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가에서 활용가능한 생대추의 저장조건 연구
Investigation of Packaging of Fresh Jujube (Zizyphus jujuba) on Quality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8, 2013년, pp.1296 - 1302  

정현정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생대추의 저장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그리고 농가에서 직접 활용 가능한 효과적인 저장방법을 찾기 위하여 70% 숙기를 가진 생대추를 $0^{\circ}C$ 온도와 80~90% 습도로 조절하고 에틸렌제거 장치가 설치된 저온저장고에서 플라스틱상자와 종이상자를 저장용기로 사용하고 한지와 기능성필름을 포장방법으로 사용하여 9주까지 저장하면서 이미지, 수분함량, 부패율, 경도, 색도 및 당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 시료의 경우 수분함량이 저장 전 69.2%에서 9주 저장 후에는 66.1%로 감소하였으며 기능성필름으로 포장한 시료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부패과는 6주까지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 이후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조군 시료의 경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종이상자에 기능성필름으로 포장한 시료의 경우 저장 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저장 기간 동안 적색도는 대부분의 시료에서는 천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당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70% 숙기를 가진 생대추를 9주까지 품질의 변화 없이 저장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저장방법으로는 저장용기로 플라스틱상자보다는 표면에 노출되는 대추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종이상자를 사용하는 것이 포장방법으로 한지보다는 기능성필름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농가에서 활용가능한 생대추의 저장방법으로 온도, 습도, 에틸렌이 조절된 저온저장고에서 종이상자와 기능성필름을 가볍게 덮은 조건에서 생대추의 저장을 9주까지 품질을 유지하면서 저장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of fresh jujube (Zizyphus jujuba) fruit rapidly declines in the postharvest stage and thus the effective storage conditions for agricultural warehouse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resh jujubes (~10 kg) were stored using five different storage methods: plastic box without further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추의 장기 저장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생대추 저장기술이 필요하여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기존의 생대추 연구는 소량의 대추를 실험실 수준에서 진행하였기에 좋은 결과를 얻었을지라도 농가에서 직접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가에서 직접적으로 활용가능하고 생과형태로 장기간 섭취할 수 있으며 가공품 제조에 있어서도 신선한 원료를 공급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적합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대추의 효과적인 저장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대추를 농가에서 직접 사용하고 있는 습도가 조절되는 저온저장고에서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실제로 농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한지를 이용한 포장이나 기능성필름을 이용하여 가볍게 감싸는 포장방법을 시도하여 농가에서 직접적으로 쉽게 그리고 비용적으로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저장방법을 보고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가에서 직접적으로 활용가능하고 생과형태로 장기간 섭취할 수 있으며 가공품 제조에 있어서도 신선한 원료를 공급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적합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대추의 효과적인 저장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대추를 농가에서 직접 사용하고 있는 습도가 조절되는 저온저장고에서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실제로 농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한지를 이용한 포장이나 기능성필름을 이용하여 가볍게 감싸는 포장방법을 시도하여 농가에서 직접적으로 쉽게 그리고 비용적으로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저장방법을 보고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추의 기능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mauritiana Lam) 등 생태형이 전혀 다른 2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산조, 복조, 보은 대추 등 재래종이 재배되고 있고 개량종인 무등, 월출, 금성 등이 일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1). 대추는 예로부터 감미를 내기 위하여 첨가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위경련, 불면증, 소화불량, 대장하혈, 청혈, 지각과민증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약효를 가진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세포막활성, 혈관노폐물제거, 모세혈관 저항성 향상, 면역력 향상, 암세포 성장억제, 혈관수축작용 등에 대한 다양한 기능성이 보고되고 있다(2). 이런 대추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폴리페놀, 사포닌, 비타민 C와 P, 세로토닌으로 보고되고 있다(3,4).
대추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물질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대추는 예로부터 감미를 내기 위하여 첨가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위경련, 불면증, 소화불량, 대장하혈, 청혈, 지각과민증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약효를 가진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세포막활성, 혈관노폐물제거, 모세혈관 저항성 향상, 면역력 향상, 암세포 성장억제, 혈관수축작용 등에 대한 다양한 기능성이 보고되고 있다(2). 이런 대추의 기능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폴리페놀, 사포닌, 비타민 C와 P, 세로토닌으로 보고되고 있다(3,4).
생대추의 저장성을 향상하기 위해 CA 저장이나 PE film 포장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생대추의 저장성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그에 따라 저장성을 늘리는데 효과적인 방법들에 대해 보고되고 있다. 저장온도는 저온일수록 연화가 느리게 진행되고 CA(controlled atmosphere) 저장이나 polyethylene(PE) film 포장이 비타민 C의 손실을 적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8). 생대추의 부패와 연화 억제를 위한 효과적인 저장온도는 0°C로 알려져 있으며 -2°C에서는 저온장해를 유발시킨다고 보고 되고 있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i KS. 1990. Changes in phys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jujube fruits (Zizyphus jujuba Miller) var. Bokjo during maturity and postharvest ripening. J Resource Development 9: 47-53. 

