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obacillus brevis BJ20를 이용한 굴(Crassostrea gigas).다시마(Saccharina japonica) 발효 분말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효과
Effects of Lactobacillus brevis BJ20 Fermentation on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and oyster Crassostrea giga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6 no.4, 2013년, pp.359 - 364  

강영미 ((주) 마린바이오프로세스) ,  우남식 ((주) 마린바이오프로세스) ,  서용배 ((주) 마린바이오프로세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ordinate stress causes disorders of various systems in humans and activates defense mechanisms to maintain homeostasis in the body. Sleep is a vital, highly organized process regulated by complex systems of neuronal networks and neurotransmitters. Sleep is an essential biological process whose u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들의 대다수가 한번씩 경험했을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장애에 대한 치료 보조제적 수단으로 해양생물인 굴과 다시마의 발효로 통해 생산된 GABA가 수면유도 호르몬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에 주목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완화와 수면유도 증진에 대한 기능성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굴∙다시마 발효 추출물에 함유된 GABA를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 완화 및 수면유도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하기 위한 탐색과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면증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중 벤조디아핀제의 약리학적 기능은 무엇인가? 수면장애, 즉불면증의치료를위해서는의학계에서는단기적불면증 환자의 경우 벤조디아핀제, 비벤조디아핀제와 같은 약물치료를 사용하고 있다(Szabadi, 2006). 이들 약물의 약리학적 기능은 벤조디아핀제의 경우 이온채널을 통해 억제성 염소이온의 흐름을 증가시키는 gamma-amino butyric acid (GABA)의 기능을 증진시킨다(McKernan and Whiting, 1996; Gallopin et al., 2004).
불면증의 치료를 위해서 의학계에서는 어떤 치료제를 사용하고 있는가? 수면장애, 즉불면증의치료를위해서는의학계에서는단기적불면증 환자의 경우 벤조디아핀제, 비벤조디아핀제와 같은 약물치료를 사용하고 있다(Szabadi, 2006). 이들 약물의 약리학적 기능은 벤조디아핀제의 경우 이온채널을 통해 억제성 염소이온의 흐름을 증가시키는 gamma-amino butyric acid (GABA)의 기능을 증진시킨다(McKernan and Whiting, 1996; Gallopin et al.
굴의 특징은 무엇인가? 굴은 GABA의 전구물질인 글루탐산(glutamic acid)을 다량(4.8%/dry base; w/w)함유하고, 국내외적으로 항산화활성, 간기능 개선 및 심혈관계 효능물질로써 보고되어온 천연 아미노산인 타우린(taurine)을 다량(4.2% / dry base; w/w 기준) 함유하고 있다. 그리고, 다시마는 GABA의 전구물질인 글루탐산(glutamic acid)을 고농도(5% / dry base 기준)함유하고, 국내외적으로 심혈관계 효능물질로써 보고되어온 기능성 해조 다당류인 후코이단(fucoidan, 함황당)을 함유한 안정성이 확보된 원료 물질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be Y, Umemura S, Sugimotto K, Hirawa N, Kato Y, Yokoyama T, Iwai J and Ishii M. 1995. Effect of green tea rich in $\gamma$ -aminobutyric acid on blood pressure on Dahl salt-sensitive rats. Am J Hypertens 8, 74-79. 

  2. Bae HN and Kim YM. 2010.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 qualities of sea tangle extract through fermentation by Aspergillus oryzae. Kor J Fish Aquat Sci 13, 12-17. 

  3. Bastien CH, Vallieres A and Morin CM. 2004. Precipitating factors of insomnia. Behav Sleep Med 2, 50-62. 

  4. Bressler R and Bahl JJ. 2003. Principles of drug therapy for the elderly patient. Mayo Clin Proc 78, 1564-1577. 

  5. Choi J-H, Shin SH, Ha Y-M, Kim YC, Kim TB, Park SM, Choi IS, Song HJ and Choi YJ. 2008. Minera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collected from Gijang and Wando in Korea. Journal of Life Science 18, 474-481 

  6. Eom SH, Lee BJ and Kim YM. 2010. Effect of yeast fermentation on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ea tangle water extract. Kor J Fish Aquat Sci 43, 117-124. 

