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가거도 상록활엽수림의 식생 구조, 종 다양성, 생활형의 변화 예측
Change Prediction for Vegetation Structure, Species Diversity and Life-form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by Climate Change in Gageo-Do Island,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2 no.8, 2013년, pp.979 - 997  

이성제 (일본 횡빈국립대학 대학원 환경정보학부) ,  안영희 (중앙대학교 식물시스템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vegetation structure, the correlation between a vegetation and an environment, a species diversity and a life-form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EBLF) located in Gageo-do Island. It is also the objective that the estimation of vegetation cha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록활엽수림의 이전단계에서 최근에 들어 전형적인 상록활엽수림을 형성할 수있는 기후조건에 들어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은? 최근의 온량지수를 난온대성 낙엽활엽수림 내 남부영역의 다른 온량지수 100℃를 적용 하였을 시, 난온대성 낙엽활엽수림이 아닌 그 다음 단계의 삼림으로 변환되어져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난 50년간 한랭지수의 변화는 약 -12.29℃범위에서 -8.76℃범위로 증가하였으며, 1999년 전후로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조건인 -1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상록활엽수림의 이전단계에서 최근에 들어 전형적인 상록활엽수림을 형성할 수있는 기후조건에 들어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거도는 뭡니까? 가거도는 우리나라의 최서남단에 위치하는 섬(동경 125° 7', 북위 34° 4')으로 독실산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긴 형태의 섬이다(Shinan-gun, 2010). 섬 일대에 자연상태의 후박나무군락지가 있으나 가거도 1구의 대부분의 후박나무림은 인위적으로 식재되었다고 이미 밝혀져 있다.
한반도의 식생의 분포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북반구의 온대지역에 위치한 한반도는 급속한 기후변화와 더불어 생태계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Yun 등, 2011). 한반도의 식생은 최한월 평균기온과 최난월 평균기온, 그리고 강수량과 강수량의 계절별 분포 등의 영향으로 그 분포가 매우 상이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약 1,200mm로 비교적 많은 편이며 대부분이 여름에 집중되어 있어 한반도의 식생의 분포는 강수량보다 기온의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Heo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 515 2007 

  2.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11 153 1988 

  3.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8 30 2010 

  4.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Yokohama National University 9 139 1983 

  5.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5 67 2006 

  6.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1 160 1997 

  7.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1 61 1997 

  8. KantiNogaku 2 143 1948 

  9.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 54 2010 

  10.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 365 2011 

  11.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 449 2007 

  12.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0 66 1996 

  13.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0 87 1996 

  14.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 66 2009 

  15. Vegetatio 39 97 1979 10.1007/BF00052021 

  16. Jap. J. Ecol. 25 77 1975 

  17. Jap. J. Ecol. 27 177 1976 

  18.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 4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