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8개 제조산업의 수출과 경제성장에 관한 실증분석:1975-2010
The Exports and Economic Growth in the 8 Manufacturing Industries: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Models:1975-2010 원문보기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18 no.4, 2013년, pp.61 - 72  

주연화 (연변대학교 경제학부) ,  박세훈 (관동대학교 경제금융학과) ,  강주훈 (관동대학교 경제금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출증가가 경제성장을 초래한다는 수출주도성장가설에 관한 실증분석은 주로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하여 시계열 또는 횡단면 자료를 이용하여 지난 1970년대 초부터 최근까지 주요한 관심사가 되어 왔다. 이와 같은 수출주도성장가설에 관한 실증분석은 한국을 포함하여 주로 개발도상국가에 해당되는 아시아 국가들을 분석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은 여러 국가들의 횡단면 분석보다는 한국의 제조산업에 초점을 맞추어 공적분검정오차수정모형을 추정하여 산업의 수출증가와 산업의 성장과의 관계를 조명함으로서 수출주도성장 가설을 검정하였다. 생산과 수출에서 비중이 큰 석유화학, 1차 금속 그리고 조립금속 운송기계를 포함하여 8개의 제조산업 중 6개의 제조산업이 양방향의 인과관계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한국 제조산업에서는 전반적으로 실질수출액과 실질생산액에 사이에서 양방향의 인과성 관계가 존재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 growth and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has been one of the main issues in the growth theory field. Many of empirical studies have been done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xport-led growth hypothesis using either time-series or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욱이 Johansen 방식은 2단계를 거치는 Engle and Granger의 방식보다 1단계로 처리하기 때문에 그만큼 오류가 적어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Johansen and Juselius(1990)의 최우도 법의 결과만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1)식음료와 담배, (2)섬유·의복·가죽 (3)목재·펄프· 출판인쇄 (4)석유·화학제품 (5)비금속제품, (6)1차 금속제품, (7)조립금속제품, 운송기계, (8)기타 제조업 등 8개의 제조산업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산업의 특성을 반영하는 산업별 자본량과 노동량을 외생변수로 한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수출과 경제성장과의 인과성을 검정한다.
  • 이와 같이 수출주도성장가설에 관한 실증분석은 한국을 포함하여 주로 개발도상국가에 해당되는 아시아 국가들을 분석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은 여러 국가들의 횡단면 분석보다는 한국의 8개의 제조산업에 초점을 맞추어 산업별 공적분검정과 오차수정 모형을 추정하여 산업의 수출증가와 산업의 성장과의 관계를 조명함으로서 수출증가와 경제성장 사이의 인과성을 검정하고 제조산업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 첫째로 각변수의 단위근 검정에서 수출과 GDP가 I(0)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즉 ADF검정을 통해서 수출과 GDP의 시계열 자료가 안정적인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ADF검정은 상수항과 추세선을 포함하고 있는 식(1)의 회귀모형에 근거하고 있다.
  • 두변수 사이에 인과성 또는 공적분검정은 두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로 각변수의 단위근 검정에서 수출과 GDP가 I(0)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즉 ADF검정을 통해서 수출과 GDP의 시계열 자료가 안정적인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시계열 변수 Xt의 안정성을 검정하는 귀무가설은 H0: |Θ|= 1 이고 대립가설은 H1: |Θ| < 1 가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증회귀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에서 어떤 결론을 내리고 있는가? 수출주도성장가설을 입증하는 또 다른 방식은 신고 전학파 생산함수의 성장계정기법에 근거하여 수출액 또는 수출증가율을 설명변수로 하여 설정된 실증회귀 모형을 추정하는 것이다. 실증회귀모형을 이용한 대부분의 실증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매우 높은 수출증가변수의 계수가 추정되었으며 수출주도성장가 설이 성립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Feder, 1983; Balassa, 1985; Sprout and Weaver, 1993; Ukpolo, 1994). 이러한 성장계정 회귀모형을 이용한 실증연구도 또한 두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수출증가가 경제성장의 유인이 된다는 선험적 가정에 그치고 있는 단점을 포함하고 있다.
수출주도성장가설을 입증하는 방법 중 하나는 무엇인가? 수출주도성장가설을 입증하는 또 다른 방식은 신고 전학파 생산함수의 성장계정기법에 근거하여 수출액 또는 수출증가율을 설명변수로 하여 설정된 실증회귀 모형을 추정하는 것이다. 실증회귀모형을 이용한 대부분의 실증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매우 높은 수출증가변수의 계수가 추정되었으며 수출주도성장가 설이 성립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Feder, 1983; Balassa, 1985; Sprout and Weaver, 1993; Ukpolo, 1994).
수출주도성장가설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무엇인가? 수출증가가 경제성장을 초래한다는 수출주도성장가설에 관한 이론적 근거는 다음과 같다. Lee and Huang(2002)에 의하면 첫째 수출의 증가는 자본의 증가를 가져오며 자본의 증가는 총요소생산성(total factor productivity)의 증가를 가져와 경제를 성장시킨다는 것이다. 둘째는 수출의 증가는 외환의 제약을 완화시키고 이에 따라 중간재의 수입을 용이하게 하여 경제를 성장시킨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외국과의 경쟁은 국내의 효율적인 자원배분과 수출품에 대한 기술변화를 유도하기 때문에 이는 경제를 성장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출증가가 경제성장을 초래한다는 수출주도성장가설에 관한 실증분석은 주로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하여 시계열 또는 횡단면 자료를 이용하여 지난 1970년대 초부터 최근까지 주요한 관심사가 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은하, 박창수, "수출과 경제성장 관계에 있어 FDI의 역할: 중국의 실증분석 사례," 응용경제, 제12권, 제3호, 2010, pp. 155-176. 

