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채취시기 및 가공방법에 따른 섬애약쑥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umaeyaksuk depending on harvest times and processing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2 no.3, 2015년, pp.399 - 407  

최명효 (남해마늘연구소) ,  강재란 (남해마늘연구소) ,  심혜진 (남해마늘연구소) ,  강민정 (남해마늘연구소) ,  서원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배원열 (섬애약쑥영농조합법인) ,  신정혜 (남해마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남 남해군에 자생하는 고유품종으로 품종보호 등록된 섬애약쑥의 채취시기와 건조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였다. 섬애약쑥은 5, 6, 7월에 동일한 재배지에서 수확한 후 각각을 12일 동안 음건(SD) 및 $60^{\circ}C$에서 7일간 숙성한 다음 $90^{\circ}C$에서 220분간 저장하여(AD) 건조하였다. 전처리방법을 달리하여 건조한 섬애약쑥의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glucose만이 검출되었으며 함량은 $0.42{\pm}0.02{\sim}0.43{\pm}0.01g/100g$$0.41{\pm}0.02{\sim}0.47{\pm}0.04g/100g$이었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AD($1.29{\pm}0.08{\sim}2.90{\pm}0.08g/100g$)와 비교하여 SD($1.85{\pm}0.09{\sim}3.45{\pm}0.14g/100g$)에서 더 높았다. 물 추출물을 31.5, 62.5, 125, 250, $500{\mu}g/mL$의 농도로 제조하여 항산화활성을 평가한 결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SD 5월 시료와 AD 7월 섬애약쑥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FRAP도 이들 시료에서 여타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다. ${\beta}$-Carotene에 대한 탈색 저해활성도 SD의 5월과 AD의 7월 시료에서 각각 $25.53{\pm}2.85{\sim}81.43{\pm}2.56%$, $35.98{\pm}2.22{\sim}79.00{\pm}1.42%$로 가장 활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 섬애약쑥은 5월 채취하여 음건하였을 때와 7월에 채취하여 숙성가공하였을 때 유용성분의 섭취가 더 용이하며,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maeyaksuk (Artemisia Argyi H.) is one of the original mugwort spices in Namhae-gu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ried and aging Sumaeyaksuk samples during the May-July harvest season. One (SD)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쑥이 지닌 다양한 생리활성과 활용도는 품종, 생육지역, 생육시기, 건조방법에 따라 상이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16,18) 채취시기, 건조방법, 건조기간 등 여러 측면에서의 연구가 부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남 남해군 에서 자생하며, 황해쑥의 변종으로 확인되어 품종 보호등록 된 섬애약쑥(A. argyi)을 소재로 하여 채취시기 및 건조방법에 따른 성분과 항산화활성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Values are mean±SD (n=3).
  • 쑥은 흐르는 물에서 세척한 다음 자연 건조해 물빼기 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자연 건조된 섬애약쑥은 2가지 방법으로 가공하였다. 즉, 통풍이 잘 되는 실내에서 12일간 음건하는 방법(SD)과본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어 특허 등록(제 10-1451136호) 된 가공방법에 따라 60℃에서 7일간 숙성시킨 후, 90℃에서 220분간 숙성시켜 건조를 마무리 하였다(A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진쑥의 효능은? )은 국화과의 다년초로 우리나라는 물론 동남아시아, 유럽 및 아메리카 지역의 임야 등 전 세계적으로 약 400여종이 넓게 분포되어 있고, 국내에는 약 300여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현재 국내에서는 인진쑥, 약쑥, 참쑥, 산쑥 등을 소재로 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 어지고 있는데, 이 중 인진쑥은 항산화, 항암, 체내 지질대사 촉진 및 간독성 저하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2). 약쑥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높았는데, 이는 total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에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개똥쑥의 지상부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은? 참쑥에서 분리 동정된 플라보노이드는 지질과산화 억제에 효과적이며 vitamin E보다 항산화 작용이 높고(4), 강화사자발쑥은 원형 발암 유전자(proto-oncogene)인 Bcl-2의 발현을 조절하여 암세포를 감소시키는 활성이있다(5). 개똥쑥의 지상부에는 luteolin, luteolin-7-glucoside 등의 flavones, kaempferol, quercetin 및 rutin 등의 flavonols과 coumarin, 6-7-dimethoxy-coumarin 등의 coumarin류와 같은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고, 높은 항산화 및 항암활 성이 입증됨으로써 주목받고 있다(6). 그 밖에 쑥의 생리활 성과 관련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에 의한 항돌연변이성(7), 항염증성(8),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성(9) 등이 보고되어 있다.
쑥이 지닌 다양한 생리활성은 채취시기마다 달라 그 용도가 달라지는데, 그 이유라믐?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단오 이전에 쑥을 채취하여 쑥차나 약으로 사용하였으며, 여름철에 채취한 쑥은 목욕탕용과 뜸 등으로 사용하여 채취시기에 따라 그용도를 달리하여 왔다(12). 이는 채취시기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이나 향 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인데 5월에 수확한 쑥이 9월에 수확한 쑥보다 eupatilin 및 jaceosidin의 총 함량이 더 높다(13). 국내에 자생하고 있는 쑥은 재배지역에 따라서도 성분 또는 생리활성 등의 차이가 있는데(14,15), 약쑥, 뺑쑥, 참쑥, 제비쑥, 물쑥, 황해쑥, 더위지기, 가는잎쑥등 100여종의 쑥을 수집하여 총 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종간, 수집지역 간에 다양한 범위를 보였으며, 동일종의 쑥도 유전적 특성과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항산화 물질이나 항산화력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연구되어있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Lee CB (1997) Korea botanical book. Jin Myung Publication Co., Seoul, Korea, p 292 

