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를 위한 응급상황 대처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의 효과: 일상생활 응급상황과 심폐소생술 중심으로
Effects of Case-based Small Group Learning on Daycare Center Teachers' Coping Ability in Emergency Situations: Focus on Daily Life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3, 2013년, pp.168 - 176  

최은주 (청암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제시된 응급상황별 아동의 사례를 바탕으로 동료 교사와의 상호 작용적 토론과 자신의 경험에 대한 성찰을 유도하는 소그룹 학습을 적용한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상자의 응급상황 대처 지식, 심폐소생술 태도와 수행의지, 심폐소생술 술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로 전라남도 S시 소재 40개 보육시설의 보육교사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33명이 실험군이였으며, 응급상황 대처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에 참여하였다.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은 대상자들의 응급상황 대처 지식을 향상시키고 보육교사의 심폐소생술 태도와 심폐소생술을 수행하고자 하는 의지의 변화를 도모하여 심폐소생술 술기 능력을 유의하게 증가시켜 응급상황 대처 능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응급상황 대처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은 보육교사들에게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의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응급상황 대처 능력을 오래 지속될 수 있는 새로운 교수방법 제안 및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ase-based learning on the coping ability of daycare center teachers in emergency situations. In the study knowledge of emergency treatment methods, attitude, intention and ability to perform CPR between were examined in an experimental g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응급상황별 아동의 사례를 바탕으로 소그룹 학습을 통해 보육교사들이 상호 학습하며 자신의 대처와 경험을 성찰하는 교수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응급상황 대처 능력을 증진하고 이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 2001), 보육교사들이 경험하는 응급상황 사례 제시와 실습이 병행된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급상황에 따른 대처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자 하는 교육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적절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받지 못한 보육교사들에게 보육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 사례를 바탕으로 동료교사와의 상호작용적 토론과 자신의 경험에 대한 성찰을 유도하고, 이에 따른 응급상황 대처능력을 유추하도록 하는 교수방법을 선택하여 교육을 제공하였다. 이는 보육교사를 위한 교육이 강의식의 획일적인 방식보다는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그룹 학습과 반성적 사고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효율적인 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을 제안했다고 생각된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응급상황 대처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을 적용한 후 보육교사의 응급상황 대처 지식, 심폐소생술 태도와 수행의지 및 심폐소생술 술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응급상황별 아동의 사례를 제시하여 소그룹 학습을 적용한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상자의 응급상황 대처 지식, 심폐소생술 태도와 수행의지, 심폐소생술 술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제시된 응급상황별 아동의 사례를 바탕으로 동료 교사와의 상호 작용적 토론과 자신의 경험에 대한 성찰을 유도하는 소그룹 학습을 적용한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상자의 응급상황 대처 지식, 심폐소생술 태도와 수행의지, 심폐소생술 술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응급상황 대처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이 보육교사의 응급상황 대처 지식, 심폐소생술 태도와 수행의지 및 심폐소생술 술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응급상황 대처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은 아동에게 발생하는 응급상황 사례를 통해 보육교사의 자기 성찰과 토론 등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응급상황 대처 지식, 심폐소생술 태도와 수행의지를 향상시키고 마네킹을 활용한 심폐소생술 실습을 통하여 술기를 습득하도록 하는 교수학습 전략을 접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 아동을 돌보는 교사들의 응급상황 대처 능력 향상을 위해 사례기반의 소그룹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학습에 참여한 보육교사는 학습에 참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응급상황 대처 지식, 심폐소생술 태도와 수행의지 및 심폐소생술 술기 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 응급상황 대처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안은 예기치 못한 응급상황이 아동에게 발생할 경우 보육교사가 상황을 인식하고 중재하여 부적절한 응급처치로 야기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교사의 응급상황 대처 지식, 심폐소생술 태도와 수행의지를 향상시키고 심폐소생술 술기를 습득하고자 본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의 안전사고의 특징은? 영유아의 안전사고는 영구적인 결함을 초래하거나 신체적, 심리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응급상황 시 영유아의 생명과 예후는 사고 현장에서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처치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Lee & Jo, 2010). 그러나 대부분의 보육교사들은 화상, 골절, 심폐소생술, 중독사고 및 의식저하와 관련한 초기 응급처치를 위한 지식 부족과 실행의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Damjan & Rok, 2012), 근무하는 동안 실제 심정지와 급성 기도폐쇄 아동을 목격함에도 불구하고 극히 일부 교사만이 심폐소생술을 정확히 시행할 수 있다고 답한 것으로 보고되었다(Lee, Choi, & Cheon, 2010).
보육교사의 응급처치 능력 현황은 어떠한가? 영유아의 안전사고는 영구적인 결함을 초래하거나 신체적, 심리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응급상황 시 영유아의 생명과 예후는 사고 현장에서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처치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Lee & Jo, 2010). 그러나 대부분의 보육교사들은 화상, 골절, 심폐소생술, 중독사고 및 의식저하와 관련한 초기 응급처치를 위한 지식 부족과 실행의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Damjan & Rok, 2012), 근무하는 동안 실제 심정지와 급성 기도폐쇄 아동을 목격함에도 불구하고 극히 일부 교사만이 심폐소생술을 정확히 시행할 수 있다고 답한 것으로 보고되었다(Lee, Choi, & Cheon, 2010). 따라서 영유아의 생명과 예후를 위해 보육교사의 응급처치 능력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유아의 사고 유형에 따른 응급상황 대처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사고 발생 후 적절한 처치를 통해 영유아 상태의 악화 예방과 신체적 심리적 안정을 되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Alexis & Robert, 2012; Kim et al.
아동의 보육시설 내 생활시간이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와 자녀양육을 위한 가족 지원망이 부족함에 따라 영 · 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한 보육시설 확충과 종일제 프로그램 요구의 증가로 아동의 보육시설 내 생활시간도 늘어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HW], 2010). 이는 과거 유아의 질병, 응급 관리 부분에 대한 책임이 부모에게 국한된 반면, 현재 보육시설에도 동일한 책임이 요구되는 계기가 되었다(Kim,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exis, A., & Robert, A. (2012). Pediatric out-of hospital cardiac arrest. Circulation, 125, 2374-2378.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11.071472 