  7. Gallopin T, Fort P, Eggermann E, Cauli B, Luppi PH and Rossier J. 2004. Identification of sleep-promoting neurons in vitro. Nature 404, 992-995. 

  8. Hick RA and Garcia ER. 1987. Level of stress and sleep duration. Percept Mot Skills 64, 44-46. 

  9. Kang TJ and Oh SH. 2007. Generation and utilization of GABA. Biowave 9, 1-18. 

  10. Krueger JM, Obal F Jr and Fang J. 1999. Humoral regulation of physiological sleep: Cytokines and GHRH. J Sleep Res 1, 53-59. 

  11. Lee B-J, Kim J-S, Kang YM, Lim J-H, Kim Y-M, Lee M-S, Jeong M-H, Ahn C-B and Je J-Y. 2010. Antioxidant activity and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in sea tangle fermented by Lactobacillus brevis BJ20 isolated from tranditional fermented foods. Food Chemistry 122, 271-276. http://dx.doi.org/10.1016/j.foodchem.2010.02.071. 

  12. Lee JY, Moon JS, Han BG, Yang HD, Kwon JB, Lee SI and Lee SS. 2001. The influence of acute cerebral infarction on the circadian rhythm of melatonin secretion. J Korean Neurol 19, 359-363. 

  13. Leventhal AG, Wang YC, Pu ML, Zhou YF and Ma Y. 2003. GABA and its agonists improved visual cortical function in senescent monkeys. Science 300, 812-815. 

  14. Masaki H, Sakaki S, Atsumi T and Sakurai H. 1995. Active oxygen scan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166. 

  15. McKernan RM and Whiting PJ. 1996. Which GABAA-receptor subtypes really occur in the brain? Trends Neurosci 19, 139-143. 

  16. Mody I, Dekoninck Y, Otis TS and Soltesz I. 1994. Bringing the cleft at GABA synapses in the brain. Trends Neurosci 17, 517-525. 

  17. Nanjo F, Goto K, Seto R, Suzuki M, Sakai M and Hara Y. 1996. Scavenging effects of tea catechins and their derivative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1, 895-902 

  18. Oh SH and Oh CH. 2003. Brown rice extracts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stimulate immune cells. Food Sci Biotechnol 12, 248-252. 

  19. Oh CH and Oh SH. 2004. Effect of geminated brown rice extract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J Med Food 7, 19-23. 

  20. Roehrs T, Merlotti L, Zorick F and Roth T. 1994. Sedative, memory, and performance effects of hypnotics. Psychopharmacology 116, 130-134. 

  21. Ryu HS and Kim HS. 2006. Effect of Zingiber officinale and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s on no production in macrophage of mice. Korean J Food Nutr 19, 327-331. 

  22. Sherin JE, Elmquist JK, Torrealba F and Saper CB. 1998. Innervation of histaminergic tuberomammillary neurons by GABAergic and galaninergic neurons in the ventrolateral preoptic nucleus of the rat. J Neurosci 18, 4705-4721. 

  23. Szabadi E. 2006. Drugs for sleep disorders: Mechanisms and therapeutic prospects. Br J Clin Pharmacol 61, 761-766. http://dx.doi.org/10.1111/j.1365-2125.2006.02680.x. 

  24. Song HS, Kim HK, Choi JD and Kim YM. 2011. Change of physico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Hizikia fusiformis water extract by the ferment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Kor J Fish Aquat Sci 44, 104-110. 

  25. Weller L and Avinir O. 1993. Hassles, uplifts and quality of sleep. Percept Mot Skills 76, 571-576. 

  26. Zhao GR, Xiang ZJ, Ye TX, Yuan YJ and Guo ZX. 2006. Antioxidant activities of Salvia miltiorrhiza and Panax notoginseng. Food Chemistry 99, 767-774. http://dx.doi.org/10.1016/j.foodchem.2005.09.002. 

  27. Zhdanova IV. 2004. Advances in the management of insomnia. Expert Opin Pharmacother 5, 1573-15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