  2. Jin YX, Yoo YS, Han EK, Kang IJ, Chung CK (2008) Artemisia capillaris and Paecilomyces japonica stimulate lipid metabolism and reduce hepatotoxicity induced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48-554 

  3. Hong JH, Jeon JL, Lee JH, Lee IS (2007) Antioxidative proper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657-662 

  4. Lee SJ, Chung HY, Lee IK, Yoo ID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 from ethanol extracts of Artemisia vulgari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15-822 

  5. Kwon MC, Kim CH, Kim HS, Lee SH, Choi GP, Park UY, You SG, Lee HY (2007) Optimal extract condition for the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Korean J Med Crop Sci, 15, 233-240 

  6. Cai Y, Luo Q, Sun M, Corke H (2004)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112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plants associated with anticancer. Life Sci, 74, 2157-2184 

  7. Kim JO, Kim YS, Lee JH, Kim MN, Rhee SH, Moon SH, Park KY (1992) Antimutagenic effect of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from mugwort (Artemisia asicica nakai)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 21, 308-313 

  8. Tariq M, Mossa JS, Al-Yahya MA, Parmar NS, Ageel AM (1987) Evaluation of Artemisis inculta for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rats. Am J Chin Med, 15, 127-132 

  9. Cho HY, Yoon SY, Park JJ, Yun KW, Park JM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 soluble extract from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12-132 

  10. Yook CS (1998) Korean medicinal food materials. Jinmyung Press, Seoul, Korea, p 356 

  11. Lee SD, Park HS, Kim DW, Bang BH (2000) Bioactive con-stituents and utilities of Artemisia sp. as medical herb and food stuff. Korean J Food Nutr, 13, 490-505 

  12.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II. Kyohak, Seoul, p 327-334 

  13. Ryu SN, Han SS, Yang JJ, Jeong HG, Kang SS (2005) Variation of eupatilin and jaceosidin content of Mugwort. Korean J Crop Sci, 50, 204-207 

  14. Cho YH, Chiang MH (2001) Essential oi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Artemisia capollaris, Artemisia argyi and Artemisia princeps. Korean J Intl Agric, 13, 313-320 

  15. Rho TH, Seo GS (1993) Growth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nents in local collection of Artemisia sp.. Korean J Med Crop Sci, 1, 171-177 

  16. Choi YM, Chung BH, Lee JS, Cho YG (2006)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spp. collections. Korean J Crop Sci, 51, 209-214 

  17. Lee SH, Hwang IG, Lee YR, Joung EM, Jeong HS, Lww HB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490-495 

  18. Kim CH, Park SO (2006) Influence of dry methods on quality of Artemisia sp.. Korean J Culinary Res, 12, 108-118 

  19.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788 

  20. Gutfinger T (1958) Polyphenols in olive oils. JAOCS, 58, 966-968 

  21.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3.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Radic Biol Med, 26, 1231-1237 

  24. Benzie IF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5. Hwang CR, Seo WT, Bae WY, Kang MJ, Shin JH (201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rtemisia Argyi H. J Life Sci, 24, 377-385 

  26. Lee SJ, Chung HY, Lee IK, Yoo ID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ethanol extracts of Artemisia vulgari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15-822 

  27. Park SJ, Choi YB, Ko JR, Rha YA, Lee HY (2014)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lueberry (Vaccinium ashei). Korean J Culinary Res, 20, 55-64 

  28. Lee S, Moon HK, Lee SW, Moon JN, Kim JK (2014)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sis bailon). Korean J Food Preserv, 21, 341-349 

  29. Lee BY, Kim HK (1998) Quality properties of Korean yam by various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877-882 

  30. Jeong SJ, Lee CH, Kim HY, Lee SH, Hwang IG, Shin CS, Lee JS, Jeong H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birch sap with varying collection peri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43-148 

  31. Kim BS, Choi OJ (2004)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Camellia japonica L. leaf according to it's gathering tim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Korea, p 44 

  32. Lee SD, Park HH, Kim DW, Bang BH (2000) Bioactive constituents and utilities of Artemisia sp. as medicinal herb and foodstuff. Korean J Food Nutr, 13, 490-505 

  33. Song HN, Gil B (2002)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enolic compound in propolis collected from falseacacia and chestnut tree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46-551 

  34. Lee JJ, Kim AR, Chang HC, Lee MY (2009) Antioxidative effects of chungkukjang preparation by adding solar salt. Korean J Food Preserv, 16, 238-245 

  35.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Ryu J, Kim DH, Eun JS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Korean J Med Crop Sci, 16, 112-117 

  36. Ryu JH, Kim RJ, Lee SJ, Kim IS, Lee HJ, Sung NJ (2011) Nutrition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rtemisia annu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3-170 

  37. Choi YG, Kim MH, Shin JJ, Park JM, Lee JS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38. Yoo KM, Kim DO, Lee CY (2007)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of antioxidant measurement. Food Sci Biotechnol, 16, 177-182 

  39. Tabart J, Kevers C, Pincemail J, Defraigne JO, Dommes J (2009) Comparative antioxidant capacities of phenolic compounds measured by various tests. Food Chem, 113, 1226-1233 

  40. Lee HR, Jung BR, Park JY, Hwang IW, Kim SK, Choi JU, Lee SH, Chung SK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Korean J Food Preserv, 15, 445-449 

  41. Choi JI, Kim YJ, Kim JH, Song BS, Yoon YH, Byun MW, Kwon JH, Chun SS, Lee JW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 fractions from Suaeda japonic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1-135 

  42. Jeong CH, Choi SG, He HJ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75-1381 

  43. Shin JH, Lee SJ, Seo JK, Cheon EW, Sung NK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hot-water extract from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peel. J Life Sci, 18, 1745-17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