  2. Braslow, A., Brennan R. T., Newman, M. M., Bircher, N. G., Batcheller, A. M., & Kaye, W. (1997). CPR training without an instruct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video self-instructional system for effective performanc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esuscitation, 34(3), 207-220. http://dx.doi.org/10.1016/S0300-9572(97)01096-4 

  3. Cho, G. C., Sohn, Y. D., Kang, K. H., Lee, W. W., Lim, K. S., Kim, W., et al. (2010). The effect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on laypersons' willingness in performing bystander hands onl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esuscitation, 81, 691-694.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10.02.021 

  4. Choi, E. J., & Hwang, S. Y. (2012). Effects of case-based small group learning about care of infected children for daycare center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 771-782. http://dx.doi.org/10.4040/jkan.2012.42.6.771 

  5. Damjan, S., & Rok, F. (2012).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ir assistants' knowledge of first aid in slovenian kindergartens. Health Education Journal. Advanced online publication. http://dx.doi.org/10.1177/00178 96912446555 

  6.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i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http://dx.doi.org/10. 3758/BRM.41.4.1149 

  7. Fukkink, R. G., & Tavecchio, L. (2010). Effects of video interaction guidance o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 1652-1659. http://dx.doi.org/10.1016/j.tate.2010.06.016 

  8. Hamasu, S., Morimoto, T., Kuramoto, N., Horiguchi, M., Iwami, T., Nishiyama, C., et al. (2009). Effects of BLS training on factors associated with attitude toward CPR in college students. Resuscitation, 81, 359-364.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8.11.023 

  9. Kauramoto, N., Morimoto, T., Kubota, Y., Maeda, Y., Seki, S., Takada, K., et al. (2008). Public perception of and willingness to perform bystander CPR in Japan. Resuscitation, 79, 475-481. 

  10. Kim, G. H. (2009). The effects of chil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for childcare teachers with a video self-instruction program.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13, 87-98. 

  11. Kim, J. M., Cho, G. C., Na, Y. H., Cho, J. H., & Kim, O. H. (2010). The effect of CPR and abdominal thrust education o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1, 757-762. 

  12. Kim, M. S., Park, M. H., & Yi, H. S. (2006). The kindergarten teachers' actual condition of first-aid educ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3(1), 91-114. 

  13. Kim, S. J., Lee, J. E., Kim, K. M., Park, M. O., Baek, S. S., Song, M. K., et al. (2003). Safety education needs and knowledge and attitude of injury preven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9, 250-258. 

  14. Kim, S. J., Yang, S. O., Lee, S. H., Lee, J. E., Kim, S. H., & Kang, K. A.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hild health care protocol for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7, 74-83. http://dx.doi.org/10.4094/jkachn.2011.17.2. 74 

  15. Lee, C. W., Ahn, J. Y., Cho, G. C., Lee. W. W., Son, Y. D., Ahn, H. C., et al. (2010). E-learning can be helpful for mastering basic life support skills on public.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1, 423-428. 

  16. Lee, D. H., Choi, Y. H., & Cheon, Y. J. (2010). Emergencies in the kindergarten: Are kindergarten teachers adequately trained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Resuscitation, 81, 370. 

  17. Lee, E. K., Kim, O. H., & Kim, E. M. (2010). The effect of CPR education in a rural community.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 121-128. 

  18. Lee, M. H., Choi, S. H., & Park, M. J. (2007). Effect of CPR training for lay trainees on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14, 198-203. 

  19. Lee, S. M., & Jo, M. S. (2010). Early child care teachers' treatment method on emergency situatio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The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7(4), 55-80. 

  20. Lee, W. W., Cho, G. C., Choi, S. H., Rhy, J. Y., You, J. Y., & You, K. C. (2009). The effect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on laypersons' willingness and self-confidence in performing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 505-509. 

  21. Lim, Y. T., & Ryoo, W. Y. (2009). The effects of type of case organization and reasoning supporing tool in on-line case-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5, 109-131. 

  22. Michaelsen, L. K., Parmelee, D. X., McMahon, K. K., & Levine, R. E. (2007). Team-based learning for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guide to using small groups for improving learning. Sterling: Stylus Publishing.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2009 Statistics on child care programme (Issue Brief No. 11-1351000-000016-10). Seoul: Author. 

  24. Park, S. H., Choi, H. J., Kang, B. S., Im, T. H., & Yeom, S. R. (2006). A study assessing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first responders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7, 545-558. 

  25. Ryu, C. S., Ji, O. J., & Yoon, S. Y. (2001). A study on the role taking of the in-service educator to increase the self-reflection in group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6, 107-124. 

  26. Song, M. G., & Kim, S. J. (2006).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web-based instruction program on safety for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 233-2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