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리사회적 중재 프로그램이 재가 암 환자의 우울, 희망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분석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on Depression, Hope and Quality of Life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2 no.6, 2010년, pp.594 - 605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오윤정 (경남도립거창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on depression, hope and quality of life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1 to November 1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소에 등록된 재가 암 환자를 위한 심리사회적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재가 암환자의 우울, 희망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서이다. 연구대상자는 대구시 8개 보건소 중에서 각각 2개의 보건소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선정하고 실험군 39명, 대조군 42명, 총 81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 희망요법은 총 6주 동안 적용하며, 주별로 희망탐색, 희망적 목표설정, 긍정적 마음가지기, 치료적 대인관계형성, 영적/초월적 희망중재, 희망평가를 실시하였다. 평소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희망의 범위를 확인하고 편안한 마음을 가지고 현실을 수용하고 긍정적으로 사고하도록 하며 현 상황에서 적절한 희망적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과거의 대인관계에서 화해를 구하고 치료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삶과 죽음의 의미를 찾고 내세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희망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 및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해주는 것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재가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개별 접근방식의 프로그램이나 재가 암 환자의 다양한 심리사회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통합적 심리사회적 중재가 거의 부재한 상황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 등록 재가 암 환자를 개별적으로 가정방문하여 제공하는 통합적 심리사회적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재가 암환자에게 적용한 후 우울, 희망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민 사망원인 1위는 무엇인가? 한국에서는 매년 약 11만 명의 암 환자가 새로 발생하고 6만 4천여 명이 사망하는 등 국민 4명 중 1명이 으로 사망하고 있다. 이처럼 국민 사망원인 1위인 암은 최근 들어 진단기술의 발전과 치료방법의 개선으로 점점 만성화되고 있어 결과적으로 전체 암 환자 31만 명 중 집에서 치료받고 있는 재가 암 환자가 25만 명으로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2007).
암 환자들이 진단 받는 당시 겪는 어려움은? 실제적으로 암 환자들은 암의 진행 상태에 따라 수술, 항암치료, 방사선치료 및 호르몬요법 등을 시행하게 되면서 오심⋅구토, 식욕부진, 탈모, 구내염, 피부점막 손상, 설사, 빈혈, 피로, 통증 등 여러 가지 증상으로 인한 신체적 고통을 겪을 뿐만 아니라 질병의 예후와 죽음에 대한 두려움, 불안, 우울, 고립감, 절망감, 자아상실 등과 같은 심리사회적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 대부분의 경우 암이라는 진단을 받는 그 자체로서 자아상에 심각한 손상을 받고 의존성, 부적절감, 약함 등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일으키며, 자존감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Lee, Kim, Park, Kim, & Yu, 2010; Spiegel & Classen, 2000). 암 환자의 이러한 문제들은 심각한 위기 경험으로 그들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Ferrell et al.
암 환자 수의 추세는? 한국에서는 매년 약 11만 명의 암 환자가 새로 발생하고 6만 4천여 명이 사망하는 등 국민 4명 중 1명이 암으로 사망하고 있다. 이처럼 국민 사망원인 1위인 암은 최근 들어 진단기술의 발전과 치료방법의 개선으로 점점 만성화되고 있어 결과적으로 전체 암 환자 31만 명 중 집에서 치료받고 있는 재가 암 환자가 25만 명으로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 E. A. (2010).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quality of life, resilience and immune responses in breast cancer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2. Choi, S. S. (1990). Correlation study among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health status of an adult residents in reg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unsei University, Seoul. 

  3. Daniels, J., & Kissane, D. W. (2008).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cancer patients. Current Opinion in Oncology, 20, 367-371. 

  4. Derogatis, L. R. (1977). SCL-90-R administration, scoring and procedures manual I.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linical Psychometric Research Unit. 

  5. Fawzy, F. I., & Fawzy, N. W. (1994). A structured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for cancer patient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16 (3), 149-192. 