  2. 주연화, "한국제조산업의 수출과 경제성장에 관한 공적분과 오차수정모형(1975-2010)," 경영논집, 제27집, 관동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2, pp. 87-106. 

  3. 이영수, 김정언, 정현준, "IT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 추정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13, 2008, pp. 76-86. 

  4. 채병찬, 이경환, 김종원, "제조기업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생산전략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13, 2008, pp. 7-21. 

  5. 최성일, "중국의 지역별 수출과 경제성장의 인과관계분석(1952-2004)," 국제지역연구, 제12권, 제3호, 2008, pp. 449-465. 

  6. Ahmad, J., and A.C.C. Kwan, "Causality Between Exports and Economic Growth," Economics Letters, Vol. 37, 1991, pp. 243-248. 

  7. Bahmam-Oskooee, M., M., H. Mohtadi, and G. Shabsign, "Exports, Growth and Causality in LDCs: Reexamination,"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36, 1991, pp.405-415. 

  8. Bahmam-Oskooee, M., H. Mohtadi, and J. Alse, "Export Growth and Economic Growth: An Application of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Modeling," Journal of Developing Areas, Vol. 27, No. 4, 1993, pp. 535-542. 

  9. Balassa, B., "Exports and Economic Growth: Further Evidence,"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5, 1978, pp. 181- 189. 

  10. Balassa, B., "Exports, Policy Choices and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after the 1973 Oil Shock,"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18, No. 2, 1985, pp.23-25. 

  11. Darrat, A.F., "Causality Between Exports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Empirical Evidence from the NICs,"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26, 1987, pp.55-63. 

  12. Ekanayake, E.M., "Exports and Economic Growth in Asian Developing Countries: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Models,"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Vol. 24, 1999, pp.43-56. 

  13. Engle, R.F. and C.W.J., Granger. "Cointegration and Error-Correction: Representation, Estimation and Testing," Econometrica, Vol. 55, 1987, pp. 251-276. 

  14. Feder, G., "On Exports and Economic Growth," Journal of Develop- ment Economics, Vol. 12, 1983, pp. 59-73. 

  15. Ghatak, S., C., Milner, and U. Utkulu. "Exports, Export Composition and Growth: Cointegration and Causality Evidence for Malaysia," Applied Economics, Vol. 29, No. 2, 1997, pp. 213-223. 

  16. Heller, P. S. and R. C. Porter., "Exports and Growth: An Empirical Reinvestiga -tion,"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5, 1978, pp. 191-193. 

  17. Holman, J.A., and P.E., Graves "Korean Exports Economic Growth: An Econometric Reassessment,"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Vol. 20, 1995, pp. 45-56. 

  18. Islam, M.N., "Export Expansion and Economic Growth: Testing for Co- integration and Causality," Applied Economics, Vol. 30, 1998, pp. 415-425. 

  19. Johansen, S., and K. Juselius.,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Inference on Cointegration with Application to the Demand for Money," Oxford Bulletin of Economic and Statistics, Vol. 52, 1990, pp. 169-210. 

  20. Khan, A.H., and N. Saqib., "Exports and Economic Growth: The Pakistan Experience," International Economic Journal, Vol. 7, No. 3, 1993, pp. 55-64. 

  21. Kormendi, R.C., and P.G. Mequire, "Macroeconomic Determinants of Growth: Cross-Country Evidence,"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Vol. 16, No.2, 1985, pp. 141-163. 

  22. Lee Chien-Hui and Bwo-Nung Hua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Economic Growth in East Asian Countries: A Multivariate Threshhold Autoregressive Approach,"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Vol. 27, No. 2, 2002, pp. 45-68. 

  23. Michaely, M., "Exports and Growth: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4, 1977. pp. 49-53. 

  24. Rahman, M., and M. Mustafa, "Dynamics of Real Exports and Real Economic Growth in 13 Selected Asian Countries,"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Vol. 22, No. 2, 1998.pp.81-95. 

  25. Sharma S.C., M. Norris, and D.W. Cheung, "Exports and Economic Growth in Industrialized Countries," Applied Economics, Vol. 23, 1991, pp. 697-708. 

  26. Sprout, R. V. A. and J. H. Weaver, "Exports and Economic Growth in a Simultaneous Equations Model," Journal of Developing Areas, Vol. 27, No. 3, 1993, pp. 289-306. 

  27. Sung-Shen, N. B. Biswas, and G. Tribedy, "Causality Between Exports and Economic Growth: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Vol. 15, No. 2, 1990, pp. 47-61. 

  28. Ukpolo V., "Export Composition and Growth of Selected low-Income African Countries: Evidence from Time-Series Data," Applied Economics, Vol. 26, No.5, 1994, pp. 445-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