  2. Kwon SH, Cho KY, Kim SY, Kim MJ. 1993. Application of Ziziphus jujube fruit for dietary life. J Food Sci & Technol 5: 1-14. 

  3. Okamura N, Nohara T, Yagi A, Nishioka I. 198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Zizyphi Fructus. III. Structures of dammarane-type saponins. Chem Pharm Bull 29: 676-683. 

  4. Yagi A, Okamura N, Haraguchi Y, Noda K, Nishioka I. 1978. Studies on constituents of Zizyphi frutus. I. Structure of three new p-coumaroylates of alphitolic acid. Chem Pharm Bull 26: 1798-1802. 

  5. Abbas MF, Saggar RAM. 1989. Respiration rate, ethylene production and certain chemical changes during the ripening of jujube fruits. J Horticultural Science & Biotechnology 64: 223-226. 

  6. Choi C, Chun SS, Cho YJ, Woo HS, Kim TW, Han YH. 1994.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endo-polygalacturonase from Korean jujube. Agric Chem Biotechnol 37: 243-247. 

  7. Seo CH, Shin SR, Jeung YJ, Kim KS. 1997. Changes in polygalacturonase during softening of persimmon and jujube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80-185. 

  8. Song J, Lee KS, Knag HA, Chang KS. 1998. Storage stability of fresh jujube fruits (Zizyphus Jujuba MILL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72-277. 

  9. Kader AA, Li Y, Chordas A. 1982. Postharvest respiration, ethylene production, and compositional changes of Chinese jujube fruits. HortScience 17: 678-679. 

  10. Gonzalez Urena A, Orea JM, Montero C, Jimenez JB, Gonzalez JL, Sanchez A, Dorado M. 2003. Improving postharvest resistance in fruits by external application of transresveratrol. J Agric Food Chem 51: 82-89. 

  11. Woo KS, Son SI, Jeong HS, Lee J, Lee HB. 2006. Effects of grape fruit stem extracts treatment on the storage property of fresh jujube (Zizyphus jujub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92-198. 

  12. Zhao ZH, Liu MJ, Liu P, Liu XY, Dai L, Yang L, Tian SL. 2009. Effects of citric acid treatments on the postharvest fruit quality of Ziziphus jujuba Mill. 'LINYILIZAO'. Acta Hortic 840: 513-516. 

  13. Li X, Zhang L, Wang X, Li Y. 2011. Effect of 1-MCP and $CaCl_2$ on quality of Chinese jujube stored at low temperature. Advanced de Materials Research 156-157: 367-370. 

  14. Wen Y, Feng J, Ren X. 2007. Mechanism for prolonging cold storage life of Li jujube (Zizyphus jujuba Mill. cv. Lizao) fruit by heat air treatment. Nongye Gongcheng Xuebao 23: 24-29. 

  15. Zhu Z, Zhang Z, Qin G, Tian S. 2010. Effects of brassinosteroids on postharvest disease and senescence of jujube fruit in storage. Postharvest Biol Technol 56: 50-55. 

  16. Woo KS, Hwang IG, Jang KI, Kang TS, Lee HB, Jeong HS. 2008. Effects on storage property of fresh jujube treated with grape fruit stem extracts (GFSE) and fermented pollen (F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90-1094. 

  17. Lee DS, An DS. 1998. Effect of packaging conditions on keeping quality of fresh jujub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461-467. 

  18. Song J. 1997. Studies on storage stability of fresh jujube fruits (Zizyphus jujuba Miller).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19. An DS, Lee DS. 1997. Effect of maturity and storage temperature on preservation of fresh jujube.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758-7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