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 및 침출 조건에 따른 섬애약쑥 침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umaeyaksuk tea extracts prepared with different drying and extract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4, 2013년, pp.546 - 553  

황초롱 ((재)남해마늘연구소) ,  서원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강민정 ((재)남해마늘연구소) ,  신정혜 ((재)남해마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남 남해군에서 자생하며 황해쑥의 변종으로 확인되어 품종 출원 추진 중인 섬액약쑥(A. argyi)을 차로 음용하기 위하여 숙성기간과 침출온도에 따른 침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 하였다. 천일 건조한 쑥을 대조군(RC)으로 하고 $60^{\circ}C$항온기에서 3.5(HA), 7(HB) 및 14(HC) 일간 숙성하여 제조한 쑥을 차로 음용 할 때의 최저($60^{\circ}C$) 및 최고($95^{\circ}C$) 온도에서 각각 침출하였다.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60^{\circ}C$$95^{\circ}C$에서 침출한 HA 시료에서 각각 $0.52{\pm}0.18%$$0.92{\pm}0.18%$로 침출온도가 높을수록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환원당 함량은 침출온도가 높을수록 더 높아 RC 시료의 경우 $95^{\circ}C$ 침출시 $9.55{\pm}0.18mg/g$으로 $60^{\circ}C$ 침출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반면, 숙성기간에 따른 함량 차는 적어 $60^{\circ}C$에서 침출한 HA~HC 시료의 환원당은 $10.08{\pm}0.03{\sim}10.64{\pm}0.03mg/g$의 범위였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60^{\circ}C$에서 침출하였을 때 $2.30{\pm}0.21{\sim}7.02{\pm}0.22mg/g$이었고, $95^{\circ}C$에서 침출하였을 때는 $3.36{\pm}0.13{\sim}9.88{\pm}0.23mg/g$으로 높은 온도에서 침출할 때 더 높았다. 전처리 기간이 동일한 RC와 HA 시료를 각각 $60^{\circ}C$에서 침출하였을 때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침출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처리된 시료일수록 활성이 더 증가하였다. FRAP는 침출 온도가 높을 때 활성이 높아, RC 시료의 경우 $60^{\circ}C(83.88{\pm}0.43{\mu}M)$ 보다 $95^{\circ}C$에서 침출 하였을 때 $181.28{\pm}2.90{\mu}M$로 활성은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섬애약쑥은 숙성 처리 후 높은 온도에서 침출하여 음용할 때 유용성분의 섭취가 더 용이하며, 항산화활성도 더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umaeyaksuk (Artemisia argyi) tea extracts from different pre-treatment and extraction methods. Sumaeyaksuk was sun-dried for 3.5 days (control, RC) and aged at a temperature of $60^{\circ}C$ for 3.5 days (HA), 7 days (HB), and 1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rgyi) 등이며, 이들을 중심으로 생리활성 규명 및 활성물질의 탐색과 확인, 이용방법및 가공방안에 대한 연구들이 추진되고 왔으나, 아직도 명확히 품종이 확인되지 않은 많은 쑥의 변종들에 대한 연구는 부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경남 남해군에서 자생하며, 황해쑥의 변종으로 확인되어 품종 출원을 추진 중인 섬애약쑥(A. argyi)을 소재로 하고, 침출차로 개발 함에 있어 그 품질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천일 건조된 쑥을 대조군으로 하고, 예비실험을 통하여 설정한 온도 범위에서 자체 성분의 변화를 유도하는 열처리 숙성 시간에 차이를 두고 전처리한 쑥차의 침출수 온도를 달리하여 전처리 및 침출 조건의 차이에 따른 생리활성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argyi)을 소재로 하고, 침출차로 개발 함에 있어 그 품질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천일 건조된 쑥을 대조군으로 하고, 예비실험을 통하여 설정한 온도 범위에서 자체 성분의 변화를 유도하는 열처리 숙성 시간에 차이를 두고 전처리한 쑥차의 침출수 온도를 달리하여 전처리 및 침출 조건의 차이에 따른 생리활성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쑥 건조에 사용되는 방법은? 쑥은 일반적으로 건조하여 저장되는데, 과거에는 양건이나 음건과 같은 자연건조법을 주로 활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열풍건조, 냉풍건조 및 동결건조와 같은 방법으로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건조하는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다. 이중 열풍건조 방법은 열처리 과정 중 영양소나 활성물질의 파괴와 휘발성 물질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나 적은 비용으로 손쉽게 활용할 수 있으며(8,9), 열처리 과정 중에 발생 하는 화학적 변화로 인하여 페놀성 화합물의 침출이 용이해 지고, 항산화활성 물질이 증가하는 등 생리활성이 증가하는 장점도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10)
쑥의 약리적 효능은? 변종은 관목상, 다년생 초본, 1년생 초본으로 나누어 볼수 있는데, 이중 관목상인 것은 약리적 효과가 크고, 다년생 초본은 대체로 식용으로 이용 된다(3). 쑥의 약리적 효능으로는 항산화작용,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항암작용, 지혈작용, 혈압강하작용, 항궤양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피부미용, 피부질환 및 노화억제작용이 알려져 있다(1,4). 6~8월에 잎을 따서 그늘에 말린 것은 애엽이라하여, 떡, 한과, 차 등으로 식용하거나 한방과 민간에서는 약용으로 이용하였으며, 8~9월에 잎줄기를 베어 잘라 말린 것은 목욕제 등으로 이용해 왔다(5).
쑥의 변종은 어떻게 나누어 볼 수 있는가? 국내에는 약 300여종의 쑥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보고된 것은 38종정도 이며, 실제 종으로 분류되기 보다는 형태적인 특성에 따라 명명된 것이 대부분이고 야생의 역사가 길기 때문에 변종이 많은 특성을 가진다(2,3). 변종은 관목상, 다년생 초본, 1년생 초본으로 나누어 볼수 있는데, 이중 관목상인 것은 약리적 효과가 크고, 다년생 초본은 대체로 식용으로 이용 된다(3). 쑥의 약리적 효능으로는 항산화작용,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항암작용, 지혈작용, 혈압강하작용, 항궤양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피부미용, 피부질환 및 노화억제작용이 알려져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RJ, Kang MJ, Hwang CR, Jung WJ, Shin JH (2012) Antioxidant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activity of five different varieties of Artemisia cultivars in Korea. J Life Science 22, 844-851 

