고자하며 회복실 자원, 인력배분 및 장비 재배치의 경제적 효율성을 제고하고, 간호측면에서 예측되는 체류 시간에 따라 다양한 수준의 간호서비스를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앞으로 간호사와 환자, 보호자 사이의 의사소통에 효율을 증대시키고 보다 긴밀한 협력을 통해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 본 연구는 회복실 체류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회복실 체류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Retrospective survey)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회복실 환자의 체류시간을 알아보고, 체류시간에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회복실 체류 시간 예측을 위한 분석을 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회복실 환자의 체류시간을 알아보고, 체류시간에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회복실 체류 시간을 예측하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 1,500명을 확보하면서 회 복실 체류시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회복실 체류시간을 예측하여 환자에게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이며, 수술 후 적절한 회복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이 분석을 통해 계획적이고 객관적인 회복간호를 평가하고 고자하며 회복실 자원, 인력배분 및 장비 재배치의 경제적 효율성을 제고하고, 간호측면에서 예측되는 체류 시간에 따라 다양한 수준의 간호서비스를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앞으로 간호사와 환자, 보호자 사이의 의사소통에 효율을 증대시키고 보다 긴밀한 협력을 통해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이터 마이닝이란? 대용량의 데이터로부터 이들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관계, 패턴, 규칙 등을 탐색하고 찾아내어 모형화함으로써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일련의 과정이다[12].
CART이란? CART는 이지분리를 하는 의사결정나무 분석 알고리 즘으로, 이지분리라는 것은 부모 노드로부터 자식 노드로 분리를 할 때 항상 2개로만 분리한다는 것이다. 이런 이지 분리는 여러 개의 분리가 되는 것에 비해 정확도 등이 떨어질 수 있으나, 반대로 가지 분류가 비교적 간단하여 해석이 편하다는 장점이 있기도 하다.
Kim[5] 연구와 Kim[18]연구에서 기관 삽관 상태를 제외한 중요 예측변수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이는 Kim[5] 연구에서 기관 삽관 상태, 회복실 내 합병증, 수혈이 중요한 예측변수로 나타난 결과, Kim[18]연구에서 기관 삽관 상태, 성별, 근이완제, 수술 중 아편양 제제 사용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난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모형구축을 위하여 86%의 자료를 훈련자료로 이용하였고, 나머지 14%를 검증자료로 이용한데서[5] 기인한다고 본다. 이는 구축된 모형을 검증하고자 경우, Choi[9]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50%정도 의 검증자료를 이용하여야 한다고 하였는데, Kim[5]의 모형은 검증자료 비율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S., So, HY., Lee, MH., Park, MY., Kwon, MJ. "Factors influencing length of stay at the recovery room among elderly patients undergone general anesthesi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1), pp. 87-99. 2011. 

  2. Min, BS, Kim, ST, Kang, H, Lim, SW. "Emergence from anesthesia is dependent on age and physical status, but not on operation site and operation time",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36(3), pp. 444-448. 1999. 

  3. Lee, MG, "Development of nursing diagnoses, nursing outcomes, nursing interventions linking protocol for patients in the post-anesthetic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0. 

  4. Kim E.K., Chae, S.O., Kwon, K.S., Kim, Y.J., Hong, M.H., Kim, M.H., Kim, N.S., Lee, K. E., "A study on nursing needs of patients in the recovery roo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9(1). pp. 86-100. 2002. 

  5. Kim, WO, Kil, HK, Koo, BN, Kim, JI. "Analysis and prediction of length of stay in the post anesthesia care unit",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0(5). pp. 613-618. 2001. 

  6. Kim, S.H. Factor analysis affecting retention time at recovery ro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006. 

  7. Lee, K.O., Son, Y.J. "Factors influencing length of stay among patients with general anesthesia at the recovery room", Clinical Nursing Research, 12(2), pp. 133-143. 2006. 

  8. Kim, S., So, H., Lee, MH., Park MY., Kwon, MJ. "Factors influencing length of stay at the recovery room among elderly patients undergone general anesthesi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1), pp. 87-99, 2011. 

  9. Park, S.A, "An analysis of nursing needs for hospitalized cancer patients:using data mining techniques", Asian oncology nursing, 5(1), pp. 3-10, 2005 

  10. Kim, K.S., Kim, K.H, A prediction model for internet game addiction in adolescents; using a decision tree analysis, Journal of academy of nursing, 40(3), pp. 378-388, 2010.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0.40.3.378 

  11. Oh, J., Yoon, C.M., & Kim, B,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6(1), pp. 84-92, 2010. 

  12. Choi, JH., Han, ST., Kang, H.C., Kim, E.S., Kim, M.G., Lee, S.G. Prediction and utilization of Datamining using AnswerTree 3.0. Seoul: Datasolution co. 

  13. Kim, Y.M., Chang, D.M., Kim, S.S., Park, I.S., Kang, S.H, "A study on factors of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using data min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0(5), pp. 1100-1108, 2009 

  14. Kim, Y.M., Choi, Y.K., Kang, S,H., & Kang, W. J, "A study on analysis of severity-adjustment length of stay in hospital for community-acquried pneumoni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3), pp. 1234-1243, 2011 

  15. Waddle J., Alex E., Piccirillo J. "Postanesthesia care unit length of stay: Quantifying and assessing dependent factors", Anesthesia and analgesia, 87(3), pp. 628-633, 1998. DOI: http://dx.doi.org/10.1213/00000539-199809000-00026 

  16. Morgan, G.E., & Mikhall, J.M.S. Alexander's care of the patient in surgery(10th ed). Saint Louis: Mosby year book Inc. 1996. 

  17. Kim, CM, Lee, JH, Eom, WS, Do, SH, Kim, KW. "A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post anesthetic recovery score and post anesthetic recovery room stay time",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33(3), pp. 497-501 1997. 

  18. Kim, WO, Kil, HK, Kang, J.W, Park, H.R. "Prediction on lengths of stay in the post anesthesia care unit following general anesthesia: preliminary study of the neural network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ling", Journal of Korean Medicine science, 15, pp. 25-30, 2000. 

  19. Panagiotis, K., Maria, P., Argiri, P., Panagiotis, S. Is post anesthesia care unit length of stay increased in hypothermic patients?", AORN journal, 81(2), pp. 379-392. 2005. DOI: http://dx.doi.org/10.1016/S0001-2092(06)60420-1 

  20. Cohen, S., Hamilton, C.,Riley E., Macario, A., Halpern J. "Obstetric post anesthesia unit stays reevaluation of discharge criteria after regional anesthesia",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89, pp. 1559-1565, 1998. DOI: http://dx.doi.org/10.1097/00000542-199812000-000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