  6. Ferrell, B., Cullinane, C. A., Ervine, K., Melancon, C., Uman, G. C., & Juarez, G. (2005). Perspectives on the impact of ovarian cancer: Women's review of quality of life. Oncology Nursing Forum, 32, 1143-1149. 

  7. Hegel, M. T., Moore, C. P., Collins, E. D., Kearing, S., Gillock, K. L., & Riggs, R. L. (2006). Distress, psychiatric syndromes, and impairment of function in women with newly diagnosed cancer. Cancer, 107, 2924-2931. 

  8. Herth, K. A. (2001).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hope intervention program. Oncology Nursing Forum, 28 (6), 1009-1017. 

  9. Hwang, S. Y., Park, B. W., & Lee, K. S. (2001). A psychosocial support program for women with primary breast carcinoma. Journal of the Korean Surgical Society, 61 (4), 357-363. 

  10. Jang, S. Y. (2007). The effects of aroma hand massage on pain, state anxiety and depression in hospice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1. Kim, C. J., Hur, H. K., Kang, D. H., & Kim, B. H. (2006). The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stress and coping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1), 169-178. 

  12. Kim, C. J., Hur, H. K., Kang, D. H., & Kim, B. H. (2004). Developing and testing the effects of a psychosocial intervention on stress response and coping in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A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6), 1069-1080. 

  13. Kim, G. I., Kim, J. H., & Won, H. T. (1984). A manual of simple psychological diagnosis test. Seoul: JookAng JukSung Press. 

  14. Kim, J. N. (2005). Efficacy of an integrated group psycho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and immune 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5.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2007). Korea national health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Retrieved September 1, 2009, from http://www.knhanes.cdc.go.kr. 

  16. Lee, E. H. (2007).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quality of life scale for Korean patients with cancer (C-Q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3), 324-333. 

  17. Lee, M. S., Kim, J. H., Park, E. Y., Kim, J. N., & Yu, E. S. (2010). Focus group study on psychosocial distress of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 (1), 19-30. 

  18. Lee, S. J., Kim, J. H., & Park, Y. M. (2008). Influence of depression on cancer metastasi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8 (2), 105-110. 

  19. Manos, D., Sebastian, J., Mateos, N., & Bueno, M. J. (2008). Results of multi-componential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gramme for women with early-stage breast cancer in Spain: Quality of life and mental adjustment.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18, 295-305. 

  20. Nowotny, M. L. (1989). Assessment of hope in patient with cancer: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Oncology Nursing Forum, 16 (1), 57-61. 

  21. Ock, S. M. (2006). Clinical application of mind-body medicine: An evidence-based approach.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7 , 79-90. 

  22. Park, J. S., & Oh, Y. J. (2010). An analysis of cancer symptom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given nursing services for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who are registered in a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0 (1), 48-58. 

  23. Park, J. S., Oh, Y. J., & Seo, I. J. (2009). The developing of a psychosocial intervention based on health care needs of cancer patients staying at home. Daegu: University of Keimyung,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24. Rawl, S. M., Given, B. A., Given, C. W., Champion, V. L., Kozachik, S. L., Barton, D., et al. (2002). Intervention to improve psychological functioning for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29 (6), 967-975. 

  25. Rehse, R., & Pukrop, R. (2003).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quality of life in adult cancer patients: Meta analysis of 37 published controlled outcome studies. Patient Education & Counseling, 50, 179-186. 

  26. Rusteon, T., Wiklund, I., Hanestad, B., & Mourm, T. (1998). Nursing intervention to increase hope and quality of life in newly diagnosed cancer patients. Cancer Nursing, 21, 235-245. 

  27. Shim, S. K. (2007). Effects of imagery therapy on stress, anxiety and immune cells in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receiving chemo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8. Shin, A. M., & Park, J. S. (2007). The effects of hope intervention on hope and depression of cancer patients staying at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6), 994-1002. 

  29. Spiegel, D., & Classen, C. (2000). Group therapy for cancer patients: A research-based handbook of psychosocial care. New York: Basic Books. 

  30. Yoo, M. S. (2008).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nursing counseling on the anxiety and depression of breast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