  2. Yoon WJ, Lee JA, Kim KN, Kim JY, Park SY (2007)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Artemisia fukudo extracts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64-469 

  3. Lee SD, Park HH, Kim DW, Bang BH (2000) Bioactive constituents and utilities of Artemisia sp. as medicinal herb and foodstuff. Korean J Food Nutr 13, 490-505 

  4. Sung KC (2009) A Study on the pharmacet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Artemisia extract. J Korean Oil Chemist' Soc 26, 51-59 

  5. Chung BH, Cho YG (2006)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mugwort teas and commercial teas. Korean J Crop Sci 51, 215-219 

  6. Choi YM, Chung BH, Lee JS, Cho YG (2006)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spp. collections. Korean J Crop Sci 51, 209-214 

  7. Kim CH, Park SO (2006) Influence of dry methods on quality of Artemisia sp. Korean J Culinary Res, 12, 108-118 

  8. Eom HJ, Kim SM, Pyo BS, Lee KI (2009) Changes of physiological activity drying temperature in leaf of Eriobotrya japonica Kor J Pharmacogon, 40, 178-183 

  9. Park MH, Kim MJ, Cho WI, Chang PS, Lee JH (2009) Effects of treatments on distribution of volatiles in Artemisia princeps Pamp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87-591 

  10. Lee SH, Hwang IG, Lee YR, Joung EM, Jeong HS, Lww HB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490-495 

  11. Lee SY (2000) Use and prespective views of oriental herbs in food industry. Food Industry Nutrition 5, 21-26 

  12. Lee GD, Yoon SR, Kim JO, Hur SS, Seo KI (2004) Monitoring on the tea with steaming and drying process of germinatied buckwhe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12-217 

  13. Gutfinger, T (1958) Polyphenols in olive oils. JAOCS. 58, 966-968 

  14.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15. Re R, Pellegrini N,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16. Song HS and Moon KY (2006)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profiles of β-glucans isolated from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mutant saccharomyces cereviciae IS2. Food Sci Biotechnol, 15, 437-440 

  17. Kang JR, Lee SJ, Kwon HJ, Kwon MH, Sung NJ (2012) Establishment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the oprimization of the black garlic antioxidant activity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19, 577-585 

  18. Kang MJ, Yoon HS, Jeong SH, Sung NJ, Shin JH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ed garlic during processing. Korean J Food Preserv, 18, 898-906 

  19. Yoo BY, Jang MS, Eun JB (2003)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optimal drying temperature condition of agaricus(Agaricus Blazei) mushroom. Korean J Food Preserv, 10, 476-481 

  20. Kim YJ, Lee SJ, Kim MY, Kim GR, Chung HS, Park HJ, Kim MO, Kwon JH (2009) Physicochemical and organoleptic qualities of sliced-dried persimmons as affected by f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64-68 

  21. Lee MW, Yi Y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prepared with puffed rice pouder during saccharific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553-558 

  22. Lee YR, Woo KS, Hwang IG, Kim HY, Lee SH, Lee JS, Jeong HS (2012)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arlic (Allium sativum L.) with different heat and pressure treatm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278-282 

  23. Shin GA, Lee GE, Oh YH, Noh JG, Yoon SR, Lee JG, Kim GR, Jeon EJ, Chung HS, Kim JS, Kwon JH (2008) Monitoring of leacjong conditions for functional components of black te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6-71 

  24. Lee SO, Kim MJ, Kim DG, Choi HJ (2008)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emperature-stepwise water extracts from Inonotus obliqu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9-147 

  25. Hong HD, Kim YC, Rho JH, Kim KT, Lee YC (2007) Chang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nax ginseng C. A. Meyer during repeated steaming process. J Ginseng Res, 31, 222-229 

  26. Kim RJ, Kang MJ, Hwang CR, Jung WJ, Shin JH. 2012. Antioxidant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activity of five different varieties of Artemisia cultivars in Korea. JLS 22, 5, 844-851 

  27. Yu MH, Chae IG, Jung YT, Jeong YS, Kim HI, Lee IS (2011)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from Rosmarinus officinalis L. and Thier fractions. Korea J Life Science, 21, 375-384 

  28. Choi JI, Kim YJ, Kim JH, Song BS, Yoon Y, Byun MW, Kwon JH, Chun SS, Lee JW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 fractions from suaeda japonica. J Korean Sco Food Sci Nutr, 38, 131-135 

  29. Ha GJ, Jeong CH, Jeong HR, Heo HJ, Shon GM, Rho CW, Kim NK (2011) Antioxidant activities from the different parts of artemisia argyi H. using an in vitro system. J Agric Life Sci, 45